정약전과 자산어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약전과 자산어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고전을 통해 바다에 대한 이야기를 찾기란 그리 쉽지만은 않은 일이었다. 특히 현대에서 한문으로 쓰여진 고전의 원본이나 필사본을 읽는 것은 한문학 및 고문헌에 조예가 깊은 전문가에게도 매우 어려운 일이다. 하물며 일반인이 고전을 읽는 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며 단지 도서관이나 박물관 등에서 고전을 겉표지만이라도 찾을 수 있다는 것이 다행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최근에 어려운 고전 가운데 우리에게 쉽게 우리바다에 대한 이야기를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손암(巽庵) 정약전(丁若銓, 1758~1816년) 선생이 1814년에 쓴 『자산어보(玆山魚譜)』이다. 이 책은 현존하는 종합적인 최고의 해양과학서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본문내용

수의 변이를 가지고 계군을 분석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지금도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 1981년에 발표된 한국 청어의 동해산과 서해 산의 형태 비교 논문에서 동해산 청어의 척추골수가 54개가 가장 많았다는 사실은 200여 년 전 이나 지금의 연구결과가 거의 일치하여 너무나 정확하게 기술되어 졌다는 것이다.
자산어보는 현재 원본은 전해오고 있지 않고 3권 1책의 필사본이 남아 있는데 1943년 여러 사본을 대조하고 보충하여 새로 편성한 한글본과 일본어 번역본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아직도 일부 자산어보 진본이 현존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미스터리가 남아 있다고 전한다. 현재 남아 있는 8개의 필사본은 서로 내용이 조금 상이해서 원본이 없는 상황에서 정확하게 원 문장의 내용을 해석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한다.
자산어보의 원본은 일본 강점기 때 사라졌다고 하나 일부 고서적 소장가에 의해 소장하고 있는 자산어보가 서로 원본임을 주장하고 있어 그 논란은 지금까지 해결되고 있지 않고 있다. 아직까지 지금의 어종명에 대한 방언이나 고어명을 연구하거나 당시에는 존재했지만 현재에서 살아진 어종 등을 연구하는데 있어 자산어보는 우리에게 많은 연구 가치를 더해 주고 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79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