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의 연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논문의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논문의 본질

1. 논문의 개념
2. 논문의 종류
3. 논문의 기본 요건

II. 논문 작성과정(I): 기초 단계

1. 연구주제의 선정
2. 자료의 조사와 수집
3. 자료의 평가
4. 자료의 정리

III. 논문 작성과정(II): 집필 단계

1. 논문 개요의 작성
2. 논문의 구성
3. 내용의 전개
4. 문장의 형식
5. 최종 유의사항

IV. 논문의 인용 방법

1. 인용의 목적
2. 인용의 종류
3. 인용의 원칙

V. 각주의 사용방법

1. 단행본인 경우
2. 정기간행물 및 기타 논문의 경우
3. 약식 각주

VI. 참고 문헌의 사용방법

1. 단행본의 경우
2. 정기간행물 및 기타 논문의 경우

< 참고문헌>

본문내용

rary (London: SCM Press, 1965), pp. 100-101.
4) J. Bright, A History of Israel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81), pp. 100-110. 참조.
VI. 참고문헌의 사용방법
1. 단행본의 경우
1) 참고문헌의 배열은 영문일 경우에는 알파벳, 우리말일 경우에는 가나다 순서로 기입한다. 이때 컴퓨터의 sort 기능을 사용하면 편리하다.
(예) Soggin, J. A.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Israel and Judah. London: SCM Press, 1993.
Ward, J. M. The Prophet. Nashville: Abingdon Press, 1982.
Westermann, C. Prophtic Oracle of Salvation in the Old Testament. Louisville: John Knox Press, 1991.
Wilson, R. W. Prophecy and Society in Ancient Israel.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0.
오택현, 김호경. 『성서묵시문학연구』. 양평: 크리스찬 헤럴드, 1999.
장일선. 『다윗왕가의 역사이야기』.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7.
2) 참고문헌은 각주와는 달리 저자명(성+이름), 책명, 출판지+., 출판사, 출판년도의 순서로 기입한다. 이때 영문 참고문헌의 경우 책명 뒤에 “.”를 찍어야 하며 출판지, 출판사, 출판년도에 “( )”를 치지 않는다.
(예) 장일선. 『다윗왕가의 역사이야기』.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7.
Bright, J. A History of Israel.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81.
3) 저자가 2-3인인 외국 서적의 경우에는 첫 번째 사람은 성+이름, 두 번째 사람은 이름+성의 순서로 써야 한다. 국내서적인 경우에는 우리말 순서로 쓰면 된다.
(예) 오택현, 김호경. 『성서묵시문학연구』 양평: 크리스찬 헤럴드, 1999.
Miller, J. M. and J. H. Hayes. A History of Ancient Israel and Judah. London: SCM Press. 1986.
4) 나머지 원칙은 각주에서 제시한 단행본 기재 원칙과 참고문헌 단행본 기재 원칙 1) 항목을 응용하여 사용하면 된다.
2. 정기 간행물 및 기타 논문의 경우
1) 정기 간행물 속의 논문은 반드시 정확한 출처를 수록하여 다음과 같이 기재한다.
(예) 오택현. “제2이사야 야웨의 종의 노래에 나타난 .” 『구약논단』7 (1999): 47-67.
Conrad, E. W. "Second Isaiah and the Priestly Oracle of Salvation." ZAW 93 (1981): 234-246.
2) 학위 논문의 경우에는 학위 논문의 종류와 수여 학교를 반드시 밝혀야 한다.
(예) 오택현. “제2이사야 야웨의 종과 예레미야의 관계.”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1991.
Elnes, E. E. "Discerning the Difference: The Distinctiveness of Yahweh and Israel in the Book of Deuteronomy." Dissertation of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1997.
3) 논문집에 수록된 논문일 경우 일반적으로 그 출처를 출판지 앞에 쓴다.
(예) 박준서. “구약 계약신학의 연구.” 『오늘의 오경연구』 pp. 179-206. 서울: 대한기독 교서회, 1980.
Obed, B. "Judah and the Exile." In Israelite and Judaean History, pp. 435-488. London: SCM Press, 1977.
4) 사전에 수록된 논문도 위의 형식에 의해 기재한다.
(예) Sack, R. H. "Nebuchadnezzar." In ABD Vol. 4. pp. 1058-1059. New York: Doubleday, 1992.
Anchor Bible Dictionary, 1992 ed. S.v. "Nebuchadnezzar." By R. H. Sack.
5) 동일 저자의 2개 이상의 논문(책)을 참고했을 경우 저자 이름을 중복하지 않고 다음과 같이 기재한다.
(예) Weinfeld, M. Deuteronomy and Deuteronomic School. Oxford: The Clarendon Press, 1983.
___________. The Promise of the Land: The Influence of the Land of Canaan by the Israelite. Berkeley: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
<참 고 문 헌>
계명대학교 편. 『논문작성법』.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1978.
고려대학교 출판부 편. 『논문작성법』.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9.
김광채. 『신학논문작성법』. 서울: 도서출판 참말, 1992.
연세대학교 연구처 편. 『새논문작성법』.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8.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편. 『연구 방법과 논문 작성법』.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9.
임인재. 『논문작성법: 인문, 사회 편』.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정민영. 『논문작성법』. 서울: 명지사, 1993.
최정만. 『최신 논문 작성법』. 서울: 생명의말씀사, 1993.
한숭홍. 『표준논문작성법』.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1997.
한의신, 『논문작성법』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0.
Eco, U. 『논문 작성법 강의』. 서울: 열린책들, 1994.
인터넷 카피맨. http://user.chollian.net/~west44/mainframe.htm.
Kim's 논문정보 서비스센터. http://myhome.shinbiro.com/~KIM0510/index-1.html.
  • 가격5,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81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