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나라 2대왕인 수양제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나라 2대왕인 수양제에 대해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수나라 제2대 황제 수양제

수나라 제2대 황제 양광(楊廣, 569~618년, 재위 604~618년)의 시호인 양제(煬帝)는 '불길이 세다'를 뜻하는 양(煬)을 포함하고 있지만, 그의 생애는 불(火)보다는 물(水)과 더 밀접했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그는 물로 흥하고 물로 망한 군주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양제가 물로 흥했다고 하는 것은 그가 중국 역사에서 기념비적인 대운하 건설을 벌였기 때문이다. 남북조(南北朝)의 분열을 통일한 수나라의 제2대 황제인 그는 산양독(山陽瀆)·통제거(通濟渠)·영제거(永濟渠)·강남하(江南河) 등을 차례로 개수(改修)하거나 개착(開鑿)하였다. 당시의 연호인 대업(大業)처럼, 이 같은 대규모 공사 덕분에 중국의 남과 북은 대운하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었다.

한편, 수양제가 물로 망했다고 하는 것은 그의 30만 별동대가 고구려 살수(薩水)에서 수장(水葬)되는 대패배를 계기로 수나라의 통치질서 전반이 와해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남북조시대의 진(陳)나라나 돌궐·토욕혼 등에 대해서는 군사적 자신감을 가졌던 수양제는 살수(薩水)와 고구려의 벽을

본문내용

담을 안겨주었고, 이를 계기로 전국 각지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수나라는 618년 통일 38년만에 망하게 된다.
양제는 사치와 향락을 즐기고 폭군으로 묘사되고 있지만 대운하 건설이라는 후대에 있어서 큰 업적을 남겼다. 남북조시대 이후 강남의 경제비중은 날로 커져갔다. 양제는 경제적으로 발달한 강남지역을 통치하면서 강북에 위치한 장안과 낙양으로의 물자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필요성을 갖고 남과 북을 연결하는 대운하를 건설하게 된다. 수도인 장안과 낙양으로 양자강유역의 쌀과 소비재를 운송하는 과제의 해결이 당시의 수나라 경제를 활성화시키는 중대한 과업이었다. 이러한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제 때 시작한 대운하 건설은 605년부터 610년까지 4차의 공기로 나누어져 양제 때에 완성되었다. 이 운하는 북으로는 낙양과 북경, 남으로는 항주까지 이르는 2천여 킬로미터의 장대한 물길이다.
중국의 지형은 서고동저(西高東低)로 중국의 대부분의 강들은 서쪽의 청장고원(지금의 리벳과 청해성)에서 발원하여 동쪽으로 흐른다. 이강들은 저지대인 동쪽으로 흐르면서 백하, 황하, 회수, 양자강, 전당강 등 5대강을 이룬다. 이 강들의 지류들은 서로 얽혀 있어 그 지류를 연결하기만 하면 대도시를 연결하는 운하가 건설되는 것이다.
최초의 운하는 광통거였다. 이 운하의 목적은 관동지방의 농산물을 장안으로 수송하기 위한 것이었고, 610년에 완성된 강남하를 마지막으로 5개의 운하(광통거, 한구, 영제거, 통제거, 강남하)를 완성하였다. 이 운하들의 소통은 동서남북으로의 왕조의 통치역을 미치게 하는 한편, 사람과 문물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 지면서 운하의 연변에 인접한 도시들의 발전은 물론 그 지역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운하의 개통은 지리적인 영향으로 분리되었던 중국을 통일하는 대동맥의 구실을 하게 되었다. 양제는 고구려 원정을 준비 하였는대 문제때의 고구려 원정 실패를 거울 삼아 철저한 준비를 한다. 개통된 대운하를 통해 강남의 물자를 능률적으로 강북으로 수송할 수 있게 되었고 영제거를 통해 다량의 군수물자를 고구려 정벌을 위해 북쪽으로 집결 시킬수 있게 되었다. 영제거는 고구려 원정을 위해 건설되었다고 한다.
양제는 대운하의 개통으로 강남과 강북의 사회적 교류로 남북분열을 통합하였다. 그 후 당왕조가 중국을 통일하여 더욱 더 세력을 넓히는데 기틀을 마련하였다. 양제는 비록 고구려원정 실패와 무리한 토목 공사 등으로 백성의 원성을 사서 나중에 부하에게 교살 되지만 대운하 만큼은 중국역사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훌륭한 업적이다.
수나라때 만들어진 대운하를 중국은 지금도 이용하고있다. 우리나라도 현정부가 대운하 정책을 시행 하려고 하고 있다. 과연 운하가 우리실생활에 얼마만큼의 효율성을 가져다 줄 것인지 또한 우리 후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정말 수도 없이 고심해 봐야 할 것이다.
6. 수양제의 문화
기원581년 수문제(隋文帝) 양견(楊堅)이 수조를 세웠다. 수조는 618년 수양제(수煬帝) 양광(楊廣)이 교살될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86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