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예수와 바울의 비교
2. 예수와 바울의 공통점과 차이점
3.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결론들
2. 예수와 바울의 공통점과 차이점
3.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결론들
본문내용
“그리스도의 법”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은 이것이 예수의 계명임을 전승이 강조하였기 때문이다.
② 서로 사랑하라: 단지 요한에게서가 아니라 예수에게서 나온 말씀
예수가 구체적으로 제자들에게 “서로 사랑하라”고 명했다는 것은 오직 제 4복음서만 나온다는 사실이다. 제 4복음서에 나오는 “사랑” 계명이 겉보기에 내부적 성격을 지니는 것처럼 보인다는 사실 때문에, 학자들은 이 말씀이 예수에게로 소급되는 것이 아니라 요한의 교회 상황을 반영하는 것을 보아 왔다. 우리는 “서로 사랑하라”는 단지 요한의 교회와 결부되어 강조되었던 것이 아니라 예수 자신의 가르침에 그 뿌리를 두고 있었다고 어느 정도 자신 있게 결론 내릴 수 있다. 신약 성경의 많은 곳에 이 사상이 두루 퍼져 있다는 사실이 이를 확증해 준다. 예를 들면 베드로전서 1:22 데살로니가전서 3:12; 4:9; 5:15; 데살로니가 후서 1:3 골로새서 3:12-14: 에베소서 4:32이다.
③ 바울이 예수 전승을 사용하였음을 보여 주는 또 다른 증거들
바울이 형제 사랑에 관한 예수의 가르침을 알고 있었음을 보여 주는 몇몇 증거들이 더 있다. 이를테면 데살로니가전서 4:9에서 바울은 “형제 사랑에 관하여는 너희에게 쓸 것이 없음은 너희가 친히 하나님의 가르치심을 받아 서로 사랑함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데살로니가전서 5:13에서 바울은 “너희끼리 화목하라”고 말하는데, 이는 마가복음 9:50의 “서로 화목하라”와 어휘상으로 매우 유사하다.
(3) 겸손한 섬김
겸손하게 남을 섬기는 것의 중요성은 예수 전승과 바울 서신 둘 다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마태 20:20-28/마가 10:35-45에서 야고보와 요한이 하나님 나라에서 첫째가는 자리를 달라하자 예수는 세속의 리더십과 종의 리더십을 대비시킨 후에 “인자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는 절정이 되는 말씀을 던진다. 예수가 제자들의 발을 씻긴다는 요한복음 13장의 이야기는 주제상으로 매우 비슷한데, 예수의 겸손한 행위는 종으로서의 섬김을 표현하고 자신의 다가올 죽음을 미리 보여 준다. 겸손과 섬김이라는 주제는 마태복음 23:12에서도 발견 된다: “누구든지 자기를 높이는 자는 낮아지고 누구든지 자기를 낮추는 자는 높아지리라”
3.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결론들
바울은 이혼 및 복수에 관한 예수의 가르침을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 바울은 예수의 “한 몸” 및 “고자” 말씀들, 마리아와 마르다 이야기, 사랑- 원수, 이웃, 서로에 대한 사랑(“그리스도의 법”) -에 관한 예수의 가르침의 상당 부분, 가이사에게 세금을 내라는 말씀, “소자들을 받는 것”과 “그들을 실족하게 하지 말라는 것”에 관한 말씀, “판단하지 말라”는 예수의 금령, 맹세에 대한 금령, 겸손한 섬김(대속물 말씀을 포함한)에 관한 가르침도 알고 있었을 것이다. 또한 바울은 화평하게 하는 것, “소금”과 ”빛”에 관한 말씀들, 예수가 도입어로 사용한 “아멘” 실족하게 하는
② 서로 사랑하라: 단지 요한에게서가 아니라 예수에게서 나온 말씀
예수가 구체적으로 제자들에게 “서로 사랑하라”고 명했다는 것은 오직 제 4복음서만 나온다는 사실이다. 제 4복음서에 나오는 “사랑” 계명이 겉보기에 내부적 성격을 지니는 것처럼 보인다는 사실 때문에, 학자들은 이 말씀이 예수에게로 소급되는 것이 아니라 요한의 교회 상황을 반영하는 것을 보아 왔다. 우리는 “서로 사랑하라”는 단지 요한의 교회와 결부되어 강조되었던 것이 아니라 예수 자신의 가르침에 그 뿌리를 두고 있었다고 어느 정도 자신 있게 결론 내릴 수 있다. 신약 성경의 많은 곳에 이 사상이 두루 퍼져 있다는 사실이 이를 확증해 준다. 예를 들면 베드로전서 1:22 데살로니가전서 3:12; 4:9; 5:15; 데살로니가 후서 1:3 골로새서 3:12-14: 에베소서 4:32이다.
③ 바울이 예수 전승을 사용하였음을 보여 주는 또 다른 증거들
바울이 형제 사랑에 관한 예수의 가르침을 알고 있었음을 보여 주는 몇몇 증거들이 더 있다. 이를테면 데살로니가전서 4:9에서 바울은 “형제 사랑에 관하여는 너희에게 쓸 것이 없음은 너희가 친히 하나님의 가르치심을 받아 서로 사랑함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데살로니가전서 5:13에서 바울은 “너희끼리 화목하라”고 말하는데, 이는 마가복음 9:50의 “서로 화목하라”와 어휘상으로 매우 유사하다.
(3) 겸손한 섬김
겸손하게 남을 섬기는 것의 중요성은 예수 전승과 바울 서신 둘 다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마태 20:20-28/마가 10:35-45에서 야고보와 요한이 하나님 나라에서 첫째가는 자리를 달라하자 예수는 세속의 리더십과 종의 리더십을 대비시킨 후에 “인자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는 절정이 되는 말씀을 던진다. 예수가 제자들의 발을 씻긴다는 요한복음 13장의 이야기는 주제상으로 매우 비슷한데, 예수의 겸손한 행위는 종으로서의 섬김을 표현하고 자신의 다가올 죽음을 미리 보여 준다. 겸손과 섬김이라는 주제는 마태복음 23:12에서도 발견 된다: “누구든지 자기를 높이는 자는 낮아지고 누구든지 자기를 낮추는 자는 높아지리라”
3.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결론들
바울은 이혼 및 복수에 관한 예수의 가르침을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 바울은 예수의 “한 몸” 및 “고자” 말씀들, 마리아와 마르다 이야기, 사랑- 원수, 이웃, 서로에 대한 사랑(“그리스도의 법”) -에 관한 예수의 가르침의 상당 부분, 가이사에게 세금을 내라는 말씀, “소자들을 받는 것”과 “그들을 실족하게 하지 말라는 것”에 관한 말씀, “판단하지 말라”는 예수의 금령, 맹세에 대한 금령, 겸손한 섬김(대속물 말씀을 포함한)에 관한 가르침도 알고 있었을 것이다. 또한 바울은 화평하게 하는 것, “소금”과 ”빛”에 관한 말씀들, 예수가 도입어로 사용한 “아멘” 실족하게 하는
추천자료
기독교 선교를 논할 때 바울의 선교는 결코 무시되거나 경시될 수 없다
김세윤 박사의 바울복음의 기원 서평
선교사가 그린 선교사 바울의 생애를 읽고
갈라디아서의 정의와 바울의 이해
갈라디아서에 나타난 바울의 복음사상
로마의 네로, 그리스도 박해, 성베드로와 바울에 대해
로마서 9-11장에서 혈통적 이스라엘에 대한 바울의 입장은 무엇입니까
(신학)사도 바울의 선교신학 - 조귀삼
[신약성경해석 서평] 바울의 영성 : 떨림(십자가) ·울림(윤리) ·어울림(공동체)
사복음서외 마태복음,요한복음,바울의 3차 전도여행
이스라엘에 대한 바울의 입장
[신약신학] (요약) 간추린 신약신학 - 제6장 바울이 말하는 하나님과 그리스도의 구원사역
데살로니가전서에 나타난 바울의 종말론
[설교말씀][설교본문말씀-골로세서 1장 3-8절] 바울의 감사 (기독교, 교회, 말씀, 성경, 성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