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와 세계여러나라의 전래동요의 유래 및 특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와 세계여러나라의 전래동요의 유래 및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전래동요란 무엇인가
2. 전래동요의 분류
3. 전래동요의 음악적 특징
4. 우리나라 전래 동요
5. 외국의 전래동요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본다. 전래동요를 음악적 특징인 구성음으로 분류해서 2음 구성, 3음 구성, 4음 구성, 5음 구성으로 살펴본 결과 3음 구성곡이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은 4음 구성, 2음 구성, 5음 구성곡 순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전래동요의 보편적인 특징은 3음 구성, 하행 선율의 반복, 3소박 사용, ♩♪의 리듬, 자진모리장단이라고 볼 수 있다. 종지형은 대부분 최저음 종지이지만, 3음 구성인 4도+3도(E-A-c)의 진행에서는 중간음인 A음 종지를 하는 점이 차별화되기도 한다. 시작과 종지부분에서의 특징은 시작음을 구성음 중 최고음으로 질러내어 첫 박을 강조하고, 종지부분은 앞과 유사한 선율 형태에서 한 두 음이 추가되기도 한다. 이러한 특징들은 본인이 선별한 많은 곡에서 나타나고 있긴 하지만, 이에 해당하지 않은 곡도 있음을 밝혀둔다.
4. 우리나라 전래 동요
1) 자장 노래
우리 나라의 자장 노래들은 민요 중에서도 때와 장소를 가지지 않고 가장 보편적으로 불려졌던 노래입니다. 자장 노래는 어린이들이 직접 부르기보다는 아기를 잠재우는 사람들이 아기를 재우며 아기에게 애정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불렀습니다. 자장 노래의 대부분은 아기가 잘자라기를 바라는 축원의 성격을 띤 것이 대부분입니다.
자장자장 우리 애기
자장자장 우리 애기
넘애기는 깨워 주고
꽃이불에 재워 주고
개똥이불에 재워 주고
울애기는 재워주고
울애기는 꽃방석에
넘애기는 개똥밭에
자장자장 우리애기 잘도 잔다.
<전북 부안 지방>
2) 자연 현상에 대한 노래
해야 해야
해야 해야 붉은 해야
김칫물에 밥 말아 먹고
장구치고 나오너라.
<함북 성진 지방>
이 노래는 해가 구름에 가려졌을 때 구름을 헤치고 환하게 나타나기를 바라는 마음을 노래한 것입니다.
3) 가족에 대한 노래
가족
뒷집영감 심술쟁이 앞집영감 욕보쟁이
울아버지 골통쟁이 울어머니 카트랑쟁이
우리오빠 욕심쟁이 우리누나 헛말쟁이
우리동생 귀염둥이
<대전>
이 노래는 이웃과 가족들의 미운점을 중심으로 이웃과 가족을 놀리는 노래입니다.
4) 놀이에 대한 노래
꼬마야, 꼬마야, 뒤로 돌아라
꼬마야, 꼬마야, 뒤로 돌아라
꼬마야, 꼬마야, 땅을 짚어라
꼬마야, 꼬마야, 만세를 불러라
꼬마야, 꼬마야, 잘 가거라
<거의 전국적으로 불리워짐>
이 노래는 긴 줄을 이용하여 두 명의 어린이가 줄을 돌리고 다른 여러 명의 어린이가 한 줄로 서서 한 사람씩 줄넘기를 하며 부르는 노래입니다.
여우야 여우야 뭐하니?
한 고개 넘어 갔다. 두 고개 넘어 갔다.
여우야 여우야 뭐하니? 잠잔다. 잠꾸러기
여우야 여우야 뭐하니? 세수한다. 멋장이
여우야 여우야 뭐하니? 밥먹는다.
무슨반찬? 개구리 반찬
죽었니? 살았니?
<서울>
이 노래는 술래잡기 노래입니다. 한 어린이가 술래가 되고 다른 어린이들은 술래로 부터 조금 떨어진 곳에 손에 손을 잡고 줄지어 서서 처음 부분은 술래와 함께 합창을 하고 다음은 어린이 모두와 술래가 돌아가며 부릅니다. 끝부분에서 술래가 \"살았다.\"라고 응답하면 술래를 피해 도망가야 하며 붙잡히면 술래가 됩니다. 그러나 \"죽었다\"라고 응답하면 오히려 도망가려고 움직인 사람이 술래가 됩니다.
6) 동물에 대한 노래
두껍아, 두껍아
두껍아, 두껍아, 헌 집 줄께.
두껍아, 두껍아 물길러 오너라
두껍아, 두껍아 너희 집 지어 줄께.
두껍아, 두껍아 너희집에 불났다.
솔이랑 가지고 뚤래뚤래 오너라.
<경기도 지방>
이 노래는 어린이들이 모래 놀이를 하면서 자신의 손 위에 모래를 쌓아 올려 두드리며 모래집을 만들면서 부르던 노래입니다. 모래집을 다 만든 후에는 모래집이 망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손을 살짝 빼야 합니다.
기러기 노래
아침 바람 찬 바람에, 울고 가는 저 기러기.
우리 선생 계실 적에, 엽서 한 장 써 주세요.
한 장 말고 두 장이요, 두 장 말고 세 장이요
세 장 말고 네 장이요. 네 장 말고 다섯 장이요
구리 구리 구리 구리 가위, 바위, 보!
<서울과 충북 지방>
이 노래는 두 어린이씩 짝을 지어 서로 상대방의 손뼉을 치거나 간단한 손 움직임을 하면서 부르던 노래입니다. 이 노래를 다 부른 후에는 가위, 바위, 보에서 이긴 어린이가 자신의 손가락 중 한 손가락의 끝부분으로 진 어린이의 목 뒤를 살짝 찍은 후 \"어느 손\" 하고 물으면 목 뒤에 느껴진 감각대로 목 뒤에 닿은 손가락이 어느 손가락인지를 알아 맞추는 놀이를 합니다.
7) 식물에 대한 노래
참나무 뽕나무 대나무
참나무허구 뽕나무허구 대나무가 살았는데
뽕나무가 방구를 뻥뻥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96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