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함께 누리는 생명의 문이든지 인간의 갈망 을 궁극적으로 채워주실 유일하신 분과 영원히 갈라서는 문이든지 둘 중의 하나이 다.
7. 윤리는 초월적이고 그것은 선으로서의 하나님의 속성에 근거하고 있다.
8. 역사는 직선적인 것으로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계획을 성취시켜 가는 의미있는 사 건들의 연속이다. 하나님의 위대성이 기독교 유신론의 중심교리이다. 기독교 유신 론을 잘 이해한 자는 자신의견해가 옳다고 믿거나 선포하는 데서 그치지 않는다. 그의 주된 행동은 하나님을 향한 것이다. 그의 창조주이며,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구속자요 친구가 되신 우주의 주재께 순종과 찬양을 드리는 것이다.
제3장 시계와 같은 우주: 미신론
이신론의 성립에 영향을 준 다른 요소는 신지식에 대한 권위의 근거가 변화한 것이다. 그 근거는 성경의 특별 계시로부터 사람의 마음에 있는 직관으로 옮기어졌다. 이신론은 하나님을 단지 \"자연\"을 통해서만 알 수 있는 분으로 보았는데, 그 자연이란 우주의 구 조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신론의 기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제 1원인인 초월적 하나님이 우주를 창조하셨으나 스스로 운행하도록 버려 두셨 다. 따라서 하나님은 내재하지도 않으시고, 완전한 인격도 아니시고, 인간사의 주관자도 아니시며 섭리자도 아니시다.
2. 하나님이 창조하신 우주는, 폐쇄체계 안에서 인과 율의 일치체로 창조되었기 때문 에 결정론적인 성격을 지닌다. 따라서 어떠한 기적도 일어날 수 없다.
3. 인간은 비록 인격체이지만 우주라는 기계의 한 부품이다. 이신론자들도 사람에게 는 지성, 도덕성, 사회성과 창조성이 있음을 강조한다. 그러나 이 모든 성품들은 비록 피조물인 인간에게 구축된 성품들이지만 하나님의 속성에 근거를 두고 있지 않다. 인간은 그저 인간일 뿐이다.
4. 우주, 즉 이세상은 타락했거나 비정상적 상태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정상적 상채에 있다. 인간은 우주를 알 수 있고, 우주를 연구함으로써 하나님이 어떠한 분인지를 확실히 알 수 있다. 이신론자들이 발견한 하나님은 하나의 조물주이지, 사랑과 심판 을 베푸시는 분이거나 인격을 지니신 분은 아니었다.
5. 윤리는 일반계시에 국한된다. 우주는 정상이기 때문에, 그것은 무엇이 옳은가를 보 여준다. 결국 존재하는 모든 것은 옳다는 주장인데, 이 입장은 죄라는 개념 자체가 없어진다.
6. 창조시에 역사의 과정이 정해졌기 때문에 역사는 직선적이다.
이신론은 그 수명이
7. 윤리는 초월적이고 그것은 선으로서의 하나님의 속성에 근거하고 있다.
8. 역사는 직선적인 것으로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계획을 성취시켜 가는 의미있는 사 건들의 연속이다. 하나님의 위대성이 기독교 유신론의 중심교리이다. 기독교 유신 론을 잘 이해한 자는 자신의견해가 옳다고 믿거나 선포하는 데서 그치지 않는다. 그의 주된 행동은 하나님을 향한 것이다. 그의 창조주이며,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구속자요 친구가 되신 우주의 주재께 순종과 찬양을 드리는 것이다.
제3장 시계와 같은 우주: 미신론
이신론의 성립에 영향을 준 다른 요소는 신지식에 대한 권위의 근거가 변화한 것이다. 그 근거는 성경의 특별 계시로부터 사람의 마음에 있는 직관으로 옮기어졌다. 이신론은 하나님을 단지 \"자연\"을 통해서만 알 수 있는 분으로 보았는데, 그 자연이란 우주의 구 조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신론의 기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제 1원인인 초월적 하나님이 우주를 창조하셨으나 스스로 운행하도록 버려 두셨 다. 따라서 하나님은 내재하지도 않으시고, 완전한 인격도 아니시고, 인간사의 주관자도 아니시며 섭리자도 아니시다.
2. 하나님이 창조하신 우주는, 폐쇄체계 안에서 인과 율의 일치체로 창조되었기 때문 에 결정론적인 성격을 지닌다. 따라서 어떠한 기적도 일어날 수 없다.
3. 인간은 비록 인격체이지만 우주라는 기계의 한 부품이다. 이신론자들도 사람에게 는 지성, 도덕성, 사회성과 창조성이 있음을 강조한다. 그러나 이 모든 성품들은 비록 피조물인 인간에게 구축된 성품들이지만 하나님의 속성에 근거를 두고 있지 않다. 인간은 그저 인간일 뿐이다.
4. 우주, 즉 이세상은 타락했거나 비정상적 상태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정상적 상채에 있다. 인간은 우주를 알 수 있고, 우주를 연구함으로써 하나님이 어떠한 분인지를 확실히 알 수 있다. 이신론자들이 발견한 하나님은 하나의 조물주이지, 사랑과 심판 을 베푸시는 분이거나 인격을 지니신 분은 아니었다.
5. 윤리는 일반계시에 국한된다. 우주는 정상이기 때문에, 그것은 무엇이 옳은가를 보 여준다. 결국 존재하는 모든 것은 옳다는 주장인데, 이 입장은 죄라는 개념 자체가 없어진다.
6. 창조시에 역사의 과정이 정해졌기 때문에 역사는 직선적이다.
이신론은 그 수명이
키워드
추천자료
기독교 교육 사상
[사회과학] 현대성과 현대문화
율곡 교육사상의 성립배경과 현대적 의의
기독교교육의 의의
기독교와 이슬람 사상에 대한 연구
코메니우스의 기독교 교육 사상 연구
기독교 역사와 사상
현대 교육철학(교육사상) 갈래, 현대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듀이, 현대 교육철학자(교육사...
기독교(그리스도교)의 역사, 기독교(그리스도교)의 창조론, 기독교(그리스도교)의 윤리, 기독...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세계관과 역사,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죽음, 그리스도교(기독교)의 포...
[일제하 교회, 기독교, 민족구원사상]일제하 교회(기독교)의 전래, 일제하 교회(기독교)의 민...
현대 개혁주의 세계관적 관점의 영유아교육 - 영유아교육 목적에서의 적용, 영유아교육 내용...
루소(Rousseau)의 교육사상을 정리하고 현대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에 대해 논하시오
[코메니우스(Johann Amos Comenius) 교육사상 (敎育思想)] 코메니우스의 생애와 교육사상 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