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설계의 개념
2. 실험설계의 기본조건
3. 실험설계의 타당도
4. 내적 타당도 저해요인
5. 내적타당도 저해요인 통제방법
6. 참고문헌
2. 실험설계의 기본조건
3. 실험설계의 타당도
4. 내적 타당도 저해요인
5. 내적타당도 저해요인 통제방법
6.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고자 하는 바를 정확히 측정했는가에 대한 개념이다. 따라서 실험설계의 타당도란 해당 실험설계가 가설이나 연구문제를 얼마나 잘 정확하게 검증할 수 있는가를 말하는 것으로 실험과정에서 외생변수들의 영향이 통제되어야 타당도가 높다고 할수 있다
4. 내적 타당도 저해요인
1) 내적요인
① 사건
연구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실험도중 어떤 사건이 우발적으로 발생하여 이로 인해 종속변수가 변화된 경우
금연프로그램→금연효과(니코틴수치)를 했는데 실제로 금연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실험도중 방소에서 대대적인 금연 캠페인이 이루어져서(사건)금연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②시간적 경과 혹은 성숙효과
실험기간에 발생하는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성숙을 의미
성폭력 피해영성을 대상으로 자조집단프로그램을 1월부터 6월까지 6개월동안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우울지수가 많이 줄었다. 그러나 우울경감효과가 프로그램때문인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사건의 스트레스가 완화되어 나타난 우울경감인지 확실히 구별할 수 없다.
③테스트 효과
사전검사가 사후검사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측정변수인 종속변수가 변화된 경우
영어교육프로그램--영어능력(Toeic)결과 영어 능력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변화된 것이 프로그램에 의해서 됐는지, 아니면 사전검사의 기억력이 사후검사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다.
④도구
테스트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사전, 사후 척도를 동일한 것으로 하지 않고 유사한 척도를 활용하는 경우, 만약 변화가 있다면 독립변수에 의한 변화인지 아니면 사전,사후 척도의 차이 때문에 발생했는지 확연히 구별할 수 없는 문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 적응력을 실시하고자 한다
적응력(종속변수) 척도를 신뢰도와 타당도가 비슷한 2개의 척도를 사전, 사후 검사에 활용하였다. 실헙결과 별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없는것인지, 아니면 사전, 사후척도의 차이 때문에 효과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건지 확실히 구별할 수 없다.
⑤통계적 회귀
종속변수의 사전검사 값이 극단값(가장 높거나 낮은 경우)은 사후검사에서 독립변수의 효과가 없더라도 효과가 있는 것처럼 나타난다. 즉 사전검사에 가장 낮은 값을 기록한 사람은 사후검사시 그 점수보다 높은 점수가 나타날 확률이 높으며, 반면에 사전검사시 가장 최상 점수를 얻은 개인은 사후검사시 사전검사 점수보다 낮은 점수를 얻을 확률이 높다.
방과후 저소득층 가정의 아동(대체적으로 영어수준이 낮다.
4. 내적 타당도 저해요인
1) 내적요인
① 사건
연구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실험도중 어떤 사건이 우발적으로 발생하여 이로 인해 종속변수가 변화된 경우
금연프로그램→금연효과(니코틴수치)를 했는데 실제로 금연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실험도중 방소에서 대대적인 금연 캠페인이 이루어져서(사건)금연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②시간적 경과 혹은 성숙효과
실험기간에 발생하는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성숙을 의미
성폭력 피해영성을 대상으로 자조집단프로그램을 1월부터 6월까지 6개월동안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우울지수가 많이 줄었다. 그러나 우울경감효과가 프로그램때문인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사건의 스트레스가 완화되어 나타난 우울경감인지 확실히 구별할 수 없다.
③테스트 효과
사전검사가 사후검사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측정변수인 종속변수가 변화된 경우
영어교육프로그램--영어능력(Toeic)결과 영어 능력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변화된 것이 프로그램에 의해서 됐는지, 아니면 사전검사의 기억력이 사후검사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다.
④도구
테스트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사전, 사후 척도를 동일한 것으로 하지 않고 유사한 척도를 활용하는 경우, 만약 변화가 있다면 독립변수에 의한 변화인지 아니면 사전,사후 척도의 차이 때문에 발생했는지 확연히 구별할 수 없는 문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 적응력을 실시하고자 한다
적응력(종속변수) 척도를 신뢰도와 타당도가 비슷한 2개의 척도를 사전, 사후 검사에 활용하였다. 실헙결과 별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없는것인지, 아니면 사전, 사후척도의 차이 때문에 효과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건지 확실히 구별할 수 없다.
⑤통계적 회귀
종속변수의 사전검사 값이 극단값(가장 높거나 낮은 경우)은 사후검사에서 독립변수의 효과가 없더라도 효과가 있는 것처럼 나타난다. 즉 사전검사에 가장 낮은 값을 기록한 사람은 사후검사시 그 점수보다 높은 점수가 나타날 확률이 높으며, 반면에 사전검사시 가장 최상 점수를 얻은 개인은 사후검사시 사전검사 점수보다 낮은 점수를 얻을 확률이 높다.
방과후 저소득층 가정의 아동(대체적으로 영어수준이 낮다.
추천자료
의사소통과 언어평가의 설계
실험법 (experiment)
조사설계(research design)
[구조실험] 구조실험(압축강도)
단일사례설계 분석의 의의
실험연구의 이해
단일피험자실험연구
순수 실험 조사디자인과 유사 실험 조사디자인에 대하여 논하시오.
조사설계 연구디자인의 전제조건
단일사례설계의 유형과 적용
사회복지조사론 - 관찰법(관찰의 의의, 관찰법의 장점과 단점, 관찰법의 유형, 관찰의 내용, ...
[사회복지조사론] 단일사례설계의 개념과 특성 및 단일사례설계 과정과 측정방법
프랜차이즈 브랜드 - 소비자개성 일치성이 신뢰, 만족,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이론적 고찰, ...
[사회복지조사론 단일체계설계] 사회복귀시설의 직업재활 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