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논어 감상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 논어 감상문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으면 백성은 진심으로 복종하지 않는다.”
- 훌륭하고 올바른 사람을 등용해서 백성을 다스리게 하면 백성들 스스로 진심으로 복종하여 잘 따르게 되는 것이지만, 옛날의 군왕들은 그런 사실을 알면서도 잘 행하지 않았으므로 공자는 이런 사실을 다시 한 번 얘기한 것이다.
위정편에서는 군주의 올바른 다스림과 정치의 기본에 대하여 가르치고 있다.
<3편 팔일(八佾)>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 사람이 어질지 않으면 예의가 바른들 무엇하며, 악(樂)을 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사람에게 어진 마음이 없으면 예의가 있고 악을 안다 하더라도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어질지 않은데 남에게 대하는 태도나 재주가 뛰어나다면 위험한 사람이라 할 수 있다.
팔일장에서는 기예와 학문도 덕을 바탕으로 해야한다는 내용이 담겨져 있다.
<4편 이인(里仁)>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마을의 풍속이 어질어야 사람의 마음도 아름답게 되는 것이니, 어진 곳을 택하여 살지 않는다면 어찌 지혜로운 자라고 할 수 있으리요!.”
- 이 글은 마을의 풍습이 어질고 후하지 않으면 자연 그곳에 사는 사람의 성격까지 변하게 될 것이기에 누구나 지혜로운 사람이라면 자기가 몸담고 살 마을을 잘 선택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말이다. 맹모 삼천지교 라는 말이 그 예일 것이다. 이인편에서는 예를 행함에 있어서 이웃의 중요성을 얘기하고 있다.
<5편 공야장(公冶長)>
공자께서 “공야장은 가히 사위를 삼을 만하다. 비록 그가 검은 노끈으로 묶여 있었으나 그것은 그 사람의 죄가 아니니라.” 하고시 그의 딸을 공야장의 아내로 주셨다.
-이 글은 공자가 사윗감을 고를 때 한 말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43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