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친환경 농법의 개념
2. 국내 친환경 농업의 여건
3. EM의 개념
4. EM의 핵심이 되는 미생물
Ⅱ. 친환경 농업 연구사례
1. 동물성 아미노산을 이용한 브로콜리 유기재배
2. EM을 이용한 오이재배
3. 저농약 한라봉 재배
4. 무농약 노지감귤 재배
5. 키토산과 EM을 활용한 하우스 감귤재배
Ⅲ. 결론
1. 친환경 농법의 개념
2. 국내 친환경 농업의 여건
3. EM의 개념
4. EM의 핵심이 되는 미생물
Ⅱ. 친환경 농업 연구사례
1. 동물성 아미노산을 이용한 브로콜리 유기재배
2. EM을 이용한 오이재배
3. 저농약 한라봉 재배
4. 무농약 노지감귤 재배
5. 키토산과 EM을 활용한 하우스 감귤재배
Ⅲ. 결론
본문내용
좁은 토양에서 많은 인구를 부양하기 위해 화학비료, 농약사용에 많이 의존했다.
② 90년대 중반이후 친환경 농업을 본격 추진하여 화학비료 투입은 상당히 검소하고 있으나 농약사용량은 큰 변화가 없다.
③ 소비자들은 고품질 안전 농산물 선호 및 친환경직불제 등의 지원책에 힘입어 친환경농산물은 급속한 증가세를 보였으며 현재에는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인식이 많이 개선되었으며, 선진농업을 주도하는 영농계층에서 친환경농업에 대한 기술을 숙지하고 실천하고 있다.
④ 친환경농산물 시장의 유통규모 전망 단위(억)
구분
2005
2007
2009
2010
2014
곡류
채소류
과실류
서류
특작류
1,560
2,138
612
107
322
1,872
2,672
734
128
370
2,696
4,175
1,058
185
490
4,658
8,154
1,827
319
745
8,147
16,908
3,196
558
1,090
총계
4,738
5,777
8,602
15,703
29,899
친환경농산물 시장의 유통거래액을 추정하기 위해 부분별 성장률 적용하였다.
3. EM의 개념
EM이란 Effective Micro-organism의 약자로서 유용 미생물군이란 뜻이다. 여기서 유 용하다는 것은 항산화 물질을 생성하는 소생형이라는 의미이다. 자연계에는 원래 쓸모 없 는 것이 없으므로 유용에 대한 정의를 내리기는 매우 힘들다. 인간에게 유용 여부를 하나 의 척도로 보아도 미생물의 종류는 에 따라서는 때론 유용하다가도 유용하지 않은 것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EM은 다양한 미생물 집단이기 때문에 농업에서나 환경을 보전하는데 있어서 대단히 폭넓고 뛰어난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다양한 항산화 물질을 생성하는 상태가 되면 적은 종류의 미생물로도 효과를 볼 수도 있지만 생물정보의 안전도를 고려한다면 미생물의 종류가 많을수록 좋다. 결론적으로 EM은 미생물의 생태계를 회복시켜주는 매우 중요한 미생물이다. 동시에 소생형으로 회복된 미생물 생태계 그 자체가 EM이기도 하다.
4. EM의 핵심이 되는 미생물
① 광합성 세균
- 광합성 세균은 환원력이 강한 상태에서는 유기물을 생성하고 산화력이 강한 상태에서는 유기물의 저분자화를 통해 항산화 물질을 만들어 내는 생태계의 핵심적 미생물이다.
② 효모균
- 효모균은 유전적 변형이 없고 각종 생리 활성물질인 비탄민, 지베렐린등을 생성한다.
③ 유산균
- 유산균의 경우 최근에 등장한 미생물로서 역사적으로는 징기스칸 당시 우유 발효에 이용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김치, 액젓, 발효 시 이용되어온 낯익은 미생물이다. 유산균은 발효와 정균작용을 한다.
Ⅱ. 친환경 농업 연구사례
1. 동물성 아미노산을 이용한 브로콜리 유기재배
△ 재배농가: 제주도 북제주군 한림읍 대림리
△ 실천동기
브로콜리 유기재배에 있어 화학비료 및 농약을 일체 사용하지 않는 대신 친환경자재인 동물성 아미노산을 이용하여 친환경 브로콜리 생산을 목적으로 함.
브로콜리는 작형이 겨울재배로 이 시기에는 작물의 비료 흡수력이 떨어지는 시기이나 액비를 이용하여 비료 흡수력을 높이고 또한 제주에는 생선이 많아 재료구입이 용이함.
△ 동물성(생선) 아미노산
제조방법
각종 생선의 내장, 뼈, 머리 등의 부산물을 같은 무게의 흑설탕과 혼합하여 2~3일이 경 과하면 액체가 생기기 시작하며 그 상태로 7~10일이 지나 완성된 것을 액체만 추출하여 사용한다. 여기에 요소를 첨가해 질소성분을 보충하는 비료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생선은 고등어나 정어리와 같이 등푸른 생선이 좋다고 한다.
재료명
PH
질소(%)
인산(%)
칼리(%)
칼슘(%)
마그네슘(%)
아미노산
4.5
1.95
0.69
0.18
0.45
0.05
성분
생선폐기물을 원료로 사용하는 아미노산은 질소, 인산, 칼리 등의 함량이 다른 자재에 비하여 많음.
△ 재배요점
정식: 9월 상순
수확: 12월 중순 ~ 익년 2월 중순
비료시용
-정식 전에 500배액으로 포전 전면에 고루 살포하고 경운 후에 작물을 정식하며 활착이 시작되면 액비를 관주한다.
-정식 후 20일 후부터 월 1회 3~4회 살포한다.
△ 재배기술
아미노산액비는 기온과 관계없이 살포 후5일 후면 흡수가능하다.
액비를 관주함으로써 해충에 대한 기피효과까지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으며, 11월 이 되면 기온이 내려가 화학비료는 흡수가 늦는데 액비는 흡수가 가능하여 1,000L/10a 당 관주를 한다.
생육후반기에 300배까지 관주하면 서리피해와 질소부족으로 인한 안토시안 발생도 없 어져 작물생육과 경영비 절감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fig1. 브로콜리 fig2. 브로콜리를 이요한 가공식품
fig3. 생선액비 발효과정
2. EM을 이용한 오이재배
△ 재배농가: 제주도 북제주군 애월읍 구엄리
△ 유산균
제조방법
쌀을 세척할 때 나오는 첫 번째 뜨물을 항아리에 10~15cm 정도가 되도록 붙는다. 창호 지 등 공기가 유통되는 종이를 사용하여 덮개를 하고 그늘에 두면 20~25°에서 5~6일이 지나면 유산균이 증식되어 특유의 신맛과 냄새가 난다. 이렇게 증식된 유산균을 우유에 접종한다. 우유의 10% 정도를 접종하면 5~6일이 지나면 전분, 단백질, 지방 등은 상층으 로 떠오르고 유산균은 밑바닥에 황색을 띤 액체로 남는데 이것을 희석하여 사용한다.
-자가제조: 물 1000L + 우유80L + EM6L +당밀 20L
재료명
PH
질소(%)
인산(%)
칼리(%)
칼슘(%)
마그네슘(%)
유산균
4.2~4.7
0.2~0.22
0.05~0.58
0.06~0.36
0~0.05
0~0.07
성분
수집재료에 따라 성분함량이 상이하다.
△ 재배요점
유산균: 일주일 1회 관주
어액: 한달에 1회 관주, 한 달 1회 엽면시비
-농가제조: 생선1000L +당밀 4말 + EM 12L + 물 2말
우분: 겨울에 300평당 15ton 시비
△ 효과
역병 억제 등 연작피해 해소
생육속도 증가 : 기존 1.5배
수확량 증가: 기존 1.5배
품질향상: 비상품성 오이가 적고 당도가 높아짐-상품율 90%(기존 70%)
총출하량 2배 증가- 경상수익 2배 증가
△ 해결문제
병해충 개선
-병: 5월: 별무늬병, 노균병,
② 90년대 중반이후 친환경 농업을 본격 추진하여 화학비료 투입은 상당히 검소하고 있으나 농약사용량은 큰 변화가 없다.
③ 소비자들은 고품질 안전 농산물 선호 및 친환경직불제 등의 지원책에 힘입어 친환경농산물은 급속한 증가세를 보였으며 현재에는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인식이 많이 개선되었으며, 선진농업을 주도하는 영농계층에서 친환경농업에 대한 기술을 숙지하고 실천하고 있다.
④ 친환경농산물 시장의 유통규모 전망 단위(억)
구분
2005
2007
2009
2010
2014
곡류
채소류
과실류
서류
특작류
1,560
2,138
612
107
322
1,872
2,672
734
128
370
2,696
4,175
1,058
185
490
4,658
8,154
1,827
319
745
8,147
16,908
3,196
558
1,090
총계
4,738
5,777
8,602
15,703
29,899
친환경농산물 시장의 유통거래액을 추정하기 위해 부분별 성장률 적용하였다.
3. EM의 개념
EM이란 Effective Micro-organism의 약자로서 유용 미생물군이란 뜻이다. 여기서 유 용하다는 것은 항산화 물질을 생성하는 소생형이라는 의미이다. 자연계에는 원래 쓸모 없 는 것이 없으므로 유용에 대한 정의를 내리기는 매우 힘들다. 인간에게 유용 여부를 하나 의 척도로 보아도 미생물의 종류는 에 따라서는 때론 유용하다가도 유용하지 않은 것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EM은 다양한 미생물 집단이기 때문에 농업에서나 환경을 보전하는데 있어서 대단히 폭넓고 뛰어난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다양한 항산화 물질을 생성하는 상태가 되면 적은 종류의 미생물로도 효과를 볼 수도 있지만 생물정보의 안전도를 고려한다면 미생물의 종류가 많을수록 좋다. 결론적으로 EM은 미생물의 생태계를 회복시켜주는 매우 중요한 미생물이다. 동시에 소생형으로 회복된 미생물 생태계 그 자체가 EM이기도 하다.
4. EM의 핵심이 되는 미생물
① 광합성 세균
- 광합성 세균은 환원력이 강한 상태에서는 유기물을 생성하고 산화력이 강한 상태에서는 유기물의 저분자화를 통해 항산화 물질을 만들어 내는 생태계의 핵심적 미생물이다.
② 효모균
- 효모균은 유전적 변형이 없고 각종 생리 활성물질인 비탄민, 지베렐린등을 생성한다.
③ 유산균
- 유산균의 경우 최근에 등장한 미생물로서 역사적으로는 징기스칸 당시 우유 발효에 이용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김치, 액젓, 발효 시 이용되어온 낯익은 미생물이다. 유산균은 발효와 정균작용을 한다.
Ⅱ. 친환경 농업 연구사례
1. 동물성 아미노산을 이용한 브로콜리 유기재배
△ 재배농가: 제주도 북제주군 한림읍 대림리
△ 실천동기
브로콜리 유기재배에 있어 화학비료 및 농약을 일체 사용하지 않는 대신 친환경자재인 동물성 아미노산을 이용하여 친환경 브로콜리 생산을 목적으로 함.
브로콜리는 작형이 겨울재배로 이 시기에는 작물의 비료 흡수력이 떨어지는 시기이나 액비를 이용하여 비료 흡수력을 높이고 또한 제주에는 생선이 많아 재료구입이 용이함.
△ 동물성(생선) 아미노산
제조방법
각종 생선의 내장, 뼈, 머리 등의 부산물을 같은 무게의 흑설탕과 혼합하여 2~3일이 경 과하면 액체가 생기기 시작하며 그 상태로 7~10일이 지나 완성된 것을 액체만 추출하여 사용한다. 여기에 요소를 첨가해 질소성분을 보충하는 비료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생선은 고등어나 정어리와 같이 등푸른 생선이 좋다고 한다.
재료명
PH
질소(%)
인산(%)
칼리(%)
칼슘(%)
마그네슘(%)
아미노산
4.5
1.95
0.69
0.18
0.45
0.05
성분
생선폐기물을 원료로 사용하는 아미노산은 질소, 인산, 칼리 등의 함량이 다른 자재에 비하여 많음.
△ 재배요점
정식: 9월 상순
수확: 12월 중순 ~ 익년 2월 중순
비료시용
-정식 전에 500배액으로 포전 전면에 고루 살포하고 경운 후에 작물을 정식하며 활착이 시작되면 액비를 관주한다.
-정식 후 20일 후부터 월 1회 3~4회 살포한다.
△ 재배기술
아미노산액비는 기온과 관계없이 살포 후5일 후면 흡수가능하다.
액비를 관주함으로써 해충에 대한 기피효과까지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으며, 11월 이 되면 기온이 내려가 화학비료는 흡수가 늦는데 액비는 흡수가 가능하여 1,000L/10a 당 관주를 한다.
생육후반기에 300배까지 관주하면 서리피해와 질소부족으로 인한 안토시안 발생도 없 어져 작물생육과 경영비 절감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fig1. 브로콜리 fig2. 브로콜리를 이요한 가공식품
fig3. 생선액비 발효과정
2. EM을 이용한 오이재배
△ 재배농가: 제주도 북제주군 애월읍 구엄리
△ 유산균
제조방법
쌀을 세척할 때 나오는 첫 번째 뜨물을 항아리에 10~15cm 정도가 되도록 붙는다. 창호 지 등 공기가 유통되는 종이를 사용하여 덮개를 하고 그늘에 두면 20~25°에서 5~6일이 지나면 유산균이 증식되어 특유의 신맛과 냄새가 난다. 이렇게 증식된 유산균을 우유에 접종한다. 우유의 10% 정도를 접종하면 5~6일이 지나면 전분, 단백질, 지방 등은 상층으 로 떠오르고 유산균은 밑바닥에 황색을 띤 액체로 남는데 이것을 희석하여 사용한다.
-자가제조: 물 1000L + 우유80L + EM6L +당밀 20L
재료명
PH
질소(%)
인산(%)
칼리(%)
칼슘(%)
마그네슘(%)
유산균
4.2~4.7
0.2~0.22
0.05~0.58
0.06~0.36
0~0.05
0~0.07
성분
수집재료에 따라 성분함량이 상이하다.
△ 재배요점
유산균: 일주일 1회 관주
어액: 한달에 1회 관주, 한 달 1회 엽면시비
-농가제조: 생선1000L +당밀 4말 + EM 12L + 물 2말
우분: 겨울에 300평당 15ton 시비
△ 효과
역병 억제 등 연작피해 해소
생육속도 증가 : 기존 1.5배
수확량 증가: 기존 1.5배
품질향상: 비상품성 오이가 적고 당도가 높아짐-상품율 90%(기존 70%)
총출하량 2배 증가- 경상수익 2배 증가
△ 해결문제
병해충 개선
-병: 5월: 별무늬병, 노균병,
추천자료
농업계 고등학교(농고) 성격과 목표, 농업계 고등학교(농고) 기준학과, 농업계 고등학교(농고...
농업계 고등학교(농고)의 의의, 농업계 고등학교(농고)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농업계 고등학...
[농업][농업교육][농업의 환경효과][농업교육의 중요설][농업교육의 변천][실과교과]농업의 ...
풀무농업기술고등학교(대안학교)의 특징과 목표, 풀무농업기술고등학교(대안학교)의 원칙, 풀...
[한국농업][우루과이라운드][UR][한국농업의 발전 방향]한국농업의 역사, 한국농업의 기원, ...
[북한농업][북한농업 침체원인][농업협력][경제관리개선조치][북한농업 개방사례]북한농업 실...
[여성농업인][여성농업인 정책][여성농업인 관련법][여성농업인 이중소외]여성농업인의 특성,...
[북한농업][생산분배체계][경제관리개선조치][조직혁신방안]북한농업의 침체원인, 북한농업의...
[농업][농업 발달][농업 특질][농업 변화][농업 플랜테이션농업][농업 환경효과][농업 제고 ...
[농업][농업 발달][영농규모화사업][영농규모화사업 문제점]농업의 개념, 농업의 발달, 영농...
[농업][농업교과][농업의 분화][농업교과의 성격][농업경영과][농업기계과][농업교과의 방향]...
[농업][농업토목과][농업 기능][농업토목과 의의][농업토목과 교육내용][농업토목과 전망]농...
[농업][농업의 의미][농업의 특징][농업의 변화][농업경영의 개념][농업경영의 형태][농업경...
[농산물유통][농산물][유통]농산물유통의 정의, 농산물유통의 역할, 농산물유통과 산지유통,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