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국의 차문화
2. 차의 정의
3. 차의 분류
4. 영국의 차문화의 전개
5. 영국의 차의 역사적 사건
6. 영국의 홍차유행 원인 및 배경
참고문헌
2. 차의 정의
3. 차의 분류
4. 영국의 차문화의 전개
5. 영국의 차의 역사적 사건
6. 영국의 홍차유행 원인 및 배경
참고문헌
본문내용
리 마시게 되었다. 그렇다고는 하지만 영국은 프랑스나 다른 유럽제국과 비교해 볼 때 물을 제외한 음료는 척박한 편이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같은 지중해의 와인 문화권에는 차가 파고들어 갈 여지가 없었던 데 반해 전통적인 음료가 그리 많지 않았던 영국에서는 비교적 쉽게 확산될 수 있었던 것이다. 영국에서 차가 수입된 배경에는 물이 적합하였다는 점 이외에도 토착의 ‘대용차’가 있었다는 점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옛날부터 알려진 식물 즙이 그것인데 지금도 영국 농촌에서 사용되고 있다. 오늘날에는 그 식물 즙도 차라고 부르지만 본래 차는 아니다. 16세기 영국에서 대서양을 건너 아메리카까지 들어간 약용 차에 세이지 티(sage Tea)가 있는데, 그것이 전통적인 식물 즙의 일종이다. 그밖에도 하트니의 ‘영국의 먹거리’(1951)에 실려 있는, 예로부터 내려오는 영국의 대용차에 박하차(Catnip Tea), 히솝 차, 나무딸기잎 차(Raspberryleaf Tea), 까막까치밥나무 차(Black currant Tea) 등이 있다. 물론 여기에 기록된 음용 방법은 오늘날의 것인데, 차가 들어오기 전에는 설탕 대신 꿀을 사용하였을 것이고 마시는 방법도 달랐을 것이다. 이러한 대용차를 기반으로 하여 중국차가 파고들 수 있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서경숙, 『영국 홍차문화 확산과 연구』, 목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6.
오미경,『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차 문화』,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임영상, 최영수, 노명환 편, 『음식으로 본 서양 문화』, 대한교과서, 1997.
참고문헌
서경숙, 『영국 홍차문화 확산과 연구』, 목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6.
오미경,『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차 문화』,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임영상, 최영수, 노명환 편, 『음식으로 본 서양 문화』, 대한교과서, 1997.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 전통차와 다도 문화
[중국 차][차 문화][차][중국][다도]중국 차와 차 문화(중국 차 문화의 역사, 중국의 명차, ...
인류와문화 레포트 - 비틀즈에서 해리포터까지 영국의 21세기 산업혁명
[인도문화][인도의 문화][인도의 음식문화][인도의 요가문화][인도의 차문화][인도의 장례문...
[일본][일본문화][일본의 문화][주거][차][축제][결혼][일본문화개방]일본의 문화(일본의 생...
커피가 아닌 문화를 파는 스타벅스의 마케팅 전략
영국 미국의 자동차 문화
영국 미국의 자동차 문화
녹색성장,녹색성장필요성,녹색성장개념,녹색성장전략,4대강살리기,녹색성장과문화,일본녹색성...
차(茶)의 어원과 커피(Coffee)의 역사 및 전파
차(茶)와 커피(Coffee)의 역사
차와커피의 역사
[세계문화 기행] 영국 여행 계획
감상문 ) 유럽 문화 여행 및 영화 감상문 (영국과 영국의 셰익스피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