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콘스탄티노플 쇠퇴에 관한 연구자료
III. 콘스탄티노플의 약사
Ⅳ. 쇠퇴의 내부적 원인
Ⅴ. 외부적인 원인으로 동서로마교회의 분열
Ⅵ. 결론
미주
참고도서
Ⅱ. 콘스탄티노플 쇠퇴에 관한 연구자료
III. 콘스탄티노플의 약사
Ⅳ. 쇠퇴의 내부적 원인
Ⅴ. 외부적인 원인으로 동서로마교회의 분열
Ⅵ. 결론
미주
참고도서
본문내용
노플이 비록 멸망하였으나 르네상스로 연결되는 새로운 역사의 도래를 초래 했으며 그리고 모슬렘치하에서 보여준 기독인들의 생명력은 바로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히 동일하신 분”의 선한 역사의 경륜을 읽게 함을 보여주고 있다고 사려된다.
미주
Ⅰ. 머릿말
①Adolf von Harnack.기독교의 본질. 윤성범역. 서울:삼성문고. 1975. p. 15.
②비잔틴 제국사의 연구 이유로는 다양한 면이 있지만 그 중에 우선 되는 것은 문화사의 배경 중 특히 문예부흥의 끼친 영향이 크다는 점이다.이 견해는 Dene John Geannakopoulos의 책 1986년 판에 상세히 기술되고 있는 바다.
Ⅲ. 콘스탄티노플의 약사
①B.C 312년 메가스 알렉산더 대왕의 동방 정벌로 70여개의 동방에 속한 도시들이 ‘알렉산드리아’라는 이름으로 명명 되면서 동서문화의 일치성을 꾀하게 되었던 전통을 따라 원래\'Byzantium\'이었던 지명을 그 지역 거주민들의 자신들을\'Romaioi\'라고 불려지기를 선호하는 경향성과 함께 \'콘스탄티노플‘이라고 불려졌다.
②사실 당시에 로마의 내륙지방은 점점 비현실적인 지역이 되어갔고 이태리는 점점 방어가 불가능한 지역이 되었고 발칸반도 그리고 소아시아 지역은 로마군대를 위한 중요 징병 자원 출처였고 그래서 콘스탄틴은 유럽과 아시아의 중간에, Marmara(대리석)해의 바닷물로 삼면이 둘러쌓인 보스포러스 해협이며 깊은 물로 특징을 이루어 “황금의 뿔”이라고 불리워지는 난공불락의 지역을 택해 6년 동안 건축하여 330년 5월11일을 기념일로 삼으면서 로마 제 2의 도시로 건설 했다.
③러시아와 콘스탄티노플 관계는 866년 대 주교 “포티오스”의 회람서신을 통해 10세기 중엽 전에 이미 러시아 대표 “이고르”와 비잔틴 황제 “로마누레키피누”와의 관계에서 조약협정이 체결되고 러시아에 예언자 “엘리야 교회”가 등장 함으로 콘스탄티노플의 선교의 결과로서 러시아가 역사의 무대에 등장함을 보여준다. 원래 러시아의 헬라적 명칭은 ρωσια 이고 라틴 형태는\'Russia\'인데 러시아에 988년에 정부의 공식 종교로 기독교가 인정된 것은 13세기 초에 기독교 선교를 시작한 캐톨릭보다 훨씬 이전에 비잔틴 교회의 러시아 진출이 이뤄졌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점에 있어서 “러시아인의 삶의 방법은 세가지 1)로마의 정치적 전통 2)헬라의 문화적 유산 3)정교회적 신앙에 영향 되었고 이 세가지 없이는 러시아의 삶의 방법을 이해 할 수없다고 본다는 말은 설득력이있다.
Ⅳ쇠퇴의 내부적 원인
①Steven Runcinan. The Fall of Constantinople 1453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9, p. 2
②이때의 왕 John4세와 그의 왕관에 사용된 다이아몬드는 시대적 비참을 알려주듯 유리로 된 것이었다. Ibid. p. 5.
③일치주의자들 1340년 Demetrius Cydones는 토마스아퀴나스의 저술을 희랍어로 번역해 기초화 했다. Ibid., p. 5.
④Steven Runcinan. op. cit., p. 15.
⑤Steven Runcinan. op. cit., p. 19.
⑥비잔틴 제국의 최후의 장관 Lucas Notaras는 ‘추기경의 모자보다는 술탄의 터어반이 더 좋다’라고까지 밝힌 적이 있다.
Ⅴ.외부적 원인
①Steven Runcinan. The Fall of Constantinople 1453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9, pp. 80-81.
②비잔틴교회, 정교회는 교회력 중에서 부활절을 가장 큰 절기로 여기고 있으며 그 주간을위대한 주간(μεγάλη εβδομάδα) 라하여 수난일, 금요일을위대한 금요일(μεγάλη παρασκευή) 라고 명할 정도로 전 시민들의 축제였다.
③Steven Runcinan. The Great Church in Captivity. Cambridge: Cambrige Univ., 1985, p. 103.
④Ibid., p. 101.
⑤Ibid., p. 105.
⑥A. Palmieri, ‘Filioque’, 카톨릭신학사전 참고
⑦이런점에서 Hippolitus의 신학적인 방법론은 라틴어 사용권인 로마지역일찌라도 희랍어로 신학을 전개하는 고집을 편 것은 상당히 우리에게 시사하는 면이 있다.
⑧Steven Runcinan. The Great Church in Captivity. p. 91.
참고도서
1.희랍어 자료
Αρβελερ, Ελενη Γλυκατζη. Η πολιτικη ιδεολογία της Βυζαντινη Αυτοκρατορίας. Αθηνα: Αθανασιος ψυχολογιος.1992.
Βασιλεια, Νικ.Π.Ορθοδοξια και παπισμός. Αθηνα: Σωτηρ.1981.
Μεγεντορφ, Ιωαννου. Βυζαντιο και ρωσια. Αθηνα : Δομος.1981.
2.영어자료
Geanakoplos, Deno John. Constantinople and the West. U.S.A: The Univ. of Wisconsin Press. 1989.
Loverance, Rowena. Byzantium. London: British Museum. 1988.
Runciman, steven. Byzantium. Great Britain: Richard Clay Ltd. 1975.
----------------. The Fall of Constantinople 1453. Cambridge: The Univ. of Cambridge. 1969.
----------------. The Great Church in Captivity. Cambridge: The Univ. of Cambridge. 1985.
3.한국어자료
아돌프 본 하르낙. 기독교의 본질. 윤성범역. 서울: 삼성문화문고 67호. 1975.
미주
Ⅰ. 머릿말
①Adolf von Harnack.기독교의 본질. 윤성범역. 서울:삼성문고. 1975. p. 15.
②비잔틴 제국사의 연구 이유로는 다양한 면이 있지만 그 중에 우선 되는 것은 문화사의 배경 중 특히 문예부흥의 끼친 영향이 크다는 점이다.이 견해는 Dene John Geannakopoulos의 책
Ⅲ. 콘스탄티노플의 약사
①B.C 312년 메가스 알렉산더 대왕의 동방 정벌로 70여개의 동방에 속한 도시들이 ‘알렉산드리아’라는 이름으로 명명 되면서 동서문화의 일치성을 꾀하게 되었던 전통을 따라 원래\'Byzantium\'이었던 지명을 그 지역 거주민들의 자신들을\'Romaioi\'라고 불려지기를 선호하는 경향성과 함께 \'콘스탄티노플‘이라고 불려졌다.
②사실 당시에 로마의 내륙지방은 점점 비현실적인 지역이 되어갔고 이태리는 점점 방어가 불가능한 지역이 되었고 발칸반도 그리고 소아시아 지역은 로마군대를 위한 중요 징병 자원 출처였고 그래서 콘스탄틴은 유럽과 아시아의 중간에, Marmara(대리석)해의 바닷물로 삼면이 둘러쌓인 보스포러스 해협이며 깊은 물로 특징을 이루어 “황금의 뿔”이라고 불리워지는 난공불락의 지역을 택해 6년 동안 건축하여 330년 5월11일을 기념일로 삼으면서 로마 제 2의 도시로 건설 했다.
③러시아와 콘스탄티노플 관계는 866년 대 주교 “포티오스”의 회람서신을 통해 10세기 중엽 전에 이미 러시아 대표 “이고르”와 비잔틴 황제 “로마누레키피누”와의 관계에서 조약협정이 체결되고 러시아에 예언자 “엘리야 교회”가 등장 함으로 콘스탄티노플의 선교의 결과로서 러시아가 역사의 무대에 등장함을 보여준다. 원래 러시아의 헬라적 명칭은 ρωσια 이고 라틴 형태는\'Russia\'인데 러시아에 988년에 정부의 공식 종교로 기독교가 인정된 것은 13세기 초에 기독교 선교를 시작한 캐톨릭보다 훨씬 이전에 비잔틴 교회의 러시아 진출이 이뤄졌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점에 있어서 “러시아인의 삶의 방법은 세가지 1)로마의 정치적 전통 2)헬라의 문화적 유산 3)정교회적 신앙에 영향 되었고 이 세가지 없이는 러시아의 삶의 방법을 이해 할 수없다고 본다는 말은 설득력이있다.
Ⅳ쇠퇴의 내부적 원인
①Steven Runcinan. The Fall of Constantinople 1453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9, p. 2
②이때의 왕 John4세와 그의 왕관에 사용된 다이아몬드는 시대적 비참을 알려주듯 유리로 된 것이었다. Ibid. p. 5.
③일치주의자들 1340년 Demetrius Cydones는 토마스아퀴나스의 저술을 희랍어로 번역해 기초화 했다. Ibid., p. 5.
④Steven Runcinan. op. cit., p. 15.
⑤Steven Runcinan. op. cit., p. 19.
⑥비잔틴 제국의 최후의 장관 Lucas Notaras는 ‘추기경의 모자보다는 술탄의 터어반이 더 좋다’라고까지 밝힌 적이 있다.
Ⅴ.외부적 원인
①Steven Runcinan. The Fall of Constantinople 1453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9, pp. 80-81.
②비잔틴교회, 정교회는 교회력 중에서 부활절을 가장 큰 절기로 여기고 있으며 그 주간을위대한 주간(μεγάλη εβδομάδα) 라하여 수난일, 금요일을위대한 금요일(μεγάλη παρασκευή) 라고 명할 정도로 전 시민들의 축제였다.
③Steven Runcinan. The Great Church in Captivity. Cambridge: Cambrige Univ., 1985, p. 103.
④Ibid., p. 101.
⑤Ibid., p. 105.
⑥A. Palmieri, ‘Filioque’, 카톨릭신학사전 참고
⑦이런점에서 Hippolitus의 신학적인 방법론은 라틴어 사용권인 로마지역일찌라도 희랍어로 신학을 전개하는 고집을 편 것은 상당히 우리에게 시사하는 면이 있다.
⑧Steven Runcinan. The Great Church in Captivity. p. 91.
참고도서
1.희랍어 자료
Αρβελερ, Ελενη Γλυκατζη. Η πολιτικη ιδεολογία της Βυζαντινη Αυτοκρατορίας. Αθηνα: Αθανασιος ψυχολογιος.1992.
Βασιλεια, Νικ.Π.Ορθοδοξια και παπισμός. Αθηνα: Σωτηρ.1981.
Μεγεντορφ, Ιωαννου. Βυζαντιο και ρωσια. Αθηνα : Δομος.1981.
2.영어자료
Geanakoplos, Deno John. Constantinople and the West. U.S.A: The Univ. of Wisconsin Press. 1989.
Loverance, Rowena. Byzantium. London: British Museum. 1988.
Runciman, steven. Byzantium. Great Britain: Richard Clay Ltd. 1975.
----------------. The Fall of Constantinople 1453. Cambridge: The Univ. of Cambridge. 1969.
----------------. The Great Church in Captivity. Cambridge: The Univ. of Cambridge. 1985.
3.한국어자료
아돌프 본 하르낙. 기독교의 본질. 윤성범역. 서울: 삼성문화문고 67호. 1975.
추천자료
중국고대사 - 최초의 통일왕조 진의 역사
민국혁명과 신해혁명
한국 인사행정의 발전과정
서양음악의 이해(고대~현대)
공자의 생애와 사상 교육관 조사
공자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
유럽연합의 형성 배경과 과정 및 영향도 분석 자료
[과외]중학 사회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10
[위인]공자에 대하여...
현대선교학총론 요약 및 서평
[크리스트교][서유럽 교황권][중세 수도원]크리스트교와 동서 유럽의 문화, 이단 심층분석
[오딧세이, 오디세이] 오딧세이아 독후감
[논문]요한계시록 17장 9-10절에 나오는 일곱 번째 머리에 관한 연구
[독후감] E. H 카의‘역사란 무엇인가’를 읽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