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수상스키의 정의와 유래
2.수상스키의 장비
3.수상스키의 종류
4.수상스키 안전수칙과 기본동작
5.안전 수신호
2.수상스키의 장비
3.수상스키의 종류
4.수상스키 안전수칙과 기본동작
5.안전 수신호
본문내용
m의 경기장에서 선수는 20초 이내에 수면 상에서 회전하거나 자기의 발끝 에 로프를 걸어 연기를 행하며 다시 되돌아오면서 연기를 행하여야 한다. 이때 성공 적으로 행한 연기의 종류에 따라 점수를 얻게 되며 난이도 높은 기술을 연속적으로 빨 리 많이 할수록 높은 점수를 얻게 된다.
점프스키
착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아주 견고하게 만들어져 있어 무거우며 선택은 선수의 기술수준과 체중에 의해서 안전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므로 신중하여야 한다.
점프경기는 높이 1.8m 폭 6.7m의 램프 위를 통과하여 공중에서의 비행거리를 경쟁하는 경기이다. 보트는 GUIDED BUOY사이를 직진하고 선수는 점프 램프위로 올라가서 비행하며 또 안전하게 착수하여야 한다. 그러나 선수는 착수후에 100m전방에 표시된 BUOY까 지 활주하여야 성공으로 인정한다. 착수후에 전복된 경우는 득점이 되지 않으며 3회의 시기로서 제일 좋은 기록을 인정한다. 보트의 스피드는 남자 57km/H이하 여자51km/H 이하에서 선수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4.수상스키 안전수칙과 기본동작
※ 안전수칙
① 구명조끼는 몸에 꼭 맞는 것을 착용한다.
② 보트 운전자, 보조사, 스키어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수신호 를 정확히 숙지한다.
③ 항상 모터보트 엔진과 먼 곳, 즉 보트 옆 부분으로 물에 들어가거 나 나온다.
④ 수심 1.5m 이상인 곳에서 탄다.
⑤ 핸들 빈 공간에 목을 비롯한 신체의 어떤 부분도 넣지 않으며, 줄 을 몸에 감지 않는다.
⑥ 물에 빠지게 되었을 때는 앞쪽 보다는 옆이나 뒤로 넘어지고, 넘어 지는 순간 줄을 놓는다.
기본동작
※기본 동작을 배우기전 몸에 충분한 긴장을 주기위해 준비운동 하는것을 잊으면 안 된다!
편안한 자세로 앉아 양 발을 어깨넓이만큼 벌리고 무릎을 세운 후 팔을 앞으로 편 상태에서 어깨넓이로 로프를 잡는다. 이때 주의할 사항은 무릎과 무릎 사이에 주먹 하나가 들어갈 정도의 간격을 유지해야 한다. 발바닥은 90도가 되도록 펴준다.
위 사진은 시선을 아래로 내리깔았는데, 실제로 시선은 앞에서 끌어주는 유도선(보트)의 후미부분을 쳐다보면서 고정해야 한다.
보트가 진행하게 되면 보트 힘에 끌려가면서 모든 체중을 스키에 싣고 가슴이 무릎에 닿으면서 자연스럽게 일어난다. 이때 일어서는 자세는 편한(열중 쉬어) 자세를 취하고 흐트러짐 없이 유지한다. 중요한 것은 일어설 때에 몸의 중심을 앞으로 빼앗겨서 넘어지지 않게 기마자세를 유지하며 중심을 유지하는 것이다.
5. 수상스키 수신호
☞수상스키는 앞에서 모터보트가 끌어주는 운동이기 때문에 운전하는 운전 자와 스키어 사이에 의사전달을 할 수 있는 수신호가 필요하다. 모터보트 에는 자격을 가진 운전자와 신호법을 아는 보조자가 함께 타며 보조자는 뒤로 돌아서서 스키를 타는 사람을 항상 주시하고 스키어의 신호를 운전 자에게 전하는 역할을 한다.
※ 출발전에 ‘잘 부탁드립니다!’ 라고 보트운전자에게 인사를 꼭 드린다.
도착시에도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라는 인사를 잊지않는다.
활주속도를 올린다.
☞주먹을 쥐고 엄지손가락을 위로 올려 상하로 가볍게 흔들어준다.
활주속도를 내린다.
☞주먹을 쥐고 엄지손가락을 아래로 내려 상하로 가볍게 흔들어준다.
배의 방향을 되돌린다.
☞검지손가락을 머리 위로 향해 올리고 원을 그리며 돌린다.
출발지로 되돌아간다.
☞손바닥을 펴서 머리위에 얹고 고개를 끄덕인다.
긍정
☞엄지와 검지손가락의 끝을 붙여 원을 만들고 손바닥을 펴서 앞으로 내밀 어 보인다. 또는 양팔을 위로 올려 원을 만든다.
부정
☞양팔을 위로 엑스자로 교차하여 들어올린다.
보트를 멈춘다.
☞손을 수평으로 펴고 목앞에 붙인다.
점프스키
착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아주 견고하게 만들어져 있어 무거우며 선택은 선수의 기술수준과 체중에 의해서 안전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므로 신중하여야 한다.
점프경기는 높이 1.8m 폭 6.7m의 램프 위를 통과하여 공중에서의 비행거리를 경쟁하는 경기이다. 보트는 GUIDED BUOY사이를 직진하고 선수는 점프 램프위로 올라가서 비행하며 또 안전하게 착수하여야 한다. 그러나 선수는 착수후에 100m전방에 표시된 BUOY까 지 활주하여야 성공으로 인정한다. 착수후에 전복된 경우는 득점이 되지 않으며 3회의 시기로서 제일 좋은 기록을 인정한다. 보트의 스피드는 남자 57km/H이하 여자51km/H 이하에서 선수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4.수상스키 안전수칙과 기본동작
※ 안전수칙
① 구명조끼는 몸에 꼭 맞는 것을 착용한다.
② 보트 운전자, 보조사, 스키어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수신호 를 정확히 숙지한다.
③ 항상 모터보트 엔진과 먼 곳, 즉 보트 옆 부분으로 물에 들어가거 나 나온다.
④ 수심 1.5m 이상인 곳에서 탄다.
⑤ 핸들 빈 공간에 목을 비롯한 신체의 어떤 부분도 넣지 않으며, 줄 을 몸에 감지 않는다.
⑥ 물에 빠지게 되었을 때는 앞쪽 보다는 옆이나 뒤로 넘어지고, 넘어 지는 순간 줄을 놓는다.
기본동작
※기본 동작을 배우기전 몸에 충분한 긴장을 주기위해 준비운동 하는것을 잊으면 안 된다!
편안한 자세로 앉아 양 발을 어깨넓이만큼 벌리고 무릎을 세운 후 팔을 앞으로 편 상태에서 어깨넓이로 로프를 잡는다. 이때 주의할 사항은 무릎과 무릎 사이에 주먹 하나가 들어갈 정도의 간격을 유지해야 한다. 발바닥은 90도가 되도록 펴준다.
위 사진은 시선을 아래로 내리깔았는데, 실제로 시선은 앞에서 끌어주는 유도선(보트)의 후미부분을 쳐다보면서 고정해야 한다.
보트가 진행하게 되면 보트 힘에 끌려가면서 모든 체중을 스키에 싣고 가슴이 무릎에 닿으면서 자연스럽게 일어난다. 이때 일어서는 자세는 편한(열중 쉬어) 자세를 취하고 흐트러짐 없이 유지한다. 중요한 것은 일어설 때에 몸의 중심을 앞으로 빼앗겨서 넘어지지 않게 기마자세를 유지하며 중심을 유지하는 것이다.
5. 수상스키 수신호
☞수상스키는 앞에서 모터보트가 끌어주는 운동이기 때문에 운전하는 운전 자와 스키어 사이에 의사전달을 할 수 있는 수신호가 필요하다. 모터보트 에는 자격을 가진 운전자와 신호법을 아는 보조자가 함께 타며 보조자는 뒤로 돌아서서 스키를 타는 사람을 항상 주시하고 스키어의 신호를 운전 자에게 전하는 역할을 한다.
※ 출발전에 ‘잘 부탁드립니다!’ 라고 보트운전자에게 인사를 꼭 드린다.
도착시에도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라는 인사를 잊지않는다.
활주속도를 올린다.
☞주먹을 쥐고 엄지손가락을 위로 올려 상하로 가볍게 흔들어준다.
활주속도를 내린다.
☞주먹을 쥐고 엄지손가락을 아래로 내려 상하로 가볍게 흔들어준다.
배의 방향을 되돌린다.
☞검지손가락을 머리 위로 향해 올리고 원을 그리며 돌린다.
출발지로 되돌아간다.
☞손바닥을 펴서 머리위에 얹고 고개를 끄덕인다.
긍정
☞엄지와 검지손가락의 끝을 붙여 원을 만들고 손바닥을 펴서 앞으로 내밀 어 보인다. 또는 양팔을 위로 올려 원을 만든다.
부정
☞양팔을 위로 엑스자로 교차하여 들어올린다.
보트를 멈춘다.
☞손을 수평으로 펴고 목앞에 붙인다.
추천자료
대 환경 호신술의 이해 - 산악안전 교통안전 수상안전
[연극 감상문] 호흡과 발성 -수상한 흥신소에 대한 나의 관점
[독후감] ‘노벨 평화상 수상자와 함께하는 평화학교’ _ 이반 수반체프, 돈 기퍼드 엥글 저 / ...
[평가자료 A+] 칸 국제광고제 개요 및 수상작 분석
세계아동문학상 중 칼데콧상(Caldecott Medal)의 성격에 대해 설명하고 이상을 수상한 작품 ...
리츠칼튼 서울 - 리츠칼튼 소개, 이념, 수상내역, 서울 연혁, 타 호텔 차이점
광고 법칙과 광고PR이론 (광고론, 마케팅, PR, 광고 캠페인, 컨셉트, 광고 수상작들을 보고난...
항공기(航空機)의 발달과정 (비행선의 등장, 활공기의 출현, 최초의 동력비행, 수상기의 시도...
독일의 공직자 보수 - 독일의 공직자 보수인상, 독일 연방수상, 연방장관, 연방정무차관의 보...
[일본의 행정체제(行政體制)] 일본 행정조직구조(수상,내각,관료제), 인사행정제도(교육제도,...
★ 여행사경영론 - 노랑풍선 (회사 소개, 회사 연혁 및 수상,채용 및 인재상,SWOT 분석,차별화...
제 15대 대통령大統領, 김대중,대북정책과 남북관계,IMF 경제위기 극복 방안,노벨평화상 수상...
[일본정치론][일본내각의 조직과 기능 그리고 수상의 리더십과 내각조직 개편으로 본 일본정치]
[비교문학] 드라마의 생존전략 ‘공감의 창작’ 리메이크 - 직장의 신과 수상한 가정부 - 비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