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생활동화의 문학적 특징
2. 환상동화의 문학적 특징
3. 생활동화 - 흰나비의 눈물
4. 환상동화 - 동화책 겁쟁이 빌리
평가
참고문헌
2. 환상동화의 문학적 특징
3. 생활동화 - 흰나비의 눈물
4. 환상동화 - 동화책 겁쟁이 빌리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흑백으로 표현된 빌리의 걱정은 흡사 어릴 적 꿈에서 보게 되는 무서운 장면들과도 비슷하다. 할머니의 거친 손바닥 위의 작은 걱정인형이 놓인 그림은 사진을 보는 기분이 든다.
외국 그림책의 경우, - 물론 번역에 신경을 쓰시겠지만 -
한 문장 안에서 어디에 강세를 두어 읽느냐에 따라 의미가 약간씩 달라지는 것 같다.특히 짧은 문장으로 이뤄진 책일 경우 더욱 그러한 듯 하다.. 이 책뿐만 아니라 다른 채들도..참, 제목이 좀 안 어울린다는 생각이 들었다. 겁쟁이 빌리,,보다는 걱정많은 빌리 혹은 걱정투성이 빌리, 이렇게 해야하지 않았을까? 이야기가 끝난 뒷 페이지에는 걱정인형의 유래(과테말라의 아이들이 만들기 시작했다는 내용의)에 대해 자세히 적혀있다. 나도 몰랐던 사실을 알게 되어 더욱 유익하고 기억에 남는 책이 될 것 같다.
평가
이 작품에서는 아이들의 상상력으로 인한 모든 걱정들을 덜어주고 싶은 작가의 마음이 잘 드러난다. 예를 들면 현실세계는 수채화로, 상상부분은 펜화로 나눠 묘사했고, 모자나 신발, 비와 구름, 새 이런 것들이 이상하게 변하는 상황은 분위기를 달리해 현실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려주려는 작가의 의도를 읽을 수 있다. 또한 작가는 이 시기의 아이가 혼자 있을 때 느낄 수 있는 불안과 두려움, 가족과 함께 있을 때의 편안함과 안정된 맘을 대조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예를 들면 빌리가 방에 혼자 있을 때에는 찡그린 얼굴표정이며 방의 색깔 역시 어둡다. 그러나 엄마와 아빠, 할머니와 함께 있을 때에는 웃는 표정을 하고 있으며 방안의 분위기 역시 따스한 느낌의 색채를 사용하였다. 모든 사물에 생명력이 있다는 물활론적인 사고의 유아기는 상상력을 풍부하게도 해주지만 사물에 대해 불안과 두려움을 느낄 수 도 있는 시기이다. 이러한 아이들의 심리를 잘 묘사해준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걱정인형은 중앙아메리카의 과테말라라는 나라에서 처음 생긴 것으로 아주 작은 나무 조각과 남은 천 조각 등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걱정인형은 두려움과 걱정이 많은 아이들을 위로하기 위한 인형들로 베개 아래 넣어둔 채로 잠을 청하게 되면 걱정이 사라지게 된다는 과테말라의 풍습이다. 작가는 10여 년 전, 멕시코에 갔을 때 걱정인형을 선물로 받고나서 ‘겁쟁이 빌리’ 책을 구상하게 되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박상재, 한국 창작동화의 환상성 연구, 1998
권혁준, 판타지 동화의 문학교육적 의의, 공주교대논총 제39집 2호, 2002
외국 그림책의 경우, - 물론 번역에 신경을 쓰시겠지만 -
한 문장 안에서 어디에 강세를 두어 읽느냐에 따라 의미가 약간씩 달라지는 것 같다.특히 짧은 문장으로 이뤄진 책일 경우 더욱 그러한 듯 하다.. 이 책뿐만 아니라 다른 채들도..참, 제목이 좀 안 어울린다는 생각이 들었다. 겁쟁이 빌리,,보다는 걱정많은 빌리 혹은 걱정투성이 빌리, 이렇게 해야하지 않았을까? 이야기가 끝난 뒷 페이지에는 걱정인형의 유래(과테말라의 아이들이 만들기 시작했다는 내용의)에 대해 자세히 적혀있다. 나도 몰랐던 사실을 알게 되어 더욱 유익하고 기억에 남는 책이 될 것 같다.
평가
이 작품에서는 아이들의 상상력으로 인한 모든 걱정들을 덜어주고 싶은 작가의 마음이 잘 드러난다. 예를 들면 현실세계는 수채화로, 상상부분은 펜화로 나눠 묘사했고, 모자나 신발, 비와 구름, 새 이런 것들이 이상하게 변하는 상황은 분위기를 달리해 현실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려주려는 작가의 의도를 읽을 수 있다. 또한 작가는 이 시기의 아이가 혼자 있을 때 느낄 수 있는 불안과 두려움, 가족과 함께 있을 때의 편안함과 안정된 맘을 대조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예를 들면 빌리가 방에 혼자 있을 때에는 찡그린 얼굴표정이며 방의 색깔 역시 어둡다. 그러나 엄마와 아빠, 할머니와 함께 있을 때에는 웃는 표정을 하고 있으며 방안의 분위기 역시 따스한 느낌의 색채를 사용하였다. 모든 사물에 생명력이 있다는 물활론적인 사고의 유아기는 상상력을 풍부하게도 해주지만 사물에 대해 불안과 두려움을 느낄 수 도 있는 시기이다. 이러한 아이들의 심리를 잘 묘사해준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걱정인형은 중앙아메리카의 과테말라라는 나라에서 처음 생긴 것으로 아주 작은 나무 조각과 남은 천 조각 등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걱정인형은 두려움과 걱정이 많은 아이들을 위로하기 위한 인형들로 베개 아래 넣어둔 채로 잠을 청하게 되면 걱정이 사라지게 된다는 과테말라의 풍습이다. 작가는 10여 년 전, 멕시코에 갔을 때 걱정인형을 선물로 받고나서 ‘겁쟁이 빌리’ 책을 구상하게 되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박상재, 한국 창작동화의 환상성 연구, 1998
권혁준, 판타지 동화의 문학교육적 의의, 공주교대논총 제39집 2호, 2002
추천자료
[아동교육] 참여하는 전래동화 프로젝트
[일 주제:나무]동화들려주기(융판동화)-새노래지도 연계수업계획안
영양과 건강에 관한 동화책
[놀이중심활동][과업중심활동][동화중심활동][체험중심교육활동][수행중심학습활동][상황중심...
그림동화 수업 계획안 -반쪽이
세마리 염소 개작동화 <수업 계획안>
문학적 접근법 활동계획안(만5세) - 동화 '돼지책'
만4세) <융판동화 계획안> 금도끼 은도끼 - 거짓말 하지 않기
만 4세) <단위 활동 계획안 (동화)> 바람을 불었어 - 바람
전래동화의 특성
동화의 유형 중 전래동화의 특성과 문학적 가치에 대해 설명하시오
[아동문학] 아동문학의 장르 - 환상동화 (정의와 특징, 구성 요소, 등장인물에 따른 환상동화...
[유아문학] 유아문학 활동의 실제 <동화로 접근하는 경험적 접근법> 구체적인 질문 유형으로 ...
<만3세 부분수업계획안>주제: 동식물과 자연/동물- '숲속 작은 집 창가에' 동화 수업계획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