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럼이다. 이것은 전통적인 교회의 기능 중 레이뚜르기아를 커리큘럼화한 것이다. 셋째가 교수의 커리큘럼이다. 이것은 전통적인 교회의 기능 중 디다케를 커리큘럼화 한 것이다. 넷째가 선포의 커리큘럼이다. 이것은 전통적인 교회의 기능 중 케리그마를 커리큘럼화 한 것이다. 다섯째가 섬김의 커리큘럼이다. 이것은 전통적인 교회의 기능 중 디아코니아를 커리큘럼화 한 것이다.
이렇게 볼 때 목회와 교육목회와의 관계는 전혀 별개의 것도 아니다. 그렇다고 교육목회가 목회의 한 하위 기능도 아니다. 교육목회가 목회의 한 관점이요 목회의 한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교육목회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교육목회란 교인을 바람직한 그리스도인으로 이끌고자 하는 교육의 관점 하에서 드러나는 목회 그 자체이다.”
이렇게 볼 때 목회와 교육목회와의 관계는 전혀 별개의 것도 아니다. 그렇다고 교육목회가 목회의 한 하위 기능도 아니다. 교육목회가 목회의 한 관점이요 목회의 한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교육목회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교육목회란 교인을 바람직한 그리스도인으로 이끌고자 하는 교육의 관점 하에서 드러나는 목회 그 자체이다.”
추천자료
교육사회학의 접근 방법 - 기능론, 갈등론, 상화작용론
사회선발과 직업성취도
교직의 성격과 교권 확립
사회변동과 교육팽창
학업성취도 격차와 교육의 기회균등
학업성취도와 교육의 기회균등
학업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변인에 관한 연구
입시제도와 시험의 기능
교육선발과 교육평등
교육평등과 불평등에 관한 전반적 개괄
교육과정의 유형 - 교과중심, 경험중심, 사회중심, 학문중심,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 ...
'교사의 역할'과 '교사의 변화'에 관한 총체적 보고서
도덕성발달이론의 비교 정리 및 유아기의 도덕성 발달을 위한 지도원리와 도덕성 발달활동에 ...
교육평가의 개념과 유형 및 교육평가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연구(유아연구 및 평가 D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