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자녀가 만들어서 쓰는 글자 쓰기를 격려해 주십시오
유아들이 종이에다 그림 같은 것을 긁적거려 놓고 어머니께 \"엄마 나 내 이름 썼다. \" 하고 자랑스럽게 말하는 것을 들으신 경험이 있으실 것입니다. 또 형이나 언니가 공부를 하면 자기도 공부를 하겠다고 종이와 연필을 가지고 와서 긁적이며 공부하는 것처럼 하는 것도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입니다. 이것은 유아가 형식적인 글자를 쓸 수 있기 이전에 나타나는 자연적인 발달 현상입니다.
유아들이 이런 모습을 보였을 때 \"그게 어디 글씨니? 그림이지.\" \"아니야, 네 이름은 이렇게 쓰는 거야. 잘 봐.\" 하고 면박을 주기보다는 격려를 하고 칭찬을 해 주십시오 또한 유아가 유아교육기관에서 있었던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면 글(창안해서 쓰는 글)로 써 보도록 격려 해 주시고, 다 쓰면 다시 읽어 달라고 부탁하십시오.
4) 자녀에게 의미 있는 글을 쓰도록 격려해 주십시오.
부모님들이 글자를 배울 때는 \'가 \'나\' \'가 \'나 같은 낱 글자를 10번씩 따라 쓰고, 또 점선으로 된 글자 위를 따라 그리면서 배웠습니다. 이런 방법은 단순히 글자의 형태를 기계적으로 암기하는데는 도움이 되지만 글자를 이해하여 원하는 문장을 쓰는데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또한 유아에게 \'아버지\' 나 \'철수 같이 개인적으로 특별한 의미가 없는 글자를 쓰게 하는 것도 쓰기에 대한 흥미를 잃게 합니다.
그러므로 읽기의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자녀에게 의미 있는 글자 (예: 이름, 다니는 유아교육기관, 좋아하는 장난감)를 먼저 쓰게 합니다. 글자를 쓸 때도 의미 있는 글자를 무조건 쓰게하기 보다는 그 글자를 쓸 기회 (예: 방신에 이름 쓸 때)가 있을 때마다 쓰면 필요에 의해 쓰는 것이기 때문에 쉽게 익힐 수 있습니다.
5) 쓰기의 기능과 필요성을 느끼게 해 주십시오
글을 쓰면 어떤 점이 좋은지를 유아들이 느끼게 해 주십시오 글을 쓸 수 있으면 선생님이 전하는 말을 기억하지 않아도 되고,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멀리 있는 사람에게 써서 전할수도 있고, 재미있었던 일을 써서 오래 기억할 수도 있고, 친구의 생일 축하카드도 써 줄 수 있습니다. 쓰기의 기능과 필요성을 느낄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부모님이 글을 쓰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시고, 자녀들이 쓰고 싶어하는 이야기가 있으면 처음에는 대신 써 주실 수도 있습니다.
6) 유아들이 아는 내용을 기초로 시작해서 확장되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십시오
유아들이 쓰기를 꺼리는 이유 중의 하나는 쓰고 싶은 내용 다 쓸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오늘은 유치원에서 밤 따기 게임을 했습니다\'라는 말을 쓰고 싶은데 \'밤\', \'니다\'라는 글자만 쓸 수 있으면 다 쓸 수 없기 때문에 망설이게 되고, 글을 쓰는 것이 어렵게 느껴지고 부담스러워 집니다. 부모님께서는 유아들이 쓸 수 있는 글자만 쓰고 나머지 부분은 그림으로 그리거나 만들어서 쓰는 글자로 써보도록 격려합니다. 자녀가 다하고 나면 자녀가 쓴 글 아래에다 부모님께서 자녀가 못쓴 부분을 써 주셔서 비교해 보도록 할 수 있습니다.
유아들이 종이에다 그림 같은 것을 긁적거려 놓고 어머니께 \"엄마 나 내 이름 썼다. \" 하고 자랑스럽게 말하는 것을 들으신 경험이 있으실 것입니다. 또 형이나 언니가 공부를 하면 자기도 공부를 하겠다고 종이와 연필을 가지고 와서 긁적이며 공부하는 것처럼 하는 것도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입니다. 이것은 유아가 형식적인 글자를 쓸 수 있기 이전에 나타나는 자연적인 발달 현상입니다.
유아들이 이런 모습을 보였을 때 \"그게 어디 글씨니? 그림이지.\" \"아니야, 네 이름은 이렇게 쓰는 거야. 잘 봐.\" 하고 면박을 주기보다는 격려를 하고 칭찬을 해 주십시오 또한 유아가 유아교육기관에서 있었던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면 글(창안해서 쓰는 글)로 써 보도록 격려 해 주시고, 다 쓰면 다시 읽어 달라고 부탁하십시오.
4) 자녀에게 의미 있는 글을 쓰도록 격려해 주십시오.
부모님들이 글자를 배울 때는 \'가 \'나\' \'가 \'나 같은 낱 글자를 10번씩 따라 쓰고, 또 점선으로 된 글자 위를 따라 그리면서 배웠습니다. 이런 방법은 단순히 글자의 형태를 기계적으로 암기하는데는 도움이 되지만 글자를 이해하여 원하는 문장을 쓰는데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또한 유아에게 \'아버지\' 나 \'철수 같이 개인적으로 특별한 의미가 없는 글자를 쓰게 하는 것도 쓰기에 대한 흥미를 잃게 합니다.
그러므로 읽기의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자녀에게 의미 있는 글자 (예: 이름, 다니는 유아교육기관, 좋아하는 장난감)를 먼저 쓰게 합니다. 글자를 쓸 때도 의미 있는 글자를 무조건 쓰게하기 보다는 그 글자를 쓸 기회 (예: 방신에 이름 쓸 때)가 있을 때마다 쓰면 필요에 의해 쓰는 것이기 때문에 쉽게 익힐 수 있습니다.
5) 쓰기의 기능과 필요성을 느끼게 해 주십시오
글을 쓰면 어떤 점이 좋은지를 유아들이 느끼게 해 주십시오 글을 쓸 수 있으면 선생님이 전하는 말을 기억하지 않아도 되고,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멀리 있는 사람에게 써서 전할수도 있고, 재미있었던 일을 써서 오래 기억할 수도 있고, 친구의 생일 축하카드도 써 줄 수 있습니다. 쓰기의 기능과 필요성을 느낄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부모님이 글을 쓰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시고, 자녀들이 쓰고 싶어하는 이야기가 있으면 처음에는 대신 써 주실 수도 있습니다.
6) 유아들이 아는 내용을 기초로 시작해서 확장되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십시오
유아들이 쓰기를 꺼리는 이유 중의 하나는 쓰고 싶은 내용 다 쓸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오늘은 유치원에서 밤 따기 게임을 했습니다\'라는 말을 쓰고 싶은데 \'밤\', \'니다\'라는 글자만 쓸 수 있으면 다 쓸 수 없기 때문에 망설이게 되고, 글을 쓰는 것이 어렵게 느껴지고 부담스러워 집니다. 부모님께서는 유아들이 쓸 수 있는 글자만 쓰고 나머지 부분은 그림으로 그리거나 만들어서 쓰는 글자로 써보도록 격려합니다. 자녀가 다하고 나면 자녀가 쓴 글 아래에다 부모님께서 자녀가 못쓴 부분을 써 주셔서 비교해 보도록 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