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릴레이(시퀀스)제어
1) 릴레이 원리 및 구성
2) 정지우선과 기동우선 비교
3) 응용회로 2개 이상
2. PLC제어
1) PLC구성
2) PLC제어와 릴레이 제어 비교
3) 응용프로그램 2개 이상
1) 릴레이 원리 및 구성
2) 정지우선과 기동우선 비교
3) 응용회로 2개 이상
2. PLC제어
1) PLC구성
2) PLC제어와 릴레이 제어 비교
3) 응용프로그램 2개 이상
본문내용
시 0이 된다.
펄스 타이머
x
▷IN이 1이 되면 PT에 의해서 지정된 설정 시간 동안만 Q가 1이 되고, ET가 PT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Q는 0이 된다.
▷ 경과 시간 ET는 IN이 1이 되었을 때부터 증가하며 PT에 이르면 값을유지하다가IN이0이될때0의값이된다.
▷ET가 증가할 동안은 IN이 0이 되거나 1이 되어도 영향 없다.
ㅇ세번째 텀 프로젝트동안 학습한 새로운 개념이나 명령어
ㅇH/W 화로도
ㅇ회로도 설명
1. 일단 처음 상태에서 빨간불(%QX0.2.0)이 켜져있습니다.
2. 빨간불(%QX0.2.0)일 때 센서(%IX0.1.1)를 건드려 작동이 되면 소리(%QX0.2.2)가 on딜레이 타이머에 의해 3초간 울리게 됩니다.
3.스위치(%IX0.0.0)을 누르게 되면 초록불(%QX0.2.1)이 켜지게 되고 반전코일로 인해 빨간불(%QX0.2.0)은 꺼지게 됩니다.
초록불(%QX0.2.1)이 켜지면서 실린더가 전진(%QX0.2.4)하게 되고, 출력LED1(%QB0.2.1)에 5개의 불이 들어오게 되고 1초마다 하나씩 꺼지게 됩니다. 동시에 디스플레이(%QW0.3.0)에는 숫자 5부터 시작하여 0까지 표시가 됩니다. 0이 되면 초록불의 자기유지가 해제가 되고 빨간불(%QX0.2.0)이 켜지며 실린더가 후진(%QX0.2.3)되어 초기상태로 돌아옵니다.
4.초록불(%QX0.2.1)이 꺼지기 전에 스위치(%IX0.0.0)를 한 번 더 누르게 되면 가산 카운터가 작동되어 초록불(%QX0.2.1)과 실린더전진(%QX0.2.4)이 유지되고 출력LED1(%QB0.2.1)에 5개의 불이 들어오게 되지만 이 불은 플래그 _T2S 에 의해 2초마다 하나씩 불이 꺼지게 됩니다. 동시에 디스플레이(%QW0.3.0)에는 숫자10부터 시작하여 의해 0까지 표시됩니다. BCD변환 값이 0이 되면 초록불(%QX0.2.1)의 자기유지가 해제가 되고 빨간 불이 켜지며 실린더가 후진(%QX0.2.3)되어 초기상태로 돌아옵니다.
ㅇS/W회로도
ㅇ회로도 설명
1. 일단 처음 상태에서 빨간불이 켜져있고 실린더는 후진상태에 있습니다..
2. 빨간불일 때 센서를 건드려 작동이 되면 타이머가 작동되어 소리가 경고음이 3초 동안만 발생되게 됩니다.
3.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초록불이 켜지게 되고 반전코일로 인해 빨간불은 꺼지게 됩니다. 초록불이 켜지면서 실린더가 전진하게 되고, 출력LED1에 5개의 불이 들어오게 되고 이동 펑션과 플래그 _T1S에 의해 1초마다 하나씩 꺼지게 됩니다. 동시에 디스플레이에는 숫자 5부터 시작하여 차감 펑션에 의해 0까지 표시가 됩니다. BCD변환 값이 0이 되면 초록불의 자기유지가 해제가 되고 빨간 불이 켜지며 실린더가 후진되어 초기상태로 돌아옵니다.
4.초록불이 꺼지기 전에 스위치를 한 번 더 누르게 되면 가산 카운터가 작동되어 초록불과 실린더전진이 유지되고 출력LED1에 5개의 불이 들어오게 되지만 이 불은 플래그 _T2S 에 의해 2초마다 하나씩 불이 꺼지게 됩니다. 동시에 디스플레이에는 숫자10부터 시작하여 차감 펑션에 의해 0까지 표시됩니다. BCD변환 값이 0이 되면 초록불의 자기유지가 해제가 되고 빨간 불이 켜지며 실린더가 후진되어 초기상태로 돌아옵니다.
ㅇ구성기기에 대한 간략한 설명
1. 5포트 2위치 밸브
-전기신호를 받아서 공압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오른쪽에 신호가 받았을 경우 오른쪽 공압이 연결되고 왼쪽에서 신호가 받았을 경우 왼쪽 공압이 연결된다. 복동실린더의 후진과 전진을 이것을 통해 제어한다.
2. 복동 실린더
-앞 뒤쪽의 2개의 공압이 들어가는 곳을 통해서 실린더의 전진과 후진이 제어가 된다. 앞쪽으로 공압이 들어갈 경우 후진이 되고 뒤쪽으로 들어갈 경우 전진이 된다.
3. 직접 반사형 포토센서
-PNP형으로 입력 값을 (-)로 연결하며 스위치의 검출 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이다.
또한, 근접 스위치는 기계적인 접촉을 통해서 ON/ OFF 출력을 내보내는 것과는 달리 기계적인 접촉 없이 감지 물체가 센서별로 정해진 감지거리 내에 들어오면 ON/OFF 출력을 내보낸다4.Digital Switch와 Digital Display
디지털 디스플레이는 출력 값을 받아서 BCD값으로 변환하여 출력 값을 나타낸다.
디지털 스위치는 디스플레이와 반대로 입력 값을 BCD값으로 내보낸다.
2011/05/21
(18:50~20:00)
2011/05/22
(22:00~23:00)
2011/05/23
(18:00~22:00)
누가
조원전원
(심한울, 장재민, 황준기)
조원전원
(심한울, 장재민, 황준기)
조원전원
(심한울, 장재민, 황준기)
어디서
여유당
온라인 메신저
PLC실습실
무엇을
시나리오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어떻게
이번에 배운 타이머와 카운터를 이용하여 어떤 시나리오를 만들고 시나리오가 정해지고 각자 회로도를 짜보고 다음날 비교하기로 함
전날 결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각자 회로도를 만든 결과 시뮬레이션으로 돌아가는 것은 하나였고 그것을 정하고 다른 두 명과 회로도를 공유했다.
짜여진 회로도를 가지고 실습실에서
직접 전선을 연결해서 하드웨어를 만들었다. 처음에는 안 돼서 실망도 했지만 조교의 도움과 약간의 오류수정을 통해 하드웨어를 완성했다.
왜
일단 2번째 텀 프로젝트와 이번 텀 프로젝트 사이가 길어서 다들 감각이 둔해져 있다고 생각되어 각자 회로도를 만들어 보기로 했다.
생각보다 타이머와 카운터 종류의 개념이 어려웠던 점도 있었지만 회로도를 공유하고 서로 설명하고 이해 할 수 있었다.
회로도를 짜고 하드웨어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회로도에 따라 하드웨어가 무조건 작동하지 않는 다는 것을 알았다.
ㅇ수행일지
참고문헌
컴퓨터 네트워크 - 정진욱
컴퓨터 네트워크 4e - Andrew S. Tanenbaum / 이봉환, 강현국, 오삼권, 김우완, 정상국 - 공역
컴퓨터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 Larry L. Peterson, Bruce S. Davie / 박창윤, 송주석, 유혁, 이정태, 전우직 공역
네트워크 이론과 분석 - 김남선, 배성수, 한종수, 정원근 공저
펄스 타이머
x
▷IN이 1이 되면 PT에 의해서 지정된 설정 시간 동안만 Q가 1이 되고, ET가 PT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Q는 0이 된다.
▷ 경과 시간 ET는 IN이 1이 되었을 때부터 증가하며 PT에 이르면 값을유지하다가IN이0이될때0의값이된다.
▷ET가 증가할 동안은 IN이 0이 되거나 1이 되어도 영향 없다.
ㅇ세번째 텀 프로젝트동안 학습한 새로운 개념이나 명령어
ㅇH/W 화로도
ㅇ회로도 설명
1. 일단 처음 상태에서 빨간불(%QX0.2.0)이 켜져있습니다.
2. 빨간불(%QX0.2.0)일 때 센서(%IX0.1.1)를 건드려 작동이 되면 소리(%QX0.2.2)가 on딜레이 타이머에 의해 3초간 울리게 됩니다.
3.스위치(%IX0.0.0)을 누르게 되면 초록불(%QX0.2.1)이 켜지게 되고 반전코일로 인해 빨간불(%QX0.2.0)은 꺼지게 됩니다.
초록불(%QX0.2.1)이 켜지면서 실린더가 전진(%QX0.2.4)하게 되고, 출력LED1(%QB0.2.1)에 5개의 불이 들어오게 되고 1초마다 하나씩 꺼지게 됩니다. 동시에 디스플레이(%QW0.3.0)에는 숫자 5부터 시작하여 0까지 표시가 됩니다. 0이 되면 초록불의 자기유지가 해제가 되고 빨간불(%QX0.2.0)이 켜지며 실린더가 후진(%QX0.2.3)되어 초기상태로 돌아옵니다.
4.초록불(%QX0.2.1)이 꺼지기 전에 스위치(%IX0.0.0)를 한 번 더 누르게 되면 가산 카운터가 작동되어 초록불(%QX0.2.1)과 실린더전진(%QX0.2.4)이 유지되고 출력LED1(%QB0.2.1)에 5개의 불이 들어오게 되지만 이 불은 플래그 _T2S 에 의해 2초마다 하나씩 불이 꺼지게 됩니다. 동시에 디스플레이(%QW0.3.0)에는 숫자10부터 시작하여 의해 0까지 표시됩니다. BCD변환 값이 0이 되면 초록불(%QX0.2.1)의 자기유지가 해제가 되고 빨간 불이 켜지며 실린더가 후진(%QX0.2.3)되어 초기상태로 돌아옵니다.
ㅇS/W회로도
ㅇ회로도 설명
1. 일단 처음 상태에서 빨간불이 켜져있고 실린더는 후진상태에 있습니다..
2. 빨간불일 때 센서를 건드려 작동이 되면 타이머가 작동되어 소리가 경고음이 3초 동안만 발생되게 됩니다.
3.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초록불이 켜지게 되고 반전코일로 인해 빨간불은 꺼지게 됩니다. 초록불이 켜지면서 실린더가 전진하게 되고, 출력LED1에 5개의 불이 들어오게 되고 이동 펑션과 플래그 _T1S에 의해 1초마다 하나씩 꺼지게 됩니다. 동시에 디스플레이에는 숫자 5부터 시작하여 차감 펑션에 의해 0까지 표시가 됩니다. BCD변환 값이 0이 되면 초록불의 자기유지가 해제가 되고 빨간 불이 켜지며 실린더가 후진되어 초기상태로 돌아옵니다.
4.초록불이 꺼지기 전에 스위치를 한 번 더 누르게 되면 가산 카운터가 작동되어 초록불과 실린더전진이 유지되고 출력LED1에 5개의 불이 들어오게 되지만 이 불은 플래그 _T2S 에 의해 2초마다 하나씩 불이 꺼지게 됩니다. 동시에 디스플레이에는 숫자10부터 시작하여 차감 펑션에 의해 0까지 표시됩니다. BCD변환 값이 0이 되면 초록불의 자기유지가 해제가 되고 빨간 불이 켜지며 실린더가 후진되어 초기상태로 돌아옵니다.
ㅇ구성기기에 대한 간략한 설명
1. 5포트 2위치 밸브
-전기신호를 받아서 공압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오른쪽에 신호가 받았을 경우 오른쪽 공압이 연결되고 왼쪽에서 신호가 받았을 경우 왼쪽 공압이 연결된다. 복동실린더의 후진과 전진을 이것을 통해 제어한다.
2. 복동 실린더
-앞 뒤쪽의 2개의 공압이 들어가는 곳을 통해서 실린더의 전진과 후진이 제어가 된다. 앞쪽으로 공압이 들어갈 경우 후진이 되고 뒤쪽으로 들어갈 경우 전진이 된다.
3. 직접 반사형 포토센서
-PNP형으로 입력 값을 (-)로 연결하며 스위치의 검출 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이다.
또한, 근접 스위치는 기계적인 접촉을 통해서 ON/ OFF 출력을 내보내는 것과는 달리 기계적인 접촉 없이 감지 물체가 센서별로 정해진 감지거리 내에 들어오면 ON/OFF 출력을 내보낸다4.Digital Switch와 Digital Display
디지털 디스플레이는 출력 값을 받아서 BCD값으로 변환하여 출력 값을 나타낸다.
디지털 스위치는 디스플레이와 반대로 입력 값을 BCD값으로 내보낸다.
2011/05/21
(18:50~20:00)
2011/05/22
(22:00~23:00)
2011/05/23
(18:00~22:00)
누가
조원전원
(심한울, 장재민, 황준기)
조원전원
(심한울, 장재민, 황준기)
조원전원
(심한울, 장재민, 황준기)
어디서
여유당
온라인 메신저
PLC실습실
무엇을
시나리오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어떻게
이번에 배운 타이머와 카운터를 이용하여 어떤 시나리오를 만들고 시나리오가 정해지고 각자 회로도를 짜보고 다음날 비교하기로 함
전날 결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각자 회로도를 만든 결과 시뮬레이션으로 돌아가는 것은 하나였고 그것을 정하고 다른 두 명과 회로도를 공유했다.
짜여진 회로도를 가지고 실습실에서
직접 전선을 연결해서 하드웨어를 만들었다. 처음에는 안 돼서 실망도 했지만 조교의 도움과 약간의 오류수정을 통해 하드웨어를 완성했다.
왜
일단 2번째 텀 프로젝트와 이번 텀 프로젝트 사이가 길어서 다들 감각이 둔해져 있다고 생각되어 각자 회로도를 만들어 보기로 했다.
생각보다 타이머와 카운터 종류의 개념이 어려웠던 점도 있었지만 회로도를 공유하고 서로 설명하고 이해 할 수 있었다.
회로도를 짜고 하드웨어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회로도에 따라 하드웨어가 무조건 작동하지 않는 다는 것을 알았다.
ㅇ수행일지
참고문헌
컴퓨터 네트워크 - 정진욱
컴퓨터 네트워크 4e - Andrew S. Tanenbaum / 이봉환, 강현국, 오삼권, 김우완, 정상국 - 공역
컴퓨터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 Larry L. Peterson, Bruce S. Davie / 박창윤, 송주석, 유혁, 이정태, 전우직 공역
네트워크 이론과 분석 - 김남선, 배성수, 한종수, 정원근 공저
추천자료
MAV의 자세제어를 위한 자세측정모듈 설계 및 제작
VHDL 모델링 및 합성을 통한 3색 교통 신호 제어기 설계
생활속의 환경제어 중 온수온돌 바닥복사 난방시스템의 제어방법
공기압 제어 실험
DTMF신호를 이용한 실시간 도어록 제어 방법 설계 및 구현
원격제어
결과레포트)단상 전파 위상 및 정류 제어
마이컴에 의한 자동온도 검출 및 Fan속도 제어
PID 제어의 수학적 해석
엘리베이터 제어
모션제어
dc모터의 pid제어설계 완결판
임베디드 시스템및 실습 - 인공지능 제어에 대해서
실험5 삼상 위상제어 정류기 : 전력변환 회로에 대해 소개하고(전력전자-산업전자 수업내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