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아픈 이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가 아픈 이유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우리가아픈이유 족보
1강~ 14강 타이핑

본문내용

며, 진통제, 진해제, 해열제 등을 사용함- 합병증으로는 폐농양, 고름가슴증, 화농성 심막염 등이 생길 수 있음
② primary atypical pneumonia
- 걸어다니는 폐렴
- 원발성 비정형 폐렴
- 바이러스, 세균, mycoplasma 등에 의해 발생
- 주로 mycoplasma에 의하여 발생됨
- 폐렴으로 입원한 환아의 10-20% 차지하고, 가을과 겨울철에 많이 발생함
- 특히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는 곳에서 잘 발생하므로 주의해야함(전염성)
- 임상증상으로는 갑자기 혹은 점진적으로 발생하고 일반적인 전신증상으로 열, 오한(나이든 아동), 두통, 피로, 식욕부진, 근육통이 나타나고 추후에 비염, 인후통, 마른기침과 같은 증상이 나타남
- 증상 초기의 기침 시 분비물이 없으나 점차적으로 장액성, 점액성, 혈성 분비물이 있음
- 치료는 대부분이 대증적 치료로 7-10일 뒤 회복되고 대부분 입원이 필요없음
③ secondary pneumonia
- 다른 질병에 의해 면역력이 약해져 부차적으로 발생되는 폐렴
- 에이즈 환자, 독감 환자의 합병증(1918-1919 스페인독감)으로 세계에서 2천만명이 사망
** 스페인 독감 : - 1918년에 처음 발생해 2년 동안 전 세계에서 2500만~5000만 명의 목숨을 앗아 간 무서운 독감- 14세기 중기 페스트가 유럽 전역을 휩쓸었을 때보다도 훨씬 많은 사망자가 발생해 지금까지도 인류 최대의 재앙으로 불림- 총 50만명의 미국인이 사망- 한국에서도 740만 명이 감염되어 이 가운데 14만명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음
④ Legionnaires disease
- 재향균인 폐렴
- 레지오넬라 폐렴균
- 미국에서만 매년 4만-7만 명이 사망
- 대규모 냉방시설 등에서 오염 등으로 전염
- 폐렴형 레지오넬라병은 재향 군인병이라고도 불리는데 거기에는 이병이 알려진 이유가 재향군인들의 모임과 관련이 있기 때문
- 1976년 필라델피아 호텔에서 열렸던, 미국 재향군인회의 필라델리아 주 대회에 참석한 사람들 중 182명이 폐렴에 걸리게 되었고 일상적인 폐렴구균이나 기타 균을 치료하는 약으로는 치료가 되지 않아 결국 29명이나 사망함
- 폐렴형의 경우 20-10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뒤에 전형적인 고열(거의 40 혹은 그 이상)과 두통을 호소하며 흔히 오한과 전신무력감을 호소
- 폐와 흉막에 염증이 생김으로 인해 숨이 차고 흉비 및 복부에 통증이나 불쾌감이 있음
- 화농성 혹은 혈성 가래
- 소화기 증상으로 설사, 구토, 복통이 수반됨
- 치사율이 35-39%로 높음
- Erythromycin(항생물질)으로 처리
⑤ Pulmonary tuberculosis 결핵
- 균을 많이 배출하는 환자가 주된 전염원
- 기침이나 재채기 등으로 공기 중에 퍼진 병원균이 호흡 기관지나 폐포로 들어가 감염을 일으킴
- 결핵균이 폐에 감염된 정도에 따라 경증, 중증도, 진행성으로 나누고 발병 횟수에 따라 나누기도 함
- 폐에 들어간 결핵균이 바로 질병을 일으키는 경우를 1차성 결핵, 결핵균이 오랫동안 잠복해 있다가 저항력이 약해졌을 때 발병하는 것을 2차성 결핵이라고 함
- 아이들에게는 1차성 결핵이 많고, 어른들에게는 2차성 결핵이 흔함
- 흔히 나타나는 증상은 기침을 하고 가래가 나오는 것인데, 피가 함께 섞여 나오기도 함
- 그밖에 열이 나거나 불쾌감, 피로, 체중감소, 가슴의 통증 등도 나타남
- 대부분 가슴 X선 사진을 찍거나 투베르쿨린반응을 보고 가래로 결핵균검사를 해서 진단함
- 투베르쿨린반응 검사는 보통 X선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나타날 경우에 함
- 이 검사는 결핵균의 단백질 성분을 팔에 주사하여 나타나는 반응을 통해 알아보는 것인데, 강한 양성 반응이 나오면 결핵검사를 함
- 치료에는 약물을 쓰는 화학요법과 외과요법이 있음
- 주로 화학요법을 쓰며, 흔히 쓰는 약에는 이소나이아짓, 리팜피신, 에탄부톨, 피라진아미드, 스트렙토마이신, 가나마이신, 사이클로서린, 에티온아미드 등이 있음
- 외과요법은 심각한 합병증이 생가거나 약물에 내성이 있는 결핵균이 침입했을 때만 사용함
- 화학요법이 발달하여 대부분 치유되지만 원활한 치료를 위해서는 조기발견과 적절한 처방 및 적절한 약물복용이 필요함
* 미국의 결핵 증가율
endemic(창궐지역), pandemic(전세계적으로 퍼짐)
10주차
1. 소화기 시스템의 구조
사실일까? 아닐까?
- 미국에서 암 관련 사망자중 두번째로 많은 것이 직장암 혹은 대장암이다? -사실이다.
미국에서는 폐암 다음으로 직, 대장암 환자가 많으며 매년 56,000명이 죽는다.
* 소화기 시스템
- 소화기 : 구강, 인두, 식도, 위장, 소장, 대장
- 부속기관 : 간, 쓸개(담낭), 췌장
- 소화단계
√ 1단계 : 씹고, 침으로 음식을 소화시켜 효소가 침투할 수 있도록 함(기계적, 아밀라아제)
√ 2단계 : 위에서 소화액이 염산으로 소화효소 활성화음식은 더욱 수화되고 산성화, 혼합물로 변화Chyme(미즙)으로 변화위벽은 점액으로 보호
√ 3단계 : Chyme이 소즙으로 이동. 대부분의 소화가 십이지장에서 일어난다.
- 담즙 : 간에서 분비, 쓸개에 저장효소는 아니지만 유화제(담즙, 콜레스테롤의 유도체)리피드를 소화, 흡수 할 수 있도록 도와줌
2. 소화기 질병들
(1) 구토
- 보호작용
- 염증, 감염, 걸림 등이 신경섬유를 자극, 뇌의 구토센터로 인지되면, 복부의 근육을 자극하여 근육이 위장을 쥐어짜며 수축됨
- 식도와 위장의 연결 조임근이 열림
- 위산, 위액이 역류(화상위험)
- 메스꺼움이 전조 증상임
- 매우 좋지않은 냄새나 장면이 구토를 유발(심리적 요인)
(2) 설사
- 소장의 내용물이 너무 빨리 대장으로 이동되고 대장에서 물과 미네럴을 재흡수 불가(수분흡수 불가)
- 걱정이나 스트레스가 유발
- 장 감염, 식중독이 유발
(3) 변비
- 정상적으로 배변이 이루어지지 않는 증상
- 변비는 건강할 때에 비하여 변이 굳고 건조하며, 배변의 횟수와 변의 양이 감소되어 불쾌감이나 생리적 장애를 수반하는 증상
- 식이섬유 섭취가 필수
- 2, 3일 또는 1주일동안 한 번밖에 통변이 없어도 보인이 고통을 느끼지 않을
  • 가격10,000
  • 페이지수9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2.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14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