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만성질환
2. 고혈압
3. 당뇨병
4. 동맥경화증
5. 간질환
6. 지방간
7. 식생활 관리를 이용해 개선할 수 있는 방안
참고문헌
2. 고혈압
3. 당뇨병
4. 동맥경화증
5. 간질환
6. 지방간
7. 식생활 관리를 이용해 개선할 수 있는 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연발증 고혈압쥐 SHR은 보통 식이로 사육해도 저절로 고혈압이 되었는데, 이는 유전적 소인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사람의 경우에도 소금에 대한 감수성이 예민한 유전적 소인을 가진 사람이 있는가 하면 소금을 마음껏 먹어도 혈압이 오르지 않는 체질이 있다. 그러므로 소금의 양을 가급적 줄이는 것이 건강에 도움은 되지만, 소금만 줄이면 고혈압이 낫는 것으로 오인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오히려 유의할 점은 칼륨과 마그네슘의 충분한 섭취가 고혈압에 유리하다는 것이다. 칼륨과 마그네슘이 동시에 풍부한 식품은 다시마와 푸른잎 채소들이다. 고혈압의 식이요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충분한 단백질의 섭취이다. 신선한 생선류나 굴, 조개 그리고 콩제품(콩즙, 콩비지, 두부)등을 되도록 많이 먹는 것이 좋다. 서구 사람들은 굵은 혈관에 콜레스테롤과 같은 기름기가 끼어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죽상경화인 데 비해, 우리나라 사람들은 단백질의 부족으로 인한 선유성 경화라고 해서 가는 혈관이 터지는 경우가 많다. 동물실험에 의하면 단백질을 줄이면서 소금을 많이 먹인 부류는 고혈압으로 일찍 죽는 반면 단백질을 늘리고 소금을 적게 먹인 부류는 별 탈이 없었다고 한다. 콜레스테롤은 부신피질호르몬, 성호르몬 등의 원료일 뿐만 아니라, 세포막의 구성 성분이다. 그러므로 이것이 많아도 걱정이지만 부족하게 되면 오히려 혈관벽을 이루는 세포가 약해져서 뇌출혈의 위험이 커진다. 또 콜레스테롤이 많아서 기피 대상이 되어온 새우, 게, 굴, 오징어 등에는 콜레스테롤을 몰아내는 성질이 있는 식물성 스테롤과 타우린이라는 아미노산 그리고 나쁜 콜레스테롤을
추천자료
[간호학특론]서치먼의 단계별 질병과정모형을 적용한 의료추구행위(급성,만성질환자 각1인씩 ...
[간호학특론]빈곤층 불건강자의 의료추구행위(중산층과 빈곤층의 만성질환자 각 1인씩 사례적...
[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성인간호학]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케이스스터디
실습케이스case - COPD만성폐쇄성폐질환
[간호학특론B]빈곤층 불건강자의 의료추구행위분석에 대해 논하시오.(대상-급성질환자와 만성...
간호이론3D) 핸더슨의 이론을 적용하여 작성하시오. 주요 개념에 대해 간략히 정리, 만성질환...
파슨스의 환자역할에 대하여 만성질환자와 급성환자를 비교하여 사례분석
간경변증 케이스
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 2017 생활과건강 2.제2형 당뇨병 환자를 위...
만성질환 대상자에 대한 스트레스 이론의 적용
간호학특론A형 급성질환자와 만성질환자 사례관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