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로 이 책에서 주장하는 제도와 번영의 관계 이론이 우리나라의 향후 경제 발전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생각해 보았다. 저자도 이 책에서 북한과 남한을 비교하며 남한의 경제 발전을 언급하고 있지만, 저자는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의 지속가능성에는 의심을 가진다. 왜냐하면 착취적 정치 제도 하에서 포용적 경제 제도의 특징만으로는 그 성장에 한계가 있다는 생각 때문이다. 즉, 포용적 제도 하에서만 지속가능한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는 아직까지 포용적 정치 제도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 저자의 시각이다.
개인적으로 저자의 이 주장에 동의한다. 1만 달러에서 2만 달러의 소득으로 성장하는데, 우리나라는 예상보다 너무 오래 걸렸다. 다시 2만 달러에서 3만 달러로 가는 데도 상당한 시간이 예상된다. 많은 원인이 있겠지만, 저자의 주장대로 포용적 정치, 경제 제도의 부족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정치 제도의 부족이 더 심각해 보인다. 따라서 대선을 앞두고 있는 현재, 국민들이 적극적으로 정치에 참여하여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우리 사회가 좀 더 포용적인 사회인 갈지, 아니면 퇴행적인 모습의 착취적 사회로 회귀할지 결정될 것이다.
개인적으로 저자의 이 주장에 동의한다. 1만 달러에서 2만 달러의 소득으로 성장하는데, 우리나라는 예상보다 너무 오래 걸렸다. 다시 2만 달러에서 3만 달러로 가는 데도 상당한 시간이 예상된다. 많은 원인이 있겠지만, 저자의 주장대로 포용적 정치, 경제 제도의 부족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정치 제도의 부족이 더 심각해 보인다. 따라서 대선을 앞두고 있는 현재, 국민들이 적극적으로 정치에 참여하여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우리 사회가 좀 더 포용적인 사회인 갈지, 아니면 퇴행적인 모습의 착취적 사회로 회귀할지 결정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