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제너시스 그룹 소개
(1)제너시스 소개
(2)설립이유
(3)제너시스 연혁
(4)현재규모
(5)기업개요
(6)성공전략과 경쟁력
2.중국 시장조사
(1)중국진출
(2)중국의 경제환경 및 소득
(3)중국의 물가
(4)중국인들의 입맛 및 음식의 일반적 특성
(5)중국의 경쟁기업 분석
(6)시장동향
(7)시장장벽
(8)진출전 국내상황
3.전략분석
(1)중국진출전략
(2)4P분석
(3)SWOT전략
4.재무적성과
5.결론
(1)제너시스 소개
(2)설립이유
(3)제너시스 연혁
(4)현재규모
(5)기업개요
(6)성공전략과 경쟁력
2.중국 시장조사
(1)중국진출
(2)중국의 경제환경 및 소득
(3)중국의 물가
(4)중국인들의 입맛 및 음식의 일반적 특성
(5)중국의 경쟁기업 분석
(6)시장동향
(7)시장장벽
(8)진출전 국내상황
3.전략분석
(1)중국진출전략
(2)4P분석
(3)SWOT전략
4.재무적성과
5.결론
본문내용
하여 환산하면 대략 한화로 연봉 5,200만원에 상당하는 액수이다. 이는 한국에서도 충분히 중상위 소득계층으로 평가되는 수준이다. 또 이들 중에서 가장 높은 소득을 얻는 직업군(群)인 사영기업 경영자의 경우에는 연봉이 구매력 평가 환산으로 우리 돈 1억 3,000만원에 달해 이른바 ‘억대 연봉’ 대열에 들어서 있다. 이들 고소득자들의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직업별로는 역시 기업 및 기관의 경영자가 31%를 차지했고, 전문기술직 종사자가 25.2%를 차지했으며, 자유직이 17.8%, 사무직이 9.5% 순이다.
* BBQ 진출당시 중국의 인구수: 약 13억 명 중국의 인구는 정확한 집계가 힘들어서 대략적인수치.
* BBQ 진출당시 중국의 1인당 GDP: 1인당 1천 달러
* BBQ 진출당시 중국의 인구수대비 소득: 중국의 GDP가 낮은 이유는 GDP를 인구수로 나누었기 때문이다. 실질적으론 중국의 구매력을 갖춘 소비자층의 규모는 상당히 크며, 구매력평가 GDP로 보게 되면 중국이 세계에서 2위의 소비력을 갖춘 거대한 시장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중국에서는 공식통계에 파악되지 않는 국유기업의 복리후생, 현물지급, 지하 경제 등으로 화폐로 환산되지 않은 소득이 많기 때문에 공식수입의 50%정도 되는 비공식수입을 감안할 경우 민간의 구매력은 공식통계보다 40~50%정도 상승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2003년 중국 주민들의 생활이 계속해 개선 되였고 전국 도시 주민들의 인구 당 지배가능 소득은 8472원에 달했다. 물가 상승요인을 제외하고 사실상 9.0% 성장하였다. 농민들의 인구당 소득은 2622원에 달해 사실상 4.3% 성장 하였다. 주민가정의 엥겔지수는 도시가 37.1%에 달해 그 전해보다 0.6% 하강 되였다. 농촌은 45.6%에 달해 0.6% 하강 하였다. 2003년 말 전국의 개인 승용차 소유량은 489만대에 달해 그 전해 말보다 146만대 증가하였다. http://ask.nate.com/qna/view.html?n=3223728 beeyak, 「중국의 소득」,『네이트 지식』, 2003
GDP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중국
1,045.20
1,083.30
1,198.50
1,324.80
1,453.80
1,641.00
1,931.60
2,236.00
(3)중국의 물가
중국의 GDP는 도약적인 성장을 했다. 2002년의 12조 위안이 5년 후 24조 위안으로, 순 증가액은 12조 위안에 달했다. 경제는 줄곧 빠르게 발전했고 연평균 증가 속도는 10.6%, 해마다 증가폭은 1%p 정도였다. 이해 비해 물가는 안정적이었다. 물가는 가정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거시 조정의 중요한 표지 중 하나다. 과거 5년, 중국의 물가는 전체적으로 안정적이었으나 최근에는 문제들이 두드러지고 있다.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연평균 2.1% 증가했고 국민경제는‘고 성장, 저 인플레이션’의 양호한 추세를 보였다. 하지만 2007년에는 큰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2007년 8월, CPI는 동기 대비 증가폭이 6%를 돌파했고 이후 연속 5개월 6%를 넘어섰다. 한 해의 평균 증가율은 4.8%로 1997년 이래로 가장 높은 수치다.
위의 자료를 보면 중국은 매우 큰 폭의 경제성장을 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BBQ 진출 2007년 이전엔 물가가 상당히 안정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http://www.rmhb.com.cn/chpic/htdocs/kr/200803/news/2-2.htm 장위둥(張旭東), 저우잉펑(周英峰), 뤄사(羅沙), 「중국의 물가」,『인민화보』,2008
* 중국인들의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소비문화가 활발해지면서 음식문화에 자부심을 갖고 있는 까다로운 중국인들에 맞게 많은 해외 외식업체들이 중국인들의 입맛에 맞도록 운영
중국 상무부는 2005년 외식업계 매출액이 인구 1인당 680위안으로 전체판매액은8886.8 억 위안(108조41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
(4)중국인들의 입맛 및 음식의 일반적 특성
중국의 음식문화를 포괄적으로 설명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지만, 중국 음식의 몇 가지 공통된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중국 음식에는 거의 모든 일반적인 식품이 재료로 이용된다.
* 녹말 물을 사용하여 조리하는 음식이 많다.
* 조리 기구가 간단하고 사용이 용이하다.
훠궈(중국 냄비), 사궈(볶음, 튀김 냄비), 러우사오(그물 조리), 정룽(찜통) 외에 식칼, 뒤집게, 국자 등이 조리 기구의 전부이다.
* 익혀 먹는 숙식(熟食)을 기본으로 한다.
* 기름을 사용하여 조리한다.
중국 음식은 대부분 기름에 튀기거나, 조리거나, 볶거나, 지진 것이다. 따라서 고온에서 짧은 시간에 음식을 만들 수 있어서 재료의 고유한 맛이 유지되고 영양소의 손실도 최소화할 수 있다.
* 시각적으로 외관이 풍요롭고 화려하다. 채소, 해산물, 육류 등을조화시켜 만든 음식을 한 그릇에다 모두 담고 장식을 한다.
* 향신료와 조미료의 향을 잘 활용한다.
마늘, 생강, 고추, 파, 양파, 팔각, 굴소스, 두반장 등의 향을 충분히 이용하기 때문에 중국 음식의 독특한 맛과 향이 결정된다. http://www.dietnet.or.kr/fculture/fculture3_1.html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중국음식문화의 일반적 특성」,『식생활 정보센터 DietNet』, 2011
*주로 구이류의 음식을 좋아한다.
(5)중국의 경쟁기업 분석
*KFC와 맥도날드가 있다. KFC는 1987년 중국으로 진출하였고, 맥도날드의 경우에는 1992년 진출 하였는데, 이후 계속적인 점포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요즘에는 서브웨이나 중국만의 패스트푸드 전문점이 생기고 있는 실정이다.
*KFC는 중국의 프렌차이즈 업계에서는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의 매출비율이 미국내 매출규모를 넘어섰으며, 전체 영업이익 가운데 37%가 중국시장에서 발생했다. KFC의 중국에서의 힘은 상상을 초월한다. 맥도날드 또한 점포를 계속적으로 늘리고 있으며, 일부지역에서는 KFC보다 나은 매축액을 보이기도 한다. 비슷한 샌드위치가게인 서브웨이가 바짝 뒤를
* BBQ 진출당시 중국의 인구수: 약 13억 명 중국의 인구는 정확한 집계가 힘들어서 대략적인수치.
* BBQ 진출당시 중국의 1인당 GDP: 1인당 1천 달러
* BBQ 진출당시 중국의 인구수대비 소득: 중국의 GDP가 낮은 이유는 GDP를 인구수로 나누었기 때문이다. 실질적으론 중국의 구매력을 갖춘 소비자층의 규모는 상당히 크며, 구매력평가 GDP로 보게 되면 중국이 세계에서 2위의 소비력을 갖춘 거대한 시장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중국에서는 공식통계에 파악되지 않는 국유기업의 복리후생, 현물지급, 지하 경제 등으로 화폐로 환산되지 않은 소득이 많기 때문에 공식수입의 50%정도 되는 비공식수입을 감안할 경우 민간의 구매력은 공식통계보다 40~50%정도 상승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2003년 중국 주민들의 생활이 계속해 개선 되였고 전국 도시 주민들의 인구 당 지배가능 소득은 8472원에 달했다. 물가 상승요인을 제외하고 사실상 9.0% 성장하였다. 농민들의 인구당 소득은 2622원에 달해 사실상 4.3% 성장 하였다. 주민가정의 엥겔지수는 도시가 37.1%에 달해 그 전해보다 0.6% 하강 되였다. 농촌은 45.6%에 달해 0.6% 하강 하였다. 2003년 말 전국의 개인 승용차 소유량은 489만대에 달해 그 전해 말보다 146만대 증가하였다. http://ask.nate.com/qna/view.html?n=3223728 beeyak, 「중국의 소득」,『네이트 지식』, 2003
GDP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중국
1,045.20
1,083.30
1,198.50
1,324.80
1,453.80
1,641.00
1,931.60
2,236.00
(3)중국의 물가
중국의 GDP는 도약적인 성장을 했다. 2002년의 12조 위안이 5년 후 24조 위안으로, 순 증가액은 12조 위안에 달했다. 경제는 줄곧 빠르게 발전했고 연평균 증가 속도는 10.6%, 해마다 증가폭은 1%p 정도였다. 이해 비해 물가는 안정적이었다. 물가는 가정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거시 조정의 중요한 표지 중 하나다. 과거 5년, 중국의 물가는 전체적으로 안정적이었으나 최근에는 문제들이 두드러지고 있다.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연평균 2.1% 증가했고 국민경제는‘고 성장, 저 인플레이션’의 양호한 추세를 보였다. 하지만 2007년에는 큰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2007년 8월, CPI는 동기 대비 증가폭이 6%를 돌파했고 이후 연속 5개월 6%를 넘어섰다. 한 해의 평균 증가율은 4.8%로 1997년 이래로 가장 높은 수치다.
위의 자료를 보면 중국은 매우 큰 폭의 경제성장을 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BBQ 진출 2007년 이전엔 물가가 상당히 안정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http://www.rmhb.com.cn/chpic/htdocs/kr/200803/news/2-2.htm 장위둥(張旭東), 저우잉펑(周英峰), 뤄사(羅沙), 「중국의 물가」,『인민화보』,2008
* 중국인들의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소비문화가 활발해지면서 음식문화에 자부심을 갖고 있는 까다로운 중국인들에 맞게 많은 해외 외식업체들이 중국인들의 입맛에 맞도록 운영
중국 상무부는 2005년 외식업계 매출액이 인구 1인당 680위안으로 전체판매액은8886.8 억 위안(108조41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
(4)중국인들의 입맛 및 음식의 일반적 특성
중국의 음식문화를 포괄적으로 설명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지만, 중국 음식의 몇 가지 공통된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중국 음식에는 거의 모든 일반적인 식품이 재료로 이용된다.
* 녹말 물을 사용하여 조리하는 음식이 많다.
* 조리 기구가 간단하고 사용이 용이하다.
훠궈(중국 냄비), 사궈(볶음, 튀김 냄비), 러우사오(그물 조리), 정룽(찜통) 외에 식칼, 뒤집게, 국자 등이 조리 기구의 전부이다.
* 익혀 먹는 숙식(熟食)을 기본으로 한다.
* 기름을 사용하여 조리한다.
중국 음식은 대부분 기름에 튀기거나, 조리거나, 볶거나, 지진 것이다. 따라서 고온에서 짧은 시간에 음식을 만들 수 있어서 재료의 고유한 맛이 유지되고 영양소의 손실도 최소화할 수 있다.
* 시각적으로 외관이 풍요롭고 화려하다. 채소, 해산물, 육류 등을조화시켜 만든 음식을 한 그릇에다 모두 담고 장식을 한다.
* 향신료와 조미료의 향을 잘 활용한다.
마늘, 생강, 고추, 파, 양파, 팔각, 굴소스, 두반장 등의 향을 충분히 이용하기 때문에 중국 음식의 독특한 맛과 향이 결정된다. http://www.dietnet.or.kr/fculture/fculture3_1.html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중국음식문화의 일반적 특성」,『식생활 정보센터 DietNet』, 2011
*주로 구이류의 음식을 좋아한다.
(5)중국의 경쟁기업 분석
*KFC와 맥도날드가 있다. KFC는 1987년 중국으로 진출하였고, 맥도날드의 경우에는 1992년 진출 하였는데, 이후 계속적인 점포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요즘에는 서브웨이나 중국만의 패스트푸드 전문점이 생기고 있는 실정이다.
*KFC는 중국의 프렌차이즈 업계에서는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의 매출비율이 미국내 매출규모를 넘어섰으며, 전체 영업이익 가운데 37%가 중국시장에서 발생했다. KFC의 중국에서의 힘은 상상을 초월한다. 맥도날드 또한 점포를 계속적으로 늘리고 있으며, 일부지역에서는 KFC보다 나은 매축액을 보이기도 한다. 비슷한 샌드위치가게인 서브웨이가 바짝 뒤를
추천자료
<전략경영>숙취해소제품 틈새시장 공략 사례분석
[국제경영전략] 지역기업 해외진출 사례분석
스타벅스의 마케팅, 성공사례, 마케팅전략, 성공전략, 경영전략분석, 국내 진출과 경영전략 ...
정성식품의 마케팅, 성공사례, 마케팅전략, 성공전략, 경영전략분석, 기업소개 및 환경분석, ...
포스코 (POSCO) 경영전략분석 및 경영성공요인과 포스코 향후방향분석, 인재가발원,기술경영...
[기업분석 (경영분석과제)] CJ CGV (CGV기업분석, CGV 경영전략사례, 멀티플렉스, 현황분석, ...
블랙야크 vs 노스페이스 경영전략,마케팅전략 비교분석및 두브랜드 마케팅실패사례분석과 블...
신세계의 경영전략 연구 - 신세계 경영전략과 기업분석 및 신세계 윤리경영 사례분석, 경영상...
JAL 일본항공 기업분석과 경영전략분석및 JAL의 위기극복위한 전략의 성공사례및 시사점연구...
[힐튼호텔 글로벌마케팅전략 사례연구] 힐튼호텔 (Hilton Hotels) 마케팅전략 분석 - 힐튼호...
[롯데호텔 글로벌전략 케이스분석] 롯데호텔 (Lotte Hotel) 러시아진출 경영전략연구 - 롯데...
[ 포스코 경영,마케팅사례 PPT ] POSCO 포스코 마케팅전략,경영전략 사례분석과 포스코 위기...
『BMW 경영전략 성공사례연구』 BMW 경영전략분석과 BMW 기업분석 및 BMW 향후전망분석 레포트
[기아자동차 경영전략사례연구] 기아자동차 기업분석과 경영전략,성공사례분석및 기아자동차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