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리학의 개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병리학의 개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학문
-각 질병 시 세포, 조직, 및 장기에 나타난 형태, 기능적 변화에 대한 연구
2. 병리학의 역사
그리스시대
-의학의 아버지 Hippocrates ; 액체병리학-- 4가지 체액의 ( 혈액,점액,황색담즙, 흑색담즙) 균형이 깨진상태
르네상스시대--이태리 Morgagni ; 장기병리학--질병에 따라 특정 장기에 병터가 생김
19c --독일의 Virchow ; 세포병리학--현미경을 사용, 세포의 병적소견을 관찰 현재 병리학의 기초를 이룸
3. 병리학의 핵심
질병의 경과과정 4가지
① 병인-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 인자
②발병기전 -질병진행과정, 기전, 그렇게 되는 이유
③형태변화 -질병의 형태변화를 세밀하게 분석, 평가하여 진단에 이용
④기능장애 - 어떤 질병에서 잘 나타나는 기능장애와 형태변화와의 연관성을 연구
질병의 본태와 임상적 응용에 도움을 준다.
4. 임상검사로서의 병리학
① 생검 (biopsy)- 환자로부터 살아있는 조직을 채취하여 병리조직학적으로 진단
incision, 생검 침, 내시경겸자
②수술 중의 신속 조직검사-- 환자의 병터 일부 조직을 동결 절편하여 병리조직 표본을 만들어 현미경관찰 후 진단한 다음에 보고
③수술 적출물의 조직검사--수술로 절제한 조직이나 장기를 육안관찰과 병리조직 검사로 진단
④세포진 검사(cytology)-- 채취한 세포를 슬라이드에 도말하여 검사하는 방법
박탈세포가 섞인 분비물이나 찰과로 얻어진 재료를 도 말, 염색하고 세포학적으로 관찰하여 악성세포를 찾아 냄으로써 암의 조기발견을 목적으로 한다.
⑤ 부검(autopsy) --생전에 알고 있는 질병으로 사망한 환자의 시체를 부검하여 병의 진행 정도, 사망에 이르게 된 기전등을 밝혀낸다.
임상진단이 적절했는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질병을 찾아내는데도 도움
조직검사법의 과정
① 고정(fixation) -신체에서 떼어낸 조직이 변화되지 않게 고정액에 넣어 생명현상 을 중지. 10% 포르말린 용액을 사용
②탈수(dehydration)- 세포내의 물울 유기용매로 바꾸는 것( 알콜사용)
③포매(embedding)- 세포내의 물을 알콜로 바꾸고 파라핀을 침투시키는 것
④절편(section)만들기-조직을 4um로 얇게 잘라낸 것을 슬라이드에 올려놓는다
⑤염색(staining) -조직의 구조를 잘 구별하기위해 염색 한다
-면역염색 -항원, 항체반응을 이용
5. 질병의 원인
⑴내인- 생체내의 존재하는 인자가 있어 질병이 발생
①연령-호발연령--고령자--고혈압, 당뇨, 동맥경화
-소아--선천성 질환, 소아마비, 구루병
②성별-남-동맥경화 여- 갑상선 질환
③인종-한국인--위암 서양인 -대장암
④영양상태- 영양실조, 비타민결핍 , 영양과다- 현대벙, 당뇨 고혈압, 심장병
⑤면역상태-에이즈. 알러지
⑥유전상태-고혈압, 당뇨
⑵외인-외부로부터 들어온 인자로 인해 질병이 발생
①생물학적 인자 -세균, 진균, 바이러스
②물리적 인자-골절 ,화상, 압력, 태양, 방사선
③화학적 인자-공업생산물, 독극물, 약물
④영양장애-
⑤대기오염-흡연으로 인힌 기관지염. 진폐증,
  • 가격4,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11.28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24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