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목차
표 목 차 ……………………………………… ⅳ
그림목차 ……………………………………… ⅴ
논문개요 ……………………………………… ⅵ
제 1 장 서 론 ……………………………………… 1
제 1 절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 1
1. 문제의 제기 ……………………………………… 1
2. 연구의 목적 ……………………………………… 4
제 2 절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 4
1. 연구의 범위 ……………………………………… 4
2. 연구의 방법 ……………………………………… 6
제 2 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 ……………………………………… 8
제 1 절 중국관광자에 대한 이론적 고찰 ……………………………………… 8
1. 중국관광자의 정의 ……………………………………… 8
2. 방한 중국관광자의 관광성향 ……………………………………… 10
3. 제주방문 중국관광자들의 관광성향 ……………………………………… 13
제 2 절 관광 시장세분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 19
1. 관광 시장세분화의 개념 및 중요성 ……………………………………… 19
2. 관광 시장세분화의 기준 ……………………………………… 25
3. 관광시장세분화에의 접근 ……………………………………… 31
제 3 절 관광상품에 대한 이론적 고찰 ……………………………………… 34
1. 관광상품의 개념과 특성 ……………………………………… 34
2. 관광상품의 개발 ……………………………………… 46
3. 관광상품과 관광 시장세분화와의 관련성 ……………………………………… 59
제 4 절 선행연구 ……………………………………… 60
1. 중국관광자에 대한 선행연구 ……………………………………… 60
2. 관광 시장세분화에 대한 선행연구 ……………………………………… 64
제 3 장 조사연구설계 ……………………………………… 70
제 1 절 조사의 설계 ……………………………………… 70
1. 연구조사의 목적 ……………………………………… 70
2. 연구대상의 선정 ……………………………………… 70
3. 조사기간과 조사방법 ……………………………………… 71
제 2절 가설 및 연구모형 설정 ……………………………………… 72
제 3 절 모집단 및 표본추출 ……………………………………… 74
제 4 절 설문지 구성 및 분석방법 ……………………………………… 75
제 4 장 실증 분석 결과 ……………………………………… 80
제 1 절 표본의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 ……………………………………… 80
제 2 절 기대도에 관한 요인분석 ……………………………………… 83
제 3 절 중국관광자의 차이분석 ……………………………………… 86
제 4 절 중국관광자의 분석에 따른 차이검증 ……………………………………… 89
제 5 절 재방문의사와 기대에 따른 관심도 분석 ……………………………………… 97
제 6 절 가설검증 요약 및 시사점 ……………………………………… 98
1. 가설검증의 요약 ……………………………………… 98
2. 연구 시사점 ……………………………………… 100
제 7 절 관광상품개발 방안 ……………………………………… 101
제 5 장 결 론 ……………………………………… 104
참 고 문 헌 ……………………………………… 108
그림목차 ……………………………………… ⅴ
논문개요 ……………………………………… ⅵ
제 1 장 서 론 ……………………………………… 1
제 1 절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 1
1. 문제의 제기 ……………………………………… 1
2. 연구의 목적 ……………………………………… 4
제 2 절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 4
1. 연구의 범위 ……………………………………… 4
2. 연구의 방법 ……………………………………… 6
제 2 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 ……………………………………… 8
제 1 절 중국관광자에 대한 이론적 고찰 ……………………………………… 8
1. 중국관광자의 정의 ……………………………………… 8
2. 방한 중국관광자의 관광성향 ……………………………………… 10
3. 제주방문 중국관광자들의 관광성향 ……………………………………… 13
제 2 절 관광 시장세분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 19
1. 관광 시장세분화의 개념 및 중요성 ……………………………………… 19
2. 관광 시장세분화의 기준 ……………………………………… 25
3. 관광시장세분화에의 접근 ……………………………………… 31
제 3 절 관광상품에 대한 이론적 고찰 ……………………………………… 34
1. 관광상품의 개념과 특성 ……………………………………… 34
2. 관광상품의 개발 ……………………………………… 46
3. 관광상품과 관광 시장세분화와의 관련성 ……………………………………… 59
제 4 절 선행연구 ……………………………………… 60
1. 중국관광자에 대한 선행연구 ……………………………………… 60
2. 관광 시장세분화에 대한 선행연구 ……………………………………… 64
제 3 장 조사연구설계 ……………………………………… 70
제 1 절 조사의 설계 ……………………………………… 70
1. 연구조사의 목적 ……………………………………… 70
2. 연구대상의 선정 ……………………………………… 70
3. 조사기간과 조사방법 ……………………………………… 71
제 2절 가설 및 연구모형 설정 ……………………………………… 72
제 3 절 모집단 및 표본추출 ……………………………………… 74
제 4 절 설문지 구성 및 분석방법 ……………………………………… 75
제 4 장 실증 분석 결과 ……………………………………… 80
제 1 절 표본의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 ……………………………………… 80
제 2 절 기대도에 관한 요인분석 ……………………………………… 83
제 3 절 중국관광자의 차이분석 ……………………………………… 86
제 4 절 중국관광자의 분석에 따른 차이검증 ……………………………………… 89
제 5 절 재방문의사와 기대에 따른 관심도 분석 ……………………………………… 97
제 6 절 가설검증 요약 및 시사점 ……………………………………… 98
1. 가설검증의 요약 ……………………………………… 98
2. 연구 시사점 ……………………………………… 100
제 7 절 관광상품개발 방안 ……………………………………… 101
제 5 장 결 론 ……………………………………… 104
참 고 문 헌 ……………………………………… 108
본문내용
형 특화관광상품개발과 관광선전방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 논문집 제8호, 1980, p.152.에서 재인용)
는 관광상품은 “관광지, 숙박시설, 교통수단, 각종서비스와 관광매력물을 결합시킨 것(tourist destinations, accommodation means of transport, supplementary and attractions)으로서, 관광객의 욕구만족을 전제하고, 장소적 이동을 통하여 다양한 관광욕구충족을 추구하는 것이다.” 라고 정의하였다.
③ Medick과 Middleton
관광상품은 관광객이 집을 떠난 후 다시 돌아올 시간까지의 경험과 관계되어지는 것으로 관광지 매력과 시설 그리고 관광지에의 접근성과 같은 3가지 구성요소의 결합물이다. 다시 말해 관광상품은 항공기 좌석과 호텔 또는 해변가에서의 휴식 뿐만 아니라 다양한 관광구성요소의 결합체인 것이다. 이와 같은 개념은 Wahab(1976) and Schmoll(1977)등에 의해 확산되었다.
④ Holloway와 Plant
“상품이란 고객욕구와 욕망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시장에서 제공하는 것들로 정의되며, 무형재, 서비스, 사람, 장소, 조직이나 아이디어를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관광상품은 관광지, 각종 관광서비스, 관광관련 유형상품 등을 포함하는 복합체이다.”라고 하였다. Holloway, J.C. and R.V. Plant, Marketing for Tourism : Pitman Pub., 1992, p.62.
⑤ Burke와 Rensnick
“관광산업은 제품과 서비스를 동시에 생산하므로, 관광상품은 관광에 관련된 제품과 서비스가 결합된 상품이다.”라고 하였다.Hurke, J.K. & Barry P. Resnick, Marketing & Selling the Travel Product : South-western Pub. Co., 1991, p.16.
⑥ Douglas Foster
Douglas Foster Douglas Foster, Travel & Tourism Management, Hongkong : Macmilian, 1985, pp.78~79.
는 관광상품이란 제조기업에서 생산한 상품과는 달리 잠재고객(potential Custosmer)인 구매자가 구매하여 직접 이용해 보기 전에는 이를 느끼거나 맛 볼 수 없고, 견본을 뽑아 볼 수도 없는 package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광산업의 각종 구성요소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갖게 된다고 하여 “관광상품의 통합적측면”을 강조하였다.
⑦ 한국관광공사
광의의 관광상품은 관광업계가 생산하는 일절의 재화와 서비스이고, 협의의 관광상품은 여행상품과 관광에 유관되는 일절의 서비스이고, 또는 관광사업자가 관광자원을 바탕으로 판매할 것을 전제로 이를 상품화한 것이다. 관광상품을 영어로 표현하면, Tourism Poduct, Tourist Product, Travel Product 등으로 표시되는데, 물질적인 것보다도 정신적관념적추상적인 내용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한국관광공사는 관광상품을 광의적으로는 “관광업계가 생산하는 일체의 재화(유형재) 및 서비스(무형재)”라고 할 수 있으며, 협의적으로는 “여행상품과 관광에 관련된 일체의 서비스로서 관광사업자가 유무형의 관광자원을 바탕으로 판매할 것을 전체로 이를 상품화한 것” 이선희, 관광마아케팅개론, 대왕사, 1995, p.138.
이다. 또한 최협의적으로는 “교통숙박식음료인적서비스 등의 여행상품을 지칭하는 것” 한국관광공사, 여행수지 흑자달성을 위한 관광진흥방안 연구, 1993, pp.282~283.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관광상품을 나열식으로 설명하는데 지나지 않으며, 인위적인 정의를 거쳐 만들어 내려함으로써 학술적 접근방법이 결여” 되었다는 평가정완준, “관광상품과 구매동기에 관한 연구”, 동아대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1, pp.8~9.
도 있다.
⑧ 이장춘
이장춘이장춘, “한국형 특화관광상품 개발과 관광선전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논문집 제8호, 1980, pp.452~453.
은 관광상품이 갖고 있는 독특한 개성을 더욱 돋보이게 하며, 그 이미지를 확연히 나타내고, 관광자(고객)입장에서 선호(buyer\'s preference), 구매동기(buying motives) 및 구매관습(buying habit) 등을 충분히 감안하여 관광상품을 구매자의 요구(needs)나 욕구(wants)에 합치되도록 하는 제활동으로서 관광상품을 논하고 있으며, 역사성, 자원성, 문화성, 국토성을 이념으로 하여 관광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관광상품개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하였다.
⑨ 이선희
관광상품을 광의로 말한다면, ‘관광업계가 생산하는 일체의 재화와 서비스’라고 부를 수 있다. 여기서 관광업계(Travel industry)는 숙박업(호텔, 모텔, 여관, 캠피장 등), 여행업, 운수업(철도, 자동차, 항공, 선박 등), 요식업(각종 음식점, 바아, 레스토랑 등), 휴양레크레이션업(자연농원, 주말농장, 게임센터, 온천, 스키장 등), 관광사진업 등을 망라한 관광관련업체를 말할 수 있다.
결국 이들 업체들이 생산하는 관광상품은 ‘관광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유형무형의 상품으로 관광객이 구입하는 기념품, 각종 식당, 특산물 등과 같은 구체적이고 유형적인 상품과 서비스(관광안내, 여객운송, 게임 등)’ 와 같은 추상적이고 무형적인 상품이다. 그러나 관광상품의 주종을 이루는 것은 어디까지나 서비스 상품이다. 한편 협의로 말할 때의 관광상품은 ‘여행상품과 유관되는 일체의 서비스’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정의하면 관광상품은 ‘관광업자가 관광자원을 바탕으로 판매할 것을 전제로 이를 상품화한 것’ 이라 할 수 있다. 이선희, 관광마아케팅개론, 대왕사, 1995, pp.138~139.
다시 말해 관광상품은 시간공간의 한정성을 지니고 있고, 비정상성일과성(一過性), 불가역성(不可逆性), 배달의 불필요성, 무형재로서의 인식의 곤란성 등으로 제한성이나 한계성을 본질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광상품은 유형재나 서비스의 결합보다는 경우에 따른 유형재, 서비스 그리고 이들의 적정한 조화가 이루어 판매되는 재화를 모두 일
는 관광상품은 “관광지, 숙박시설, 교통수단, 각종서비스와 관광매력물을 결합시킨 것(tourist destinations, accommodation means of transport, supplementary and attractions)으로서, 관광객의 욕구만족을 전제하고, 장소적 이동을 통하여 다양한 관광욕구충족을 추구하는 것이다.” 라고 정의하였다.
③ Medick과 Middleton
관광상품은 관광객이 집을 떠난 후 다시 돌아올 시간까지의 경험과 관계되어지는 것으로 관광지 매력과 시설 그리고 관광지에의 접근성과 같은 3가지 구성요소의 결합물이다. 다시 말해 관광상품은 항공기 좌석과 호텔 또는 해변가에서의 휴식 뿐만 아니라 다양한 관광구성요소의 결합체인 것이다. 이와 같은 개념은 Wahab(1976) and Schmoll(1977)등에 의해 확산되었다.
④ Holloway와 Plant
“상품이란 고객욕구와 욕망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시장에서 제공하는 것들로 정의되며, 무형재, 서비스, 사람, 장소, 조직이나 아이디어를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관광상품은 관광지, 각종 관광서비스, 관광관련 유형상품 등을 포함하는 복합체이다.”라고 하였다. Holloway, J.C. and R.V. Plant, Marketing for Tourism : Pitman Pub., 1992, p.62.
⑤ Burke와 Rensnick
“관광산업은 제품과 서비스를 동시에 생산하므로, 관광상품은 관광에 관련된 제품과 서비스가 결합된 상품이다.”라고 하였다.Hurke, J.K. & Barry P. Resnick, Marketing & Selling the Travel Product : South-western Pub. Co., 1991, p.16.
⑥ Douglas Foster
Douglas Foster Douglas Foster, Travel & Tourism Management, Hongkong : Macmilian, 1985, pp.78~79.
는 관광상품이란 제조기업에서 생산한 상품과는 달리 잠재고객(potential Custosmer)인 구매자가 구매하여 직접 이용해 보기 전에는 이를 느끼거나 맛 볼 수 없고, 견본을 뽑아 볼 수도 없는 package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광산업의 각종 구성요소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갖게 된다고 하여 “관광상품의 통합적측면”을 강조하였다.
⑦ 한국관광공사
광의의 관광상품은 관광업계가 생산하는 일절의 재화와 서비스이고, 협의의 관광상품은 여행상품과 관광에 유관되는 일절의 서비스이고, 또는 관광사업자가 관광자원을 바탕으로 판매할 것을 전제로 이를 상품화한 것이다. 관광상품을 영어로 표현하면, Tourism Poduct, Tourist Product, Travel Product 등으로 표시되는데, 물질적인 것보다도 정신적관념적추상적인 내용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한국관광공사는 관광상품을 광의적으로는 “관광업계가 생산하는 일체의 재화(유형재) 및 서비스(무형재)”라고 할 수 있으며, 협의적으로는 “여행상품과 관광에 관련된 일체의 서비스로서 관광사업자가 유무형의 관광자원을 바탕으로 판매할 것을 전체로 이를 상품화한 것” 이선희, 관광마아케팅개론, 대왕사, 1995, p.138.
이다. 또한 최협의적으로는 “교통숙박식음료인적서비스 등의 여행상품을 지칭하는 것” 한국관광공사, 여행수지 흑자달성을 위한 관광진흥방안 연구, 1993, pp.282~283.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관광상품을 나열식으로 설명하는데 지나지 않으며, 인위적인 정의를 거쳐 만들어 내려함으로써 학술적 접근방법이 결여” 되었다는 평가정완준, “관광상품과 구매동기에 관한 연구”, 동아대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1, pp.8~9.
도 있다.
⑧ 이장춘
이장춘이장춘, “한국형 특화관광상품 개발과 관광선전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논문집 제8호, 1980, pp.452~453.
은 관광상품이 갖고 있는 독특한 개성을 더욱 돋보이게 하며, 그 이미지를 확연히 나타내고, 관광자(고객)입장에서 선호(buyer\'s preference), 구매동기(buying motives) 및 구매관습(buying habit) 등을 충분히 감안하여 관광상품을 구매자의 요구(needs)나 욕구(wants)에 합치되도록 하는 제활동으로서 관광상품을 논하고 있으며, 역사성, 자원성, 문화성, 국토성을 이념으로 하여 관광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관광상품개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하였다.
⑨ 이선희
관광상품을 광의로 말한다면, ‘관광업계가 생산하는 일체의 재화와 서비스’라고 부를 수 있다. 여기서 관광업계(Travel industry)는 숙박업(호텔, 모텔, 여관, 캠피장 등), 여행업, 운수업(철도, 자동차, 항공, 선박 등), 요식업(각종 음식점, 바아, 레스토랑 등), 휴양레크레이션업(자연농원, 주말농장, 게임센터, 온천, 스키장 등), 관광사진업 등을 망라한 관광관련업체를 말할 수 있다.
결국 이들 업체들이 생산하는 관광상품은 ‘관광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유형무형의 상품으로 관광객이 구입하는 기념품, 각종 식당, 특산물 등과 같은 구체적이고 유형적인 상품과 서비스(관광안내, 여객운송, 게임 등)’ 와 같은 추상적이고 무형적인 상품이다. 그러나 관광상품의 주종을 이루는 것은 어디까지나 서비스 상품이다. 한편 협의로 말할 때의 관광상품은 ‘여행상품과 유관되는 일체의 서비스’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정의하면 관광상품은 ‘관광업자가 관광자원을 바탕으로 판매할 것을 전제로 이를 상품화한 것’ 이라 할 수 있다. 이선희, 관광마아케팅개론, 대왕사, 1995, pp.138~139.
다시 말해 관광상품은 시간공간의 한정성을 지니고 있고, 비정상성일과성(一過性), 불가역성(不可逆性), 배달의 불필요성, 무형재로서의 인식의 곤란성 등으로 제한성이나 한계성을 본질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광상품은 유형재나 서비스의 결합보다는 경우에 따른 유형재, 서비스 그리고 이들의 적정한 조화가 이루어 판매되는 재화를 모두 일
추천자료
선사시대의 석기문화
한국관광공사 PR 캠페인 기획
LTP프로젝트
우리나라의 주거사
식품산업클러스터
하멜표류기
제주삼다수의 인도 생수시장 진출전략
민화 조사
한국과 일본의 역사의 차이점
[환경공학][환경공학기술][환경공학기술자][수질오염][지구환경 당면문제][환경][지구환경][...
5장 우리나라my country의 암석
사회복지정책 중 민영화 전략으로 논의되고 있는 정책, 제도의 예를 찾아 찬성과 반대의 입장...
[방통대 국어국문학과 4학년 우리말의 역사 공통] 국어사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외교 관점에서의 한미 FTA 분석 - 자유무역협정 FTA(Free Trade Agreement)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