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임용고시 정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구과학 임용고시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Part1. 지각의 물질과 지각 변동
Part2. 대기의 운동과 순환
Part3. 해수와 해류의 순환
Part4. 천체와 우주
Part5. 지질 조사와 우리나라의 지질

본문내용

: 지질조사를 통해 알아낸 지질학적 정보를 여러 가지 지표를 이용하여 나타낸 지도
노선지질도 : 노두가 잘 나타나는 곳을 중심으로 노선을 정한 다음, 이 노선을 따라가면서 지질조사한 것을 기록한 지질도로 노두에 나타난 암석의 종류, 지질구조, 지층의 주향과 경사 등을 기호를 이용해서 지형도에 나타낸다.
지질평면도 : 노선 지질도에 나와 있는 지층의 주향과 경사 및 등고선을 이용해서 지층 경계선을 그린 것으로 우리가 보통 말하는 지질도이다.
지질단면도 : 지하의 지질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주향에 직각방향으로 임의의 선을 택한 다음 그 선의 지하 단면을 그리는데, 지하의 지질구조와 지층의 분포를 입체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질주상도 : 지질 단면도에서 얻은 지층의 생성순서 및 지층의 두께, 특징 등을 기둥 모양으로 나타낸 것으로 암석과 지층의 생성된 순서를 파악할 수 있다.
② 등고선과 지층 경계선의 관계(I)
수평층 : 지층 경계선이 등고선과 나란함
수직층 : 등고선과 관계없이 지층경계선이 직선
경사층 : 지층경계선과 등고선이 만남
③ 등고선과 지층경계선의 관계(II)
습곡구조 : 지층경계선이 습곡축을 중심으로 대칭
부정합 : 끊어진 지층경계선을 기준으로 다른 지층이 나옴
단층 : 끊어진 지층경계선을 기준으로 같은 지층들이 반복됨
④ 지질도에서 주향과 경사
주향 : 지층경계선과 같은 높이의 등고선이 만나는 두 점을 연결한 것
경사방향 : 고도가 높은 주향선에서 고도가 낮은 주향선 쪽으로 수직선을 그은 것
지질도에서 경사각(θ) : tanθ = H / D
(θ : 경사각, H : 두 주향선 차이의 높이차, D : 두 주향선 사이의 거리)
지층의 두께(d) : d = ℓsinθ
( d : 지층의 두께, ℓ : 두 주향선의 수평거리, θ : 지층의 경사각)
3. 우리나라의 지질
1) 우리나라의 지질 특성
① 우리나라의 지체구조 : 몇 개의 육괴와 퇴적 분지 및 지구대로 구성
지체구조 : 우리나라를 암석의 연령, 종류 및 지질구조 등과 같은 기준에 따라 여러 개의 땅덩어리로 나눈 것을 말한다.
육괴 : 지형적으로나 구조적으로 특정한 방향성을 나타나지 않은 암석덩어리
퇴적분지 : 고생대 이후에 호수나 바다에서 퇴적물이 쌓여 만들어진 퇴적층
지구대 : 대규모 단층구조를 이루며 길쭉한 분지모양을 갖는 지형
구조곡 : 단층이나 습곡 등의 지질 구조의 지배를 받아 생긴 골짜기
② 지질의 특성
암석의 종류 : 변성암 40%, 화성암 35%, 퇴적암 25%
암석의 시대분포 : 선캄브리아대 43%, 고생대 11%, 중생대 40%, 신생대 6%
③ 해성층과 육성층
해성층 : 고생대 말인 페름기를 경계로 이전에 바다에서 형성된 지층
육성층 : 고생대 말인 페름기를 경계로 이후에 육지에서 형성된 지층
④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암석은 변성퇴적암류와 화강편마암류
추가령 구조곡 : 우리나라의 지질특성을 남북으로 나눈다.
- 추가령 구조곡의 북쪽 : 화강편마암과 화강암이 불규칙으로 배열
- 추가령 구조곡의 남쪽 :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암석들이 배열
⑤ 층서구분(층 < 층군 < 누층군)
층 :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암석으로 이루어진 지층으로 지질도에 표시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가진 것을 말한다.
층군 : 두 개 이상의 층을 묶어서 표현한 것
누층군 : 두 개 이상의 층군을 묶어서 표현한 것
2) 우리나라의 지질계통
① 선캄브리아대
구성 : 변성퇴적암, 화강편마암
여러 차례 지각변동과 화성활동으로 심하게 변성
편마암 복합체, 상원누층군
- 편마암 복합체 : 주로 퇴적암이 변성을 받아 형성된 편마암, 편암, 규암, 결정질 석회암 등이 변성퇴적암류와 화강편마암으로 구성되며, 심한 화강암화 작용과 변성작용 때문에 지층의 심한 습곡 작용을 받아 암상의 변화가 극심하여 지층을 세분화하기가 매우 힘들다.
- 상원누층군 : 상원 누층군에서 석회암에서는 선캄브리아대 원생대의 표준화석인 콜레니아가 발견된다. 콜레니아는 스트로마톨라이트의 일종으로 석회조류가 나이테처럼 켜켜이 쌓여 있는 모양의 화석
② 고생대
조선누층군
- 캄브리아기 ~ 오르도비스기
- 해성층
- 석회암, 사암, 셰일과 같은 퇴적암으로 구성
- 삼엽충, 완족 동물, 연체동물 필석, 코노돈트 등의 화석 발견
회동리층
- 실루리아기
- 강원도 정선지역에 분포
- 코노콘도 화석 발견
평안 누층군
- 석탄기 ~ 트라이아이스기 전기
- 석회암, 사암, 셰일로 구성
- 방추충 산호, 해백합, 완족동물 조개 등의 화석
- 해성층에서 육성층으로 바뀌는 시기
③ 중생대(조산운동과 화성활동이 매우 활발, 대동누층군대보화강암경상누층군불국사화강암)
송림변동 : 트라이아스기 말에 한반도 북쪽의 지질 구조 방향을 바꿀 만큼 대규모의 지각변동이 일어났는데 이를 말함
대동누층군
- 트라이아스기 후기 ~ 쥐라기 후기
- 역암, 사암, 셰일로 구성되고 무연탄을 곳곳에 포함
- 식물화석과 담수에 사는 연체동물, 절지동물, 어류 등의 화석 산출
- 식물화석과 담수에 사는 연체동물, 절지동물, 어류 등의 화석 산출
대보조산운동 : 쥐라기 말의 대규모 지각운동
경상누층군
- 쥐라기 후기 ~ 백악기
- 공룡뼈와 발자국, 새 발자국, 소철류 등의 화석이 발견
불국사변동
- 중생대 전기 ~ 신생대 제3기까지 일어난 운동
- 여러 곳의 화강암 관입과 화산 분출로 그 지역에 불국사 화강암 형성
④ 신생대(퇴적층이 동해안을 따라 소규모로 나타나며, 제3기 중기에서 제 4기 초기까지 백두산, 한라산, 울릉도 등지에 화산활동)
제3계 : 동해안 일부지역과 제주도의 해안선을 따라 소규모 분포하며, 육성층과 해성층이 번갈아 나타난다.
제4계(화산활동) : 백두산, 울릉도, 제주도 등지의 화산활동에 의해 생성된 화산쇄설암과 화성암으로 이루어져 있다(오늘날의 한반도 모습).
3) 우리나라 지하자원
① 우리나라 지하자원
금속광상 : 주로 화성활동으로 형성(Fe, Cu, Pb 등)
비금속광상 : 주로 퇴적암이나 변성암이 생성될 때 생성(석회암, 대리암 등)
석탄 : 평안 누층군의 무연탄
② 광석과 광산
광석 : 경제적으로 이용가치가 있는 광물
광상 : 광석이 집중적으로 모여 있는 장소
  • 가격3,300
  • 페이지수60페이지
  • 등록일2012.12.07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42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