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학 조사보고서 본초학의 역사 本草學 우리나라의 본초사 中國의 本草史 중국의 본초사 기미 오장 고욕보사 보사의 운용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본초학 조사보고서 본초학의 역사 本草學 우리나라의 본초사 中國의 本草史 중국의 본초사 기미 오장 고욕보사 보사의 운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本草學의 정의

제 2장 본초학의 역사
제 1절 우리나라의 본초사
1. 上古時代(상고시대)의 본초
2. 三國時代의 본초
3. 統一新羅時代의 본초
4. 南方 및 西域에서 醫藥品輸入
5. 高麗(고려)時代의 본초학
6. 조선시대의 본초학
7. 朝鮮末期의 본초학
8. 1900년~해방 이전의 본초학
9. 해방이후~1970년대의 본초학
10. 1970년대 이후의 본초학

제2절 中國의 本草史
1. 漢 代 이전의 本草
2. 神農本草經
3. 魏晋南北朝時代의 本草
4. 陶弘景의 本草校定
5. 隋唐,5代의 本草
6. 宋代의 本草
7. 金元時代의 本草
8. 明淸時代의 本草

제 3 장 藥性論
제 1 절 기 미
1. 四 氣(四性)
2. 五 味

제2절 形性藥性
1.氣臭-후각을 통하여 감지되는 기
2. 色
3. 形 體

제3절 歸 經

제4절 引經과 藥引
1. 十二經 引經藥
2. 인경약의 응용
3. 약 인

제5절 升 降 浮 沈
1. 升降浮沈의 理論
2. 약 성 작 용

제6절 補 瀉
1. 보사의 운용
2. 오장 고욕보사

제7절 有毒藥과 無毒藥
1. 독의 개념
2. 毒藥의 分類
3. 毒藥의 應用

제8절 配 伍
1. 七 情
2. 藥 對
3. 君 臣 佐 使

본문내용

吳氏本草]는 梁의 [七錄]에 [華陀(화타)弟子 吳普(오보)本草六券]이라고 있는 것으로 생각됨. [淮南子]에는 세속 사람들이 옛것을 귀하게 여기고 요즘 것을 싫어해 神農이나 黃帝의 이름을 빌렸다고 한 것을 보면 성현들의 이름을 빌린 것은 한나라 初末의 풍조였다고 보임.
2. 神農本草經
한 대의 方士(도사,마술사를 의미)가 만든 것. 方士는 得仙의 수단으로서 仙藥을 탐구하였으니 그들이 약물에 관한 古來의 기록이나 전설을 정리하여 본초를 만들었다고 추측. 불로장생의 仙藥을 上品으로 한 것이나, 漢書에 方術本草(방술본초)라고 되 있는 것이 증거.
전국시대에 약물에 관한 많은 지식이 축적. 仙藥과 醫藥의 명확할 구별이 있을 리 없다.
[漢書藝文志(한서예문지)]에 醫經,經方,房中,神僊(신선)의 네가지를 方技略(방기략)이라 하여 일괄되어 있는 것도 다 같이 약물을 취급하는데서 의료와 신선술이 동일 범주시 했음을 말하는 것.
[神農本草經]의 傳本에 대하여 陶弘景은 漢末이나 西晋 말의 兵亂을 만나 거의 소실되어, 4권뿐이 남지 않았다고 하였는데, 4권이라 함은 아마도 [神農本草四卷雷公集註]라고 한 것으로 陶弘景은 이에 의하여 교정을 한 것이 아닌가 한다.
이 四卷本은 本草의 원형을 전하는 가장 오래된 책이다. 대체의 윤곽은 [陶弘景校訂本(도홍경교정본)]을 거쳐 증류본초에 전하여 지고 있다고 생각됨.
신농본초 제 1권을 살펴보면..
(1)上藥 120종은 君으로 養命을 主하고, 天에 응하고 無毒하여 多服久服하여도 사람을 상하 지 않으므로 輕身益氣, 불로연년을 바라는데는 이것을 사용한다.
(2)中藥 120종은 臣으로 養性을 主하고, 人에 응하고 有毒 또는 無毒하므로 참작하여 사용하 고 病을 調味하며 虛를 補하는데는 이를 사용한다.
(3)下藥 125종은 佐使로 治病을 主하며, 地에 응하고 多毒하므로 久服하여서는 안된다. 寒熱 의 사기를 除(제)하고 파적하기 때문에 병을 치유하는데는 이를 쓴다. 三品을 합하여 365 종은 天 365 度에 法하고 一度는 一日에 응하며 一年의 日數와 맞는다.
(4)약에는 君臣佐使의 구별이 있다.
(5)약에는 陰陽의 배합, 子母兄弟, 根莖花實(근경화실), 草石骨肉이 있다.
(6)약에는 酸,咸,甘,苦,辛의 五味와 寒熱溫의 四氣 및 有毒, 無毒이 있다.
(7)寒을 治하는데는 熱藥을 사용하고, 熱을 治하는데는 寒藥을 사용한다.
음식물이 소화되지 않을때는 吐下藥, 복통이나 蟲毒에는 毒藥, 癰腫(옹종)이나 瘡瘤(창류) 에는 瘡藥, 風濕의 病에는 風濕藥을 사용한다
한방의학의 약물치료기술이 漢 代에는 거의 완성되 있었음. 다음으로 各論의 3권은 上卷의 上品藥, 中卷에 中品藥, 下卷에 下品藥을 수록하여 약품의 총수는 원래 365종이었다고 생각된다. 본문은 藥名에 이어 氣味, 藥效를 열거하고 최후에 一名을 말했을 뿐인 간략한 것. 말미의 細書의 전반은 간단한 처방, 후반은 소위 畏惡로 이 부분이 雷公集註라고 생각됨.
3. 魏晋南北朝時代의 本草
위진남북조시대의 본초에는 [桐君採藥錄 雷公藥對] [吳普本草] [李當之本草] 가 있고, 가장 중요시 된 것은 [神農本草]였을 것이다. [神農本草]의 이름은 장화의 [博物誌(박물지)]에 보인다.
[神農經]은 [神農本草]나 기타 책들을 참고하여 만든 별개의 서적이라 보는 것이 마땅함.
六朝時代에 본초 또는 본초경이라 불린 것이 일종만이 아니었다는 것이 주된 원인.
漢 代 이래 오랜 傳寫(전사:베껴쓰는 것)를 통하여 증보나 개정이 추가하여져 많은은 異本이 생기고 다시 이를 節錄(절록)하여 자기 취향으로 編錄(편록)한 것도 나타나 어느 것이나 본초/본초경/신농경으로 불렀기 때문에 혼란이 생겼을 것.
4. 陶弘景의 本草校定
陶弘景은 모든 책을 참조하여 본초의 定本을 만들었다. 陶弘景은 최초로 [神農本草]에 [名醫別錄]의 글을 추가하여 三卷으로 하고 [神農本草經]이라 이름을 지었는데, 3권본은 上卷이 書錄, 中下2卷이 各論이었는데, 書錄은 [神農本草]의 서록을 인용하여 12條(조)로 주서하고 매조마다 주를 黑字로 대서하였으며, 다음에 [合藥節度(합약절도)]라고 이름 붙여 用藥에 관한 일반사항을 범례 형식으로 쓰고, 이어 病證別의 用藥名 및 諸毒의 解毒法을 들었으며, 나머지 141종의 약물에 대하여 그 畏惡가 쓰여 있다. 당,송대의 본초에서도 그대로 답습 인용되었는데 새로운 설을 추가하지 않았다.
각론은 새로운 자연분류방법으로 중권에는 玉石,草木 하권에는 蟲獸,果菜,米食 및 有名未用을 수록함. 약품 수는 神農本草品 365종, 名醫別錄品 365종의 총 730종으로 [神農本草]의 글을 朱書(주서)하고 [名醫別錄]의 글은 墨書(묵서)한 소위 朱墨雜書이다. 名醫別錄은 魏晋 이래 名醫의 所錄을 모은 것. [隋誌]의 陶氏는 弘景과는 다른 사람일 것이라고 한다. [名醫別錄]은 매우 풍부한 내용을 가진 유용한 책이었다고 추정되며 특히 주목되는 것은 모든 약물의 산지가 드러나 있는 것임. 이상으로 3권을 만든 뒤 홍경은 중하2권의 각론에 주를 추가하여 6권으로 하고, 서록을 합쳐 7권으로 했다. 이것이 [集註本草]로 서록은 3권본 그대로였으나 각론의 註는 細字雙行(세자쌍행)으로 쓰여졌고, 간략한 단문이지만 산지, 형태, 감별 등 기원에 대한 것을 기재하였고, 후세에 이를 중심으로 많은 논의가 거듭됨.[集註七卷本]은 私撰(사찬:개인적으로 지은 것)이긴 하나 중국약국방의 제일판이라 할 수 있는 것으로 당,송의 勅撰本草(칙찬본초:임금의 명으로 짓는 것, 혹은 임금이 직접 짓는 것)는 다 이를 근간으로 편성
5. 隋唐,5代의 本草
[雷公灸論]의 저자 雷斅(뇌효)는 劉宋人(류송인)이라 하며, [藥性論]은 수당간의 甄立言(견립언)의 저작이라 추정됨. 본초의 기본서가 된 것은 [集註本草]였으며, 당 초에 [新修本草]가 나와 이를 대신함. [新修本草]는 중국에서 최초의 勅撰本草이다. 이때까지 사용된 [集註本草]는 도홍경의 칙찬이며 또한 홍경의 견문은 강남에 치우쳐 있었기 때문에 전국이 통일되 모든 외국과의 교통이 활발해진 당대의 실정에 맞지 않는 것이 되었다. [集註本草]에 新註와 新藥을 추가하였을 뿐 약품의 分類나 次序에는 약간의 변화를 추가했으나 [集註本草]의 舊文(구문,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2.12.07
  • 저작시기201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47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