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엔터테인먼트 사업의 정의와 현황
3. 음악시장 산업구조 및 환경분석
4. 기업소개
4-1) SM Entertainment
- 소개
- 중국시장 S T P분석
- 일본시장 S T P분석
- 마케팅전략
- 4 P 전략
4-2) YG Entertainmnet
- 소개
- 기업현황
- 마케팅전략 (차별화전략, 집중화전략)
5. 경쟁사 분석 (JYP Entertainment)
6. 이론적 고찰 (STP와 4P를 통한 비교)
6-1) S T P
6-2) 4 P
7. 두 기획사의 장 ․ 단점
7-1) 장 점
7-2) 단 점
8. 결 론
2. 엔터테인먼트 사업의 정의와 현황
3. 음악시장 산업구조 및 환경분석
4. 기업소개
4-1) SM Entertainment
- 소개
- 중국시장 S T P분석
- 일본시장 S T P분석
- 마케팅전략
- 4 P 전략
4-2) YG Entertainmnet
- 소개
- 기업현황
- 마케팅전략 (차별화전략, 집중화전략)
5. 경쟁사 분석 (JYP Entertainment)
6. 이론적 고찰 (STP와 4P를 통한 비교)
6-1) S T P
6-2) 4 P
7. 두 기획사의 장 ․ 단점
7-1) 장 점
7-2) 단 점
8. 결 론
본문내용
도적으로 선발, 구성한다.
가수라는 직업이 가창력 있는 사람이라는 직업적 특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SM이 한 그룹 내에 가창력 있는 사람은 한두 명 정도로 그치고, 나머지는 끼 있는 사람으로 채워서 10대의 인기를 끌도록 했다면, YG는 외모보다는 탁월한 가창력을 가진 사람을 선발에서 우선하여 뽑는다. SM이 수시로 신인을 발굴, 모집하는 데 반해, YG는 사람을 뽑는 데 있어서 신중함 때문에, 신인을 모집하는 오디션도 자주 열리지 않을 뿐 아니라, 열린다 하더라도 적합한 인재가 없으면 선발하지 않기도 한다. 이유는 SM.이 가수 트레이닝 기간을 보통 1년 정도로 짧게 잡는 반면에, YG는 5-6년 정도로 길게 잡기 때문이기도 하다. YG는 정통 흑인음악인 R&B와 힙합을 추구하며 정통힙합 마니아를 공략하는 전략을 취하기 때문에 좀더 전문성 있는 가수를 내세운다. YG는 세대를 세분화하기 보다는 장르를 추구한다. 즉, 특정 나이의 세대를 수요자로 택하는 것이 아니라, 정통 힙합이라는 장르를 선택하기 때문에, 정통 힙합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나이가 어떠냐에 상관없이 YG의 수요자가 된다. 다만, 그 대부분이 20-30대일 것으로 예상된다.
세 번째는 Positioning이다. 앞에서 대상으로 선택한 시장 조각에 어떻게 자리매김할 것인가를 정하는 것이다.
SM은 신비감을 준다. 음악 방송 외에 다른 오락방송을 자제하여 10대 소년, 소녀들의 궁금증을 자극한다. 또 그룹의 경우 멤버별 이미지를 심어 주어 10대들의 이상형에 맞는 사람을 선택하여 좋아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같은 예는 SM이 아니라 다른 회사에서도 종종 즐겨쓰는 전략이라 생각된다. 예컨대, TTL에서 “임은경”을 자사 CF에만 2년간 출연하게 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신비감을 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신비감은 계약한 2년이 지난 후, 쉽게 허물어지고 말았다. 그에 반해 SM은 일시적인 신비감이 아니라, 자신들이 배출한 스타에 대해 지속적인 궁금증과 신비감, 매력을 증폭시켜 인기를 유지하게 한다.
YG의 경우 장르별 전문적인 가수를 내놓아 20~30대들의 사랑을 받는다. 휘성과 거미의 경우 R&B에서, 지누션과 원타임이 대표적인 예이다. 출중한 외모를 가진 가수가 아니더라도, 호소력 짙은 목소리로 음악 소비자에게 다가선다.
6-2) 4 P
다음으로 4P에 대해 알아보겠다. 4P는 Product, Price, Place, Promotion이다. 앞에서 정리한 S T P를 기반으로 이 4가지를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Product 제품이다. 어떤 제품을 만들어서 팔 것인가?
SM에서는 우리나라에서 통하는 가수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등 해외에도 유용한 가수들을 내세운다. 그래서 준수한 외모를 갖춘 사람을 선발하는 것은 물론, 선발한 사람을 대상으로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의 언어를 트레이닝 한다. 보아의 경우에는 일본과 한국에서 다 통할 수 있는 음악을 만들어 동시에 발매를 하는 경우가 있다. 동방신기는 이번에 중국진출을 위해서 중국어를 배웠을 뿐만 아니라 중국인 1명을 영입하여 활동하기로 했다. 또, 타이틀곡을 듣기 위해서 앨범을 사왔던 기존 음반과는 달리 방송활동에 쓰일 음악만을 넣어 싱글 앨범을 냈다.
Y .G는 한명의 가수의 음반을 낼 때도 소속사의 다른 가수들을 음반에 참여하게 하는 마케팅을 하고 있다. 또 제품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혹독한 트레이닝을 한다. 1년에 기획사에 1명의 연습생이 남아있기도 힘들다는 말이 이것을 증명해주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나오는 가수들마다 가창력이 뛰어나고 음악성까지 좋다는 평가를 받게 된다. 또, 소속사의 가수들의 적극적인 후원으로 신인들도 더 음반 수요자들에게 관심을 받는다.
YG와 SM의 공통점은 소속사의 가수들을 패밀리로 만들어서 음반을 만드는 것이다. YG는 ‘YG패밀리’, SM은 ‘SM타운’이라는 프로젝트 그룹을 만들어 새로운 제품을 창출하는 것이다. 이는 개개의 팀의 팬 층이 합쳐져 제품의 더 좋은 결과를 낳는다. 이런 이벤트 성의 팀도 새로운 음반 제품이라 할 수 있겠다.
둘째, Price 가격이다. 그 제품을 얼마에 팔 것인가?
음반시장에서의 가격은 별의미가 없는 듯싶다. 음반마다 가격의 차이가 별로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SM의 특이한 점이라면 동방신기의 싱글 앨범은 음악수를 줄이고 가격을 낮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음반판매량에 영향을 미칠지는 의문이다.
셋째, Place 장소, 유통이다. 어디서 팔 것인가? 혹은 어떤 방법으로 팔 것인가? 음반을 음반매장에서 파는 것은 별 차이가 없겠지만, 이 두 기획사의 새로운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SM은 가맹점을 두고 있다. 음반매장이 SM기획의 회원으로 가입하여 공동으로 마케팅을 하는 제도이다. SM은 가맹점의 매출증가를 위해 다양한 활동들을 한다. 예를 들어 소속가수의 포스터(브로마이드), 홍보용 cd, 뮤직비디오, 각종 홍보용품 등을 제공하고, SM TOWN에 가입한 음반매장은 SM음반이 출시되었을 때, 이를 우선적으로 마케팅한다. 이에는 매장 입구나 계산대 주위 등 가장 좋은 자리에 SM음반 진열을 한다거나, 청음기에 SM 음반을 설치, 매장 내에 SM 음악을 방송, SM음반의 POP 광고물과 포스터 부착 등이 있다. 이 가맹점을 통해서 SM은 음반매장에서 유리한 마케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또, 홈페이지인 ‘http://www.smtown.com/’를 통해서 SM 가수들의 음반을 판매하고 있다.
YG는 콘서트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한 가수의 콘서트가 아니라 소속가수들이 전부 출연하는 콘서트를 자주 열고 있다. 여기서는 특별한 이벤트와 한명이 아닌 여러 명의 인기 있는 가수들을 한꺼번에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5만원에서 8만원에 달하는 비싼 입장료를 내고 많은 사람들이 콘서트를 보러 온다. 이런 콘서트의 장점은 대중매체에서 볼 수 없었던 가수들의 모습과 노래를 들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콘서트 외에 대중들이 누릴 수 있는 문화의 영역을 더 넓히려는 노력중의 하나로 힙합 클럽 ‘NB\'를 오픈했다. \'NB’는 국내 최고의 음향 시설을 자랑하는 힙합 클럽으로 클럽 문화의 중심지인
가수라는 직업이 가창력 있는 사람이라는 직업적 특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SM이 한 그룹 내에 가창력 있는 사람은 한두 명 정도로 그치고, 나머지는 끼 있는 사람으로 채워서 10대의 인기를 끌도록 했다면, YG는 외모보다는 탁월한 가창력을 가진 사람을 선발에서 우선하여 뽑는다. SM이 수시로 신인을 발굴, 모집하는 데 반해, YG는 사람을 뽑는 데 있어서 신중함 때문에, 신인을 모집하는 오디션도 자주 열리지 않을 뿐 아니라, 열린다 하더라도 적합한 인재가 없으면 선발하지 않기도 한다. 이유는 SM.이 가수 트레이닝 기간을 보통 1년 정도로 짧게 잡는 반면에, YG는 5-6년 정도로 길게 잡기 때문이기도 하다. YG는 정통 흑인음악인 R&B와 힙합을 추구하며 정통힙합 마니아를 공략하는 전략을 취하기 때문에 좀더 전문성 있는 가수를 내세운다. YG는 세대를 세분화하기 보다는 장르를 추구한다. 즉, 특정 나이의 세대를 수요자로 택하는 것이 아니라, 정통 힙합이라는 장르를 선택하기 때문에, 정통 힙합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나이가 어떠냐에 상관없이 YG의 수요자가 된다. 다만, 그 대부분이 20-30대일 것으로 예상된다.
세 번째는 Positioning이다. 앞에서 대상으로 선택한 시장 조각에 어떻게 자리매김할 것인가를 정하는 것이다.
SM은 신비감을 준다. 음악 방송 외에 다른 오락방송을 자제하여 10대 소년, 소녀들의 궁금증을 자극한다. 또 그룹의 경우 멤버별 이미지를 심어 주어 10대들의 이상형에 맞는 사람을 선택하여 좋아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같은 예는 SM이 아니라 다른 회사에서도 종종 즐겨쓰는 전략이라 생각된다. 예컨대, TTL에서 “임은경”을 자사 CF에만 2년간 출연하게 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신비감을 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신비감은 계약한 2년이 지난 후, 쉽게 허물어지고 말았다. 그에 반해 SM은 일시적인 신비감이 아니라, 자신들이 배출한 스타에 대해 지속적인 궁금증과 신비감, 매력을 증폭시켜 인기를 유지하게 한다.
YG의 경우 장르별 전문적인 가수를 내놓아 20~30대들의 사랑을 받는다. 휘성과 거미의 경우 R&B에서, 지누션과 원타임이 대표적인 예이다. 출중한 외모를 가진 가수가 아니더라도, 호소력 짙은 목소리로 음악 소비자에게 다가선다.
6-2) 4 P
다음으로 4P에 대해 알아보겠다. 4P는 Product, Price, Place, Promotion이다. 앞에서 정리한 S T P를 기반으로 이 4가지를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Product 제품이다. 어떤 제품을 만들어서 팔 것인가?
SM에서는 우리나라에서 통하는 가수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등 해외에도 유용한 가수들을 내세운다. 그래서 준수한 외모를 갖춘 사람을 선발하는 것은 물론, 선발한 사람을 대상으로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의 언어를 트레이닝 한다. 보아의 경우에는 일본과 한국에서 다 통할 수 있는 음악을 만들어 동시에 발매를 하는 경우가 있다. 동방신기는 이번에 중국진출을 위해서 중국어를 배웠을 뿐만 아니라 중국인 1명을 영입하여 활동하기로 했다. 또, 타이틀곡을 듣기 위해서 앨범을 사왔던 기존 음반과는 달리 방송활동에 쓰일 음악만을 넣어 싱글 앨범을 냈다.
Y .G는 한명의 가수의 음반을 낼 때도 소속사의 다른 가수들을 음반에 참여하게 하는 마케팅을 하고 있다. 또 제품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혹독한 트레이닝을 한다. 1년에 기획사에 1명의 연습생이 남아있기도 힘들다는 말이 이것을 증명해주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나오는 가수들마다 가창력이 뛰어나고 음악성까지 좋다는 평가를 받게 된다. 또, 소속사의 가수들의 적극적인 후원으로 신인들도 더 음반 수요자들에게 관심을 받는다.
YG와 SM의 공통점은 소속사의 가수들을 패밀리로 만들어서 음반을 만드는 것이다. YG는 ‘YG패밀리’, SM은 ‘SM타운’이라는 프로젝트 그룹을 만들어 새로운 제품을 창출하는 것이다. 이는 개개의 팀의 팬 층이 합쳐져 제품의 더 좋은 결과를 낳는다. 이런 이벤트 성의 팀도 새로운 음반 제품이라 할 수 있겠다.
둘째, Price 가격이다. 그 제품을 얼마에 팔 것인가?
음반시장에서의 가격은 별의미가 없는 듯싶다. 음반마다 가격의 차이가 별로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SM의 특이한 점이라면 동방신기의 싱글 앨범은 음악수를 줄이고 가격을 낮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음반판매량에 영향을 미칠지는 의문이다.
셋째, Place 장소, 유통이다. 어디서 팔 것인가? 혹은 어떤 방법으로 팔 것인가? 음반을 음반매장에서 파는 것은 별 차이가 없겠지만, 이 두 기획사의 새로운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SM은 가맹점을 두고 있다. 음반매장이 SM기획의 회원으로 가입하여 공동으로 마케팅을 하는 제도이다. SM은 가맹점의 매출증가를 위해 다양한 활동들을 한다. 예를 들어 소속가수의 포스터(브로마이드), 홍보용 cd, 뮤직비디오, 각종 홍보용품 등을 제공하고, SM TOWN에 가입한 음반매장은 SM음반이 출시되었을 때, 이를 우선적으로 마케팅한다. 이에는 매장 입구나 계산대 주위 등 가장 좋은 자리에 SM음반 진열을 한다거나, 청음기에 SM 음반을 설치, 매장 내에 SM 음악을 방송, SM음반의 POP 광고물과 포스터 부착 등이 있다. 이 가맹점을 통해서 SM은 음반매장에서 유리한 마케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또, 홈페이지인 ‘http://www.smtown.com/’를 통해서 SM 가수들의 음반을 판매하고 있다.
YG는 콘서트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한 가수의 콘서트가 아니라 소속가수들이 전부 출연하는 콘서트를 자주 열고 있다. 여기서는 특별한 이벤트와 한명이 아닌 여러 명의 인기 있는 가수들을 한꺼번에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5만원에서 8만원에 달하는 비싼 입장료를 내고 많은 사람들이 콘서트를 보러 온다. 이런 콘서트의 장점은 대중매체에서 볼 수 없었던 가수들의 모습과 노래를 들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콘서트 외에 대중들이 누릴 수 있는 문화의 영역을 더 넓히려는 노력중의 하나로 힙합 클럽 ‘NB\'를 오픈했다. \'NB’는 국내 최고의 음향 시설을 자랑하는 힙합 클럽으로 클럽 문화의 중심지인
추천자료
음악치료법
음악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대중음악의 문제점, 해결방안
[사회과학] 광고음악(씨엠송)의 발달사
대중음악과 대중문화
대중음악에서 발견되는 도전성 - 산울림, 황신혜 밴드, 서태지와 아이들을 통해 보기 -
음악 마케팅 전략 - 음반 산업의 과거와 미래
대중음악에 대한 견해
음악산업의 현황과 정책 및 전망
음악이 필요한 순간 Melon - 멜론 melon 기업분석과 마케팅사례분석및 멜론의 경쟁우위와 문...
인디음악과 활성화 방안
음악감상의 지도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음악학개론)경제학 가치를 지닌 문화예술상품과 일반적인 경제상품의 원론적인 차이점과 현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