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권력의 구조 & 김일성, 김정일 권력구조의 차이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권력의 구조 & 김일성, 김정일 권력구조의 차이점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북한권력의 구조

(1) 노동당 독재
(2) 수령의 유일영도체제
(3) 북한정권의구조


김일성, 김정일 권력구조의 차이점

(1) 김일성의 주체사상의 체계
(2) 김정일의 주체사상
(3) 새로운 헌법과 정치 체제
(4) 데이터 표

본문내용

는 “수령의 사상을 지도적 지침으로 하여 혁명과 건설을 수행하며 수령의 사상과 명령, 지시에 따라 전당, 전민이 하나와 같이 움직이는 체제” 로서 이 체제의 정점은 수령이다.
둘째, 동원화되고 군사화된 사회체계를 자시의 강력한 재생산 기반으로 삼고 있다. 이러한 동원화, 군사화를 가능케 하는 것은 양군대전(兩軍對戰)적 도식이다. 모든 문제를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자주성과 종속성, 현실주의와 반현실주의, 집단과 개인 등 양대개념 간의 사활을 건 싸움으로 간주하는 사회문화적 양식의 유포는 전체사회에 부대의식을 일상화시키고 사회를 동원화 시키며 나아가 병영사회주의체제로 몰고 가게 된다.
(2) 김정일의 주체사상
-혁명의 주체는 수령, 당, 대중의 통일체
-인민대중은 당의 영도 밑에 수령을 중심으로 조직사상적으로 결속되어야함
-개별적 인간들의 육체는 유한하나 사회정치적 생명체는 영원 개별적 인간의 생명은 사회정치적 생명체에 결속되어야만 영원할 수 있음
-수령은 사회정치적 생명체의 최고 지도자이며 뇌수
-수령과 대중을 연결시키는 모든 사회 정치적 조직은 당이
영도함
-이러한 조직을 떠나서는 영생하는 사회정치적 생명체의
일원이 되지 못함
-인민대중은 혁명의 주인이지만 당의 영도없이 자기의 위력을
발휘할 수 없음
-당의 영도를 떠날 때 인민은 개인주의적이 되고 실용주의를
시도함
-수령을 중심으로 당은 인민을 지도
-수령, 당, 대중이 의리와 동지애로 단결, 하나의 영원한 사회정치적 생명체를 이룸
(3) 새로운 헌법과 정치 체제
1998년의 새로운 헌법은 내용적으로는 “김정일 헌법”이며 김일성 헌법과 다른 점이 많은데 이는 정부조직에서 현저하게 나타남.
-북한을 대표하는 최고 권력자가 국가주석이 아니라 국방위원회 위원장임
-김정일 정부에서는 국가주석제를 폐지
-국방위원장의 직책은 \"나라의 정치, 군사, 경제의 역량
총체를 통솔 지휘하는 국가의 최고 직책\"이 됨
-국가를 대표하는 권한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에게 주어짐
-상임위원회 위원들은 노동당 대표가 아닌 각 민간단체의
단체장으로 구성
-내각의 격하 및 정치적 역할 약화
-행정 조직 축소: 예컨대 부총리 10명→2명,
41개 부·위원회→28개 성·위원회·원
-새로운 내각은 정치적 권력자라기보다 행정 관료가 중심
(4) 데이터 표
김일성
김정일
칭호
주석
국방위원장

노동당 규약
사회주의 헌법
세대
1시대(혁명)
2세대(혁명 후)
통치체제
1인독재 체제
과두제
  • 가격4,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12.10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50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