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선정배경
2. ‘정열맨’ 소개
3. 주요 캐릭터 분석 및 특징
4. 스토리텔링 분석
2. ‘정열맨’ 소개
3. 주요 캐릭터 분석 및 특징
4. 스토리텔링 분석
본문내용
임월삼
남의 농담에 웃어 줄 수 있는 따뜻한 마음씨를 가진 ‘홍석진’이다.
뒤끝이 있는 것 같지만 ‘임월삼’과 같은 뛰어난 두뇌를 가진 친구를 둔 행복한 남자들이다.
‘홍석진’과 ‘임월삼’은 우정이 두터운 지혜로운 캐릭터라고 볼 수 있다.
[출처] 네이버 인기 웹툰 야심작 ‘정열맨’ 캐릭터 분석
(http://blog.naver.com/dino________?Redirect=Log&logNo=20055161544)
4. 스토리텔링 분석
1. 일본 개그만화와 유사.
1) 일본만화 ‘괴짜가족’과 유사한 다소 엽기적인 모습의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2) 현실과 괴리가 있는 행동과 언행으로 인해 웃음을 자아낸다.
2. 다양한 언어, 단어의 사용.
1) ‘ㅋㅋㅋ’, ‘죄죄ㅎ’ 등의 단어를 사용하여 웃음의 포인트를 제시해 준다.
2) ‘두둥‘, ‘깽창‘, ‘주르륵‘ 등과 같이 다양한 음성 상징어를 사용함으로써 듣지 못하여도 그 상황에 대한 상상을 가능케 해준다.
3) ‘ㅆㅂ’, ‘또라이’ 등 은어와 비속어를 사용해서 다소 불편함을 줄 수 있지만, 일상생활 대화의 솔직함을 엿볼 수 있다.
3. 비현실적인 그림묘사.
1) 웹툰의 장르에 맞게 코믹한 그림을 묘사하여 재미를 더욱 높여준다.
2) 캐릭터들의 성격과 특징과 적합한 인물묘사를 잘 표현하였지만, 그것을 더욱 극대화하 여 묘사함으로써 그림만 봐도 캐릭터의 성격과 특징을 상상할 수 있다.
4. 아마추어리즘의 전면화.
1) 그림의 완성도가 떨어지면서 전문성의 부족함을 느낄 수 있다.
2) 현실과 괴리가 있는 스토리 전개로 인해 이해와 공감을 확보하지 못한다.
5. 구분되어 지는 캐릭터간의 구조 및 관계.
1) 봉황신공, 백호신공, 청룡신공 ,해태신공 ,강철권법 등 각 캐릭터들 간의 연마하는 무술 이 다르기 때문에 그런 상황에서 서로의 무술의 우월성을 인정받기 위한 갈등과 오해가 발생한다.
2) ‘착함’과 ‘나쁨‘ ,’올바름’과 ‘그름’ 을 캐릭터들에게 부여함으로, 캐릭터들 간의 성격이 명확히 드러나 있다. 또한 그런 캐릭터를 접하면서 자신의 모습과 비추어 보면서 옳고, 그름을 판단해 보는 재미까지 포함하고 있다.
6. 전체적으로 ‘엽기’ 와 ‘폭력성‘의 조화로운 소재 사용.
1) 실생활에서 느끼지 못한, 상상 속에서만 할 수 있는 행동과 모습을 ‘엽기’적인 모습과 행동으로 표현하여 대리만족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2) 폭력적인 모습을 코믹하게 보여주며 사람을 때릴 때와 맞을 때의 행동과 표정을 통하여 희열과 웃음을 자아내며,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괴짜가족’과 같이 ‘폭력’을 소재로 해 서 성공을 거둔 대표적인 웹툰이다.
7. 캐릭터의 상품화, 책 연재.
1) 특이한 캐릭터와 개성 있는 그림으로 ‘정열맨’은 독자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음과 동시 에 마니아층을 보유하면서 티셔츠, 가방, 책의 제작을 통한 애독자들의 유지와 홍보 및 새로운 독자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8. 연속적인 이야기 전개.
1) 복잡한 캐릭터들 간의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 캐릭터의 과거와 현재의 성장모습을 담고 있으며, 각각 무술의 특징과 기능이 다르게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처음부터 보지 못한 독자는 웹툰의 전체적인 내용을 이해하기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고, 코믹 웹툰의 특성만을 보고, ‘정열맨’을 가볍게 접하려는 독자들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반면, 다른 시각으로 본다면 연속적인 이야기를 전개함으로써 일회적인 즉, 가벼운 웃 음만을 주는 것이 아닌, 이야기 속에서 보여주는 캐릭터의 모습으로 성격의 구조화를 갖추고 있으며, 갈등과 오해, 복수, 해결의 단계를 거치는 상황을 위한 연속적인 이야기 전개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남의 농담에 웃어 줄 수 있는 따뜻한 마음씨를 가진 ‘홍석진’이다.
뒤끝이 있는 것 같지만 ‘임월삼’과 같은 뛰어난 두뇌를 가진 친구를 둔 행복한 남자들이다.
‘홍석진’과 ‘임월삼’은 우정이 두터운 지혜로운 캐릭터라고 볼 수 있다.
[출처] 네이버 인기 웹툰 야심작 ‘정열맨’ 캐릭터 분석
(http://blog.naver.com/dino________?Redirect=Log&logNo=20055161544)
4. 스토리텔링 분석
1. 일본 개그만화와 유사.
1) 일본만화 ‘괴짜가족’과 유사한 다소 엽기적인 모습의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2) 현실과 괴리가 있는 행동과 언행으로 인해 웃음을 자아낸다.
2. 다양한 언어, 단어의 사용.
1) ‘ㅋㅋㅋ’, ‘죄죄ㅎ’ 등의 단어를 사용하여 웃음의 포인트를 제시해 준다.
2) ‘두둥‘, ‘깽창‘, ‘주르륵‘ 등과 같이 다양한 음성 상징어를 사용함으로써 듣지 못하여도 그 상황에 대한 상상을 가능케 해준다.
3) ‘ㅆㅂ’, ‘또라이’ 등 은어와 비속어를 사용해서 다소 불편함을 줄 수 있지만, 일상생활 대화의 솔직함을 엿볼 수 있다.
3. 비현실적인 그림묘사.
1) 웹툰의 장르에 맞게 코믹한 그림을 묘사하여 재미를 더욱 높여준다.
2) 캐릭터들의 성격과 특징과 적합한 인물묘사를 잘 표현하였지만, 그것을 더욱 극대화하 여 묘사함으로써 그림만 봐도 캐릭터의 성격과 특징을 상상할 수 있다.
4. 아마추어리즘의 전면화.
1) 그림의 완성도가 떨어지면서 전문성의 부족함을 느낄 수 있다.
2) 현실과 괴리가 있는 스토리 전개로 인해 이해와 공감을 확보하지 못한다.
5. 구분되어 지는 캐릭터간의 구조 및 관계.
1) 봉황신공, 백호신공, 청룡신공 ,해태신공 ,강철권법 등 각 캐릭터들 간의 연마하는 무술 이 다르기 때문에 그런 상황에서 서로의 무술의 우월성을 인정받기 위한 갈등과 오해가 발생한다.
2) ‘착함’과 ‘나쁨‘ ,’올바름’과 ‘그름’ 을 캐릭터들에게 부여함으로, 캐릭터들 간의 성격이 명확히 드러나 있다. 또한 그런 캐릭터를 접하면서 자신의 모습과 비추어 보면서 옳고, 그름을 판단해 보는 재미까지 포함하고 있다.
6. 전체적으로 ‘엽기’ 와 ‘폭력성‘의 조화로운 소재 사용.
1) 실생활에서 느끼지 못한, 상상 속에서만 할 수 있는 행동과 모습을 ‘엽기’적인 모습과 행동으로 표현하여 대리만족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2) 폭력적인 모습을 코믹하게 보여주며 사람을 때릴 때와 맞을 때의 행동과 표정을 통하여 희열과 웃음을 자아내며,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괴짜가족’과 같이 ‘폭력’을 소재로 해 서 성공을 거둔 대표적인 웹툰이다.
7. 캐릭터의 상품화, 책 연재.
1) 특이한 캐릭터와 개성 있는 그림으로 ‘정열맨’은 독자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음과 동시 에 마니아층을 보유하면서 티셔츠, 가방, 책의 제작을 통한 애독자들의 유지와 홍보 및 새로운 독자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8. 연속적인 이야기 전개.
1) 복잡한 캐릭터들 간의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 캐릭터의 과거와 현재의 성장모습을 담고 있으며, 각각 무술의 특징과 기능이 다르게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처음부터 보지 못한 독자는 웹툰의 전체적인 내용을 이해하기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고, 코믹 웹툰의 특성만을 보고, ‘정열맨’을 가볍게 접하려는 독자들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반면, 다른 시각으로 본다면 연속적인 이야기를 전개함으로써 일회적인 즉, 가벼운 웃 음만을 주는 것이 아닌, 이야기 속에서 보여주는 캐릭터의 모습으로 성격의 구조화를 갖추고 있으며, 갈등과 오해, 복수, 해결의 단계를 거치는 상황을 위한 연속적인 이야기 전개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추천자료
드라마 커피프린스1호점 스토리텔링 전략 분석
스토리텔링의 이해 (무한도전, 1박2일, 패밀리가 떴다의 스토리텔링 전략 비교 분석)
300, 올드보이, 데스노트의 스토리텔링 전략과 구조의 비교 및 분석
[스토리텔링 마케팅]스토리텔링 마케팅 전략의 개념, 방법, 구성요소, 활용 방안, 유형별 스...
스토리텔링경영전략
Principle of MARKETING -‘Story Telling(스토리텔링)’과 ‘Marketing(마케팅)분석도구’를 활...
실용적 자기표현과 스토리텔링, 자기표현의 의미, 과정, 효과, 인터뷰의 특징, 의의, 유형, ...
LVMH 경영전략 마케팅 성공전략 LOUIS VITTON 루이비통 공격적인 M&A 디자이너지원 스토...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전략 - 영화, 'P.S 아이 러브 유 (P.S. I Love You)' 시간/공간화 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