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의료관광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내의료관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의료관광이란 ?
 - 의료관광의 개념
 - 우리나라 의료관광의 비전
 - 의료관광의 현황

ⅱ국내 의료관광 사례
 - 안동병원 헬스투어
 - 우리들병원
 - 청심국제병원
 - 부산ABC 성형외과
 - 인하대학교병원
 - 기타 의료관광 사례

ⅲ. 의료관광 자원분석
 - 한국 의료 관광의 종류
 - 의료관광의 특성
 - 의료관광이 뜨는 이유
 - 의료관광의 접근성
 - 한국 의료관광의 우수성

ⅳ. 국내 의료 관광의 SWOT분석

ⅴ. 국내 의료관광의 문제점과 방안

ⅵ. 결론

본문내용

데 부담감을 가지고 있다. 한국 의료기관은 의료사고 예방을 위한 매뉴얼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의료사고 발생 시 분쟁조정 및 보상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또한, 국내 의료기관들은 높은 보험료로 인하여 의료사고에 대비한 보험가입을 미루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 중인 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가적 의료사고 예방체계가 하루빨리 마련되어야 한다. 해외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이에 따른 의료사고를 철저히 대비해야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현재 국내로 입국하는 외국인 환자는 아직까지는 큰 위험도를 수반하는 중증의 환자 수는 많지 않지만 본격적으로 의료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면 지금보다 훨씬 다양한 의료행위가 이뤄지게 될 것 이라며 이에 따른 의료사고 발생 가능성이나 분쟁해결에 들어가는 비용 또한 급격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경우 의료사고 예방을 위해 3개의 보고시스템(의무적 외부기관 보고체계, 자발적 외부기관 보고체계, 의무적 내부기관 보고체계)을 마련해 운영 중이며, 만일 의료사고가 발생하면 그에 대한 신고나 보고가 일정한 절차에 따라 정확하게 관련기관에 전달된다. 이는 통계로 집계가 되고 적절한 조치가 취해진다는 것인데, 국내에서는 병원이나 의료진 측면에서 대외적인 신뢰도 문제로 공개를 꺼리고 숨기기에 급급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부산의 한 성형외과에서 2009년 9월 환자 2명이 일주일 간격으로 숨지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의료사고는 국제 이미지 실추와 직접적으로 연관되고 또한 해외환자 유치에 큰 장애요인이 되기 때문에 정부차원에서 해외환자의 의료사고 및 분쟁 관련 사전. 사후 대응방안에 관한 정책을 마련하여 국제적으로 한국의료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 정부 부처 간 조화와 통일 부재
싱가포르 의료관광 사업에는 싱가포르관광청과 싱가포르메디신(Singapore Medicine)이라는 조직이 든든하게 뒷받침해 주고 있다. ‘싱가포르 메디신’은 세계 각국에 싱가포르의 선진화된 의료 체계와 서비스를 알리는 복합 에이전시로 경제 개발국에 대해서는 의료분야에 대한 신규 투자 촉진과 의료 산업 확대, 해외에 대한 의료 마케팅 및 해외채널 구축을 지원하고 있고 무역개발국에 대해서는 싱가포르 의료관련 종사자들의 해외진출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싱가포르 관광청은 2004년 조직제 개편 시 ’건강관리(Health Care)\'를 하나의 부서로 신설하는 한편 16개국 23개소로 운영되는 현 해외 지사를 활용해 해외 마케팅에 나서고 있어 더욱 눈길을 끌고 있다. 이처럼 싱가포르가 의료관광에 있어서 성공적인 국가가 된 배경에는 정부와 각부처간의 조직적인 조화와 통일로 인하여, 각각의 부서에서 의료관광에 필요한 지원을 해 주고 있으며, 또한 의료관광을 위해 만들어진 조직이기 때문에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정책을 내놓는 데 시간을 많이 허비하지 않는 데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현재 국내 의료관광을 담당하는 정부 부처로는 보건복지가족부, 문화체육관광부, 관광공사, 지자체 등이 있지만, 이들 간에 통일되고 일련 된 정책은 부재한 실정이다. 특히 보건복지가족부는 의료관광을 Global Health Care로 명명하여 주로 병원의 국제관광마케팅에 힘을 기울이고 있고, 문화체육관광부는 Medical Tourism 의 개념으로 관광의 측면을 강조하고 있어 상호간에 견제하는 문제점들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가 2018년 헬스케어서비스 선도국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살펴본 싱가포르의 우수한 선진 사례를 국내의 환경에 맞게 벤치마킹 하여 의료관광의 선진국이 될 수 있도록 정부와 각 부처들로 이루어진 의료관광의 활성화를 추진하는 통일된 기관을 만들어야 할 것이며, 이에 따른 정책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할 수 있겠다.
ⅵ. 결론
의료관광산업은 고부가 가치 산업일 뿐 아니라 상당한 시장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해외의 싱가포르나 태국과 인도 등 많은 해외국가들은 의료관광정책을 통해서 많은 이익을 창출 해 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의 핵심 산업으로 관광과 연계하여 발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조금은 늦은 감이 없지 않아 있지만 18대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Health Care산업을 채택하는 등 뒤늦게 의료관광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의료관광이 추진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방침이지만 아직은 개선해야할 부분들이 많이 존재하고 있다. 외국의 환자들과 국내 의료진과의 contact을 담당하는 의료담당 코디네이터를 양성하고 있지만 너무 전문적이지 않다는 한계점과 의료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우리나라 국민들에게 주어지는 보험의 혜택과는 달리 아무런 대응책이 없다는 점, 그리고 각 정부단체에서 의료관광정책을 추진하고는 있지만 강력한 중앙집권적이지 않다는 점 등은 여전히 개선해 나가야 할 문제들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잘 다듬고 관광과 의료가 어우러진다면 분명 우리나라의 의료관광도 세계시장에서 그 점유율을 점차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관광적 측면에서 한국관광공사를 주축으로 하여 중심으로 해외 여러 국가에 홍보하고 있을 뿐 아니라 각 나라마다 다르게 시장접근을 하여 의료관광의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완벽한 것은 없다. 국가차원의 정책을 뼈대로 삼아 여러 가지 보완해야할 점을 극복하고 국가와 업계가 어우러져서 협력한다면 분명 우리나라도 세계시장에서 의료관광을 선도하는 날이 올 것이다.
출 처
의료관광, 매력과 문제점은? / 한국의료관광협회
의료관광의 우수성 /메디모아헬스케어
의료관광 마케팅 / 유명희 / 한올출판사
국내의료기관의 해외환자유치 현황 및 의료관광상품 개발에 대한 인식도 조사 = A Survey on attraction of foreign patients and development strategy of medical tourism for medical institution of Korea / 서수연 / 학위논문 [인제대학교 : 보건관리학과 2009. 8]
한국의 의료관광 성공하려면 / 조선일보, 2006 / 조구현
  • 가격13,86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2.12.15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65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