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부정맥이란
1) SA node
․ 동성 서맥 (Sinus bradycardia)
․ 동성 빈맥(Sinus tachycadia)
․ 동성 부정맥 (Sinus arrythmia)
․ SA 전도장애(SA block)
2) 심방
․ 조기 심방 수축 (Premature atrial contraction)
․ 발작성 심방성 빈맥 (Paroxysmal atrial tachycardia)
․ 심방조동(Atrial flutter)
․ 심방세동(Atrial fivrillation)
3) 심실
- 흥분성
․ 자동능(automaticity)장애 : Junctional rhythms
․ 전도장애 :AV block
․ 조기심실수축 (Premature ventricular cintraction)
․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 심실성 빈맥(Ventricular tachycardia)
- 전도성
․ Bundle Branch Block
1) SA node
․ 동성 서맥 (Sinus bradycardia)
․ 동성 빈맥(Sinus tachycadia)
․ 동성 부정맥 (Sinus arrythmia)
․ SA 전도장애(SA block)
2) 심방
․ 조기 심방 수축 (Premature atrial contraction)
․ 발작성 심방성 빈맥 (Paroxysmal atrial tachycardia)
․ 심방조동(Atrial flutter)
․ 심방세동(Atrial fivrillation)
3) 심실
- 흥분성
․ 자동능(automaticity)장애 : Junctional rhythms
․ 전도장애 :AV block
․ 조기심실수축 (Premature ventricular cintraction)
․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 심실성 빈맥(Ventricular tachycardia)
- 전도성
․ Bundle Branch Block
본문내용
- QRS군 대부분 정상모양, 2번째 PR간격 가장 길어짐, 이후 PR간격 증가는 적어져 RR 간격은 첫 번째가 가장 김
- 심방의 흥분이 간혹 심실에 전달되지 않는다.
- 주로 일시적이고 서맥으로 인한 증상이 없으면 치료가 필요없다.
Mobitz 2 - P파와 PR간격은 일정하다, P파 뒤에 QRS군이 동반되지 않는 경우
- 주로 His-Perkinje system 차단에 기인하고, 완전 방실 차단으로 이행할 가능성이 있다.
- 예후는 비교적 나쁘며 돌연심장사 위험이 높다.
- 일시적 or 영구적 인공심박동기 이식이 필요하다.
- 관련질환 :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류마티스 심잘질환, 심근증 등
◎ 3도 방실 차단 (Third degree AV block)
모든 심방의 자극이 차단되어(완전방실차단) 심방과 심실이 따로 수축한다.
PP interval과 RR interval은 각각 일전하게 유지되며, P waves의수가 QRS complexes 수보다 많다.
전기자극이 심실로 전혀 전달이 되지 않는다.
관련질병 : 전도계의 섬유성, 퇴행성 변화 - 심근경색, 선천성 기형, 심장수술
치료 - epinephrine, isoproterenol 을 IV한다.
- 영구 인공심박동기를 삽입한다.
Stokes - Adams attack
- 심실이 자극을 만들지 않을 때 => 뇌혈류량이 감소 => 즉시 무의식, 사망
Ⅳ 심실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 AV junction이하에서 생기는 장애로 심방이나 AV junction의 장애보다 심각하다.
- 직접적인 심박출 장애가 발생한다.
- His속 좌우각으로 갈라진 이하부위에서 발생되는 부정맥으로 심실내 자동능 증가나 심실내 회귀로 발생한다.
- 혈역학적 영향 : 심박동수, 부정맥 발작기간, 심방기능의 소실, 계동적 심실수축의 소실 등
- 정상인에서 혈역학적 영향이 없을수 있으나 같은 부정맥이 심실기능 저하 환자에서 발생할때 심박출량 매우 감소시키며 실신, 돌연심장사를 일으킨다.
(1) 조기심실수축 (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PVC)
① 특징
SA node에서 자극이 생기기 전에 심실의 자극 발생
ECG : P파 없고, QRS군이 넓고 이상한 모양으로 분포하고, T파의 방향이 QRS와 반대이다.
- 이단백: PVC가 정상리듬과 교대로 나타난다.
- 삼단맥: PVC가 매 세 번째 박동(정상리듬 2개 다음에 조기수축 1개)에 나타난다.
- couplet: 이단맥, 삼단맥이 같이 나타남.
② 치료
심실 조기 수축의 coupling interval이 일정하면서 단일 형태이고 연달아 나오지 않을 때에는 우선 양성으로 간주 -> 운동 중에 심박동 수가 증가하면 부정맥은 대부분 소실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이 있거나 심실 박동이 여러 형태를 보이거나 연달아 나오는 경우에는 심실 빈맥이나 세동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심근 진정효과가 있는 약물을 사용한다
- Lidocaine 정맥주입
- 심실세동 방지
③ 위험한 PVC
1분에 5회이상의 PVC가 있는 경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
3개 이상 연이어 발생하는 경우 = 심실세동을 예고한다.
PSVT
PSVT는 비정상적인 전도가 심방에 보내지게 되면서 심실 상단부에서 빠른 심장박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발작적으로 빠른 박동이 임의적으로 일어나다가 사라지게 되는데 이러한 비정상적인 전도가 심방이나 방실결절 근처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 EKG -
- P파는 뚜렷하지 않고 박동수는 150-220회/분으로 시작과 종료가 급격하다. P파를 발견하기 어렵다
- Wide QRS complex
- 발생기전은 자동능의 증가(심방빈맥)와 회귀(나머지 모두)이나 대부분의 PSVT는 회귀에 의함
① PSVT 일반적인 증상
->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은 증상이 예기치 않게 갑자기 발생하고 멈출 때도 갑자기 멈추는 것이 특징으로 발작은 몇 초에서 몇 시간까지 지속될 수 있는데, 빠른 속도의 박동을 느끼며 호흡곤란이나 가슴통증, 어지럼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PSVT의 치료
-> 비약물치료
< 미주신경 흥분수기 >
: 우리 몸의 부교감 신경이 활성화 되므로 맥박을 떨어드리는데 도움이 됨.
경동맥동마사지
Valsalva manuever
얼음물에 얼굴 담그기
기침유발
최토반사
위장관튜브삽입
안구압박
항문자극
트렌델렌버그 자세
다만 비약물적인방법은 응급방법으로 증상 발현
초기에 즉시 실행하여야 하며, 시간이 지나면 교감신경계통의 영향으로 인해서 잘 반응
-> 약물치료
투여순서
약물
투여량
1순위
Adenosin(6mg/2ml)
AV nodal reentry pathway를 방해하여 방실결절을 통한 전지전도를 낮추며, 방실결정을 통한 재유입을 차단합니다.
반감기가 10초이내로 짧다.
WPW syndrone을 포함하여 PSVT의 정상적인 동율동으로 신속한 전환,심전도로 진단되지 않는 복합성 상실심성 빈맥을 진단 할 수 있다.
6-12-12mg
2순위
좌심실박출률≥40%
Verapamil(5mg/2cc)
첫용량:2.5-5mg
두 번째:5-10mg
좌심실박출률<40%
Amiodaron(150mg/3cc)
150mg(10분간)
Diltiasem
첫용량:15-20mg
두번째:20-25mg
3순위
좌심실박출률≥40%
propranolol
0.25-1.0mg
좌심실박출률<40%
디곡신
-심근수축력 증가, 심박출량 증가(CHF)
-심실 박동수 감소,심근효능 증가(A-fib)
-방실결절 불응기 연장, 심실 박동수 감소, 심방조동시에 사용하면 심방세동으로 전환되어 심실박동조절을 쉽게 함.
0.25-0.5mg
설명
-Adenocor ( Adenocin. 6mg/2cc) 심장검사 없이 사용가능한 약물로 무제한 사용할 수 있음
방법 1 => 1Amp를 direct로 직접 shooting 후 NS 10cc를 곧이어 준다
2 => 2Amp를 direct로 직접 shooting 후 NS 10cc를 곧이어 준다
3 => 3Amp를 direct로 직접 shooting 후 NS 10cc를 곧이어 준다
※ 3회 까지 사용 후 효과 없으면 이
- 심방의 흥분이 간혹 심실에 전달되지 않는다.
- 주로 일시적이고 서맥으로 인한 증상이 없으면 치료가 필요없다.
Mobitz 2 - P파와 PR간격은 일정하다, P파 뒤에 QRS군이 동반되지 않는 경우
- 주로 His-Perkinje system 차단에 기인하고, 완전 방실 차단으로 이행할 가능성이 있다.
- 예후는 비교적 나쁘며 돌연심장사 위험이 높다.
- 일시적 or 영구적 인공심박동기 이식이 필요하다.
- 관련질환 :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류마티스 심잘질환, 심근증 등
◎ 3도 방실 차단 (Third degree AV block)
모든 심방의 자극이 차단되어(완전방실차단) 심방과 심실이 따로 수축한다.
PP interval과 RR interval은 각각 일전하게 유지되며, P waves의수가 QRS complexes 수보다 많다.
전기자극이 심실로 전혀 전달이 되지 않는다.
관련질병 : 전도계의 섬유성, 퇴행성 변화 - 심근경색, 선천성 기형, 심장수술
치료 - epinephrine, isoproterenol 을 IV한다.
- 영구 인공심박동기를 삽입한다.
Stokes - Adams attack
- 심실이 자극을 만들지 않을 때 => 뇌혈류량이 감소 => 즉시 무의식, 사망
Ⅳ 심실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 AV junction이하에서 생기는 장애로 심방이나 AV junction의 장애보다 심각하다.
- 직접적인 심박출 장애가 발생한다.
- His속 좌우각으로 갈라진 이하부위에서 발생되는 부정맥으로 심실내 자동능 증가나 심실내 회귀로 발생한다.
- 혈역학적 영향 : 심박동수, 부정맥 발작기간, 심방기능의 소실, 계동적 심실수축의 소실 등
- 정상인에서 혈역학적 영향이 없을수 있으나 같은 부정맥이 심실기능 저하 환자에서 발생할때 심박출량 매우 감소시키며 실신, 돌연심장사를 일으킨다.
(1) 조기심실수축 (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PVC)
① 특징
SA node에서 자극이 생기기 전에 심실의 자극 발생
ECG : P파 없고, QRS군이 넓고 이상한 모양으로 분포하고, T파의 방향이 QRS와 반대이다.
- 이단백: PVC가 정상리듬과 교대로 나타난다.
- 삼단맥: PVC가 매 세 번째 박동(정상리듬 2개 다음에 조기수축 1개)에 나타난다.
- couplet: 이단맥, 삼단맥이 같이 나타남.
② 치료
심실 조기 수축의 coupling interval이 일정하면서 단일 형태이고 연달아 나오지 않을 때에는 우선 양성으로 간주 -> 운동 중에 심박동 수가 증가하면 부정맥은 대부분 소실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이 있거나 심실 박동이 여러 형태를 보이거나 연달아 나오는 경우에는 심실 빈맥이나 세동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심근 진정효과가 있는 약물을 사용한다
- Lidocaine 정맥주입
- 심실세동 방지
③ 위험한 PVC
1분에 5회이상의 PVC가 있는 경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
3개 이상 연이어 발생하는 경우 = 심실세동을 예고한다.
PSVT
PSVT는 비정상적인 전도가 심방에 보내지게 되면서 심실 상단부에서 빠른 심장박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발작적으로 빠른 박동이 임의적으로 일어나다가 사라지게 되는데 이러한 비정상적인 전도가 심방이나 방실결절 근처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 EKG -
- P파는 뚜렷하지 않고 박동수는 150-220회/분으로 시작과 종료가 급격하다. P파를 발견하기 어렵다
- Wide QRS complex
- 발생기전은 자동능의 증가(심방빈맥)와 회귀(나머지 모두)이나 대부분의 PSVT는 회귀에 의함
① PSVT 일반적인 증상
->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은 증상이 예기치 않게 갑자기 발생하고 멈출 때도 갑자기 멈추는 것이 특징으로 발작은 몇 초에서 몇 시간까지 지속될 수 있는데, 빠른 속도의 박동을 느끼며 호흡곤란이나 가슴통증, 어지럼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PSVT의 치료
-> 비약물치료
< 미주신경 흥분수기 >
: 우리 몸의 부교감 신경이 활성화 되므로 맥박을 떨어드리는데 도움이 됨.
경동맥동마사지
Valsalva manuever
얼음물에 얼굴 담그기
기침유발
최토반사
위장관튜브삽입
안구압박
항문자극
트렌델렌버그 자세
다만 비약물적인방법은 응급방법으로 증상 발현
초기에 즉시 실행하여야 하며, 시간이 지나면 교감신경계통의 영향으로 인해서 잘 반응
-> 약물치료
투여순서
약물
투여량
1순위
Adenosin(6mg/2ml)
AV nodal reentry pathway를 방해하여 방실결절을 통한 전지전도를 낮추며, 방실결정을 통한 재유입을 차단합니다.
반감기가 10초이내로 짧다.
WPW syndrone을 포함하여 PSVT의 정상적인 동율동으로 신속한 전환,심전도로 진단되지 않는 복합성 상실심성 빈맥을 진단 할 수 있다.
6-12-12mg
2순위
좌심실박출률≥40%
Verapamil(5mg/2cc)
첫용량:2.5-5mg
두 번째:5-10mg
좌심실박출률<40%
Amiodaron(150mg/3cc)
150mg(10분간)
Diltiasem
첫용량:15-20mg
두번째:20-25mg
3순위
좌심실박출률≥40%
propranolol
0.25-1.0mg
좌심실박출률<40%
디곡신
-심근수축력 증가, 심박출량 증가(CHF)
-심실 박동수 감소,심근효능 증가(A-fib)
-방실결절 불응기 연장, 심실 박동수 감소, 심방조동시에 사용하면 심방세동으로 전환되어 심실박동조절을 쉽게 함.
0.25-0.5mg
설명
-Adenocor ( Adenocin. 6mg/2cc) 심장검사 없이 사용가능한 약물로 무제한 사용할 수 있음
방법 1 => 1Amp를 direct로 직접 shooting 후 NS 10cc를 곧이어 준다
2 => 2Amp를 direct로 직접 shooting 후 NS 10cc를 곧이어 준다
3 => 3Amp를 direct로 직접 shooting 후 NS 10cc를 곧이어 준다
※ 3회 까지 사용 후 효과 없으면 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