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1. 서론
1) 책을 고른 동기
2) 책이 나오게 된 배경
3) 책이 문제 삼는 내용
4) 책이 제기하는 핵심 주장
2. 본론
1) 책의 구성
2) 책의 내용
3) 저자의 입장 분석, 평가
3. 결론
1)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책이 지닌 의의와 한계
2) 앞으로의 전망
1. 서론
1) 책을 고른 동기
2) 책이 나오게 된 배경
3) 책이 문제 삼는 내용
4) 책이 제기하는 핵심 주장
2. 본론
1) 책의 구성
2) 책의 내용
3) 저자의 입장 분석, 평가
3. 결론
1)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책이 지닌 의의와 한계
2) 앞으로의 전망
본문내용
는 계속 쇠퇴 했다는 전제를 깔고 서술되기 때문에 그 이후의 시대는 비중이 높지 않아 보인다.
또한 이 책은 수많은 사료를 통해 명대의 일상을 상행위를 중심으로 샅샅이 훑어 서술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사료에 비해 이를 시각적으로 보완해 줄 만한 그림 자료는 많이 부족하다. 중국 역사를 공부한 사람이라면 책이 쉽게 읽히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책을 읽다가 모르는 개념이 나오면 책을 읽다말고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으로 일일이 찾아봐야 하는 번거로움에 책읽기를 포기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다음, 비록 저자가 사료에 바탕을 둔 명대의 상업과 문화에 대해 서술하였다 하더라도, 이는 외국인의 입장으로 쓰여 졌다는 것이다. 저자는 캐나다 사람으로 중국에 수 년 동안 유학하였지만, 중국 본토의 사람과는 본질적으로 문화도 다르고 사상도 다른 나라에서 성장했다는 점이다. 자국의 과거는 자국의 사람이 그 나라의 정서에 맞게 평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책을 읽으면서 아쉬웠던 점은 명나라와 조선과의 교역내용은 서술되어 있지 않았다는 점이다.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과거 중국과 우리나라와의 관계에 대한 호기심도 있어 이 책을 선택하였지만 조선과 명의 교역내용은 나오지 않아 아쉬웠다. 명 후기에 일본, 포르투갈, 그리고 스페인과의 교역내용은 나오지만 우리나라와의 교역내용이 나오지 않았다는 것은 사대관계 때문에 교역에 포함되지 않았거나, 저자가 캐나다 사람이었기 때문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이 책의 단점을 알아보았다. 하지만 이 책은 단점뿐만 아니라 장점도 많이 갖추고 있다. 먼저, 역사를 서술함에 있어서 단순히 사건을
또한 이 책은 수많은 사료를 통해 명대의 일상을 상행위를 중심으로 샅샅이 훑어 서술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사료에 비해 이를 시각적으로 보완해 줄 만한 그림 자료는 많이 부족하다. 중국 역사를 공부한 사람이라면 책이 쉽게 읽히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책을 읽다가 모르는 개념이 나오면 책을 읽다말고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으로 일일이 찾아봐야 하는 번거로움에 책읽기를 포기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다음, 비록 저자가 사료에 바탕을 둔 명대의 상업과 문화에 대해 서술하였다 하더라도, 이는 외국인의 입장으로 쓰여 졌다는 것이다. 저자는 캐나다 사람으로 중국에 수 년 동안 유학하였지만, 중국 본토의 사람과는 본질적으로 문화도 다르고 사상도 다른 나라에서 성장했다는 점이다. 자국의 과거는 자국의 사람이 그 나라의 정서에 맞게 평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책을 읽으면서 아쉬웠던 점은 명나라와 조선과의 교역내용은 서술되어 있지 않았다는 점이다.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과거 중국과 우리나라와의 관계에 대한 호기심도 있어 이 책을 선택하였지만 조선과 명의 교역내용은 나오지 않아 아쉬웠다. 명 후기에 일본, 포르투갈, 그리고 스페인과의 교역내용은 나오지만 우리나라와의 교역내용이 나오지 않았다는 것은 사대관계 때문에 교역에 포함되지 않았거나, 저자가 캐나다 사람이었기 때문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이 책의 단점을 알아보았다. 하지만 이 책은 단점뿐만 아니라 장점도 많이 갖추고 있다. 먼저, 역사를 서술함에 있어서 단순히 사건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