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베네(caffebene)의 마케팅 분석과 과제 및 개선책 (환경 분석, SWOT, STP, 4P)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카페베네(caffebene)의 마케팅 분석과 과제 및 개선책 (환경 분석, SWOT, STP, 4P)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Introduction
 (1) 개요
 (2) 이념
 (3) 연혁

2. 환경 분석
 (1) 외부 환경 분석
 (2) 내부 환경 분석

3. SWOT 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STP 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5. 4P 분석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6. 과제 및 개선책
 (1) 당면 과제
 (2) 향후 개선책

7. Conclusion

본문내용

, 더 큰 위협이 되고 있다.
4. STP 분석
(1) Segmentation
1) 지리적 변수
- 커피를 많이 소비하는 젊은 고객층 공략(젊은 유동 인구 많은 지역, 백화점, 쇼핑몰, 대학가, 유흥가)
- 직장인들 공략(대도시 주요 상권, 오피스텔 밀집 지역, 회사 근처)
- 문화생활 즐기는 사람 공략(극장 주변, 서점 주변)
2) 인구 통계학적 변수
- 커피를 자주 마시는 20, 30대의 연령층
- 커피전문점의 주요 고객층인 여성
3) 사회 심리적 변수
- 삶의 여유를 추구하는 소비자
- 안락하고 편안한 분위기의 매장을 원하는 소비자,
- 편안한 공간에서 공부를 하고 싶어 하는 대학생
- 식사를 한 후에 커피를 소비하는 고객
4) 구매 행동적 변수
- 카페베네 브랜드에 가치를 많이 두는 소비자들
- 연예인을 좋아하는 소비자들
- 커피를 자주 찾는 소비자들
- 식사대용 브런치를 원하는 소비자들
- 세트 메뉴를 원하는 소비자들
(2) Targeting
1) 20대 젊은 여성층
커피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20대의 젊은 여성들을 집중적으로 공략하기위해 매장을 젊은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에 위치시킨다. Ex) 대학가 주변, 백화점, 쇼핑몰
2) 직장인
직장인들의 커피수요가 현저하게 큰 것을 잘 파악해 대도시의 주요상권, 회사근처, 오피스텔 밀집지역에 시장을 둔다.
3) 문화생활의 중심지
커피가 어느 장소에서 가장 많이 소비가 되는지 통계를 내서 문화생활의 중심지를 공략한다. 극장주변. 서점내부 등 소비자들의 2차적 소비가 이뤄질만한 곳에 시장을 내세운다.
4) 차별화된 서비스를 원하는 소비자
자사의 브랜드에 충성도가 높고 커피를 자주 애용하는 고객들을 표적시장에 포함한다. 다른 커피전문점들이 보여주지 못한 브런치 메뉴를 활성화시켜서 식사대용의 브런치를 원하는 소비자들을 공략하고, 또한 여러 세트메뉴를 다양하게 활성화해 다양한 조합을 원하는 소비자들 고려하여 메뉴를 구성한다.
(3) Positioning
1) 경쟁사 대비 경쟁적 강점 파악
- 안락한 분위기의 인테리어, 다양한 메뉴, 문화적 가치를 지향하는 이미지
2) 적절한 경쟁우위의 선택
① 전통 유럽풍 카페 분위기
- 안락하고 편안한 분위기의 카페, 유럽풍 카페로 도시 속 휴식의 여유를 제공함으로써 현대인들의 새로운 삶의 활력소가 되는 카페
② 차별화된 메뉴
- 지속적인 신메뉴 개발,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수용하고 만족시켜주는 커피전문점
3) 선택한 포지션의 전달
- 광고, 각종이벤트
5. 4P 분석
(1) Product
1) 카페베네 로스팅 플랜트(Roasting Plant)
카페베네 로스팅은 가장 맛있는 커피를 만들기 위해 산지에서 최상급 생두를 직수입한다. 각 나라별 고유의 특징을 가진 생두를 카페베네 만의 데이터 프로파일을 통하여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맛을 제공한다. 커피의 맛은 원두의 신선도와 직결되기 때문에 카페베네는 가장 맛있는 커피를 만들기 위하여 직접 로스팅(배전)을 한다. 일반적으로 커피는 로스팅 직후부터 산화되기 시작하므로 국외에서 배전된 원두를 들여오는 해외 브랜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카페베네 만의 신선한 커피의 맛과 향을 소비자들에게 제공한다. 카페베네 중곡동 로스팅 공장은 연간 720t의 원두를 생산할 수 있으며, 위생적인 자동화 시스템을 통하여 최상의 커피를 생산하고 있다. 카페베네가 고집하는 로스팅이란 가장 맛있는 커피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카페베네는 기존의 ‘선 블랜딩 후 로스팅’의 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한 ‘선 로스팅 후 블랜딩’의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각각의 원두를 로스팅 한 후 블랜딩하는 방법으로 원두 고유의 풍미를 최대한 살릴 수 있다. 기존 커피업체에서는 5∼6종의 각기 다른 원두를 한꺼번에 볶는 ‘선 블랜딩 후 로스팅’의 방법을 사용해 각각 특성을 가진 생두의 강점을 살려내지 못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하지만 카페베네가 채택한 ‘선 로스팅 후 블랜딩’은 생산지가 다른 생두를 개별 로스팅하기 때문에 생두 고유의 특징을 최대한 살릴 수 있어 소비자들에게 질 높은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카페베네는 최대한 신선한 커피를 만들기 위하여 이 로스팅 공장을 서울 도심에 설치했다.
2) 카페베네의 원두
① 브라질 세하도
브라질은 세계 커피 생산량의 3분의 1을 생산하는 커피 대국이다. 브라질은 다른 나라와는 다르게 커피의 대부분을 광활한 평지에서 재배한다. 커피 생산의 초점이 품질보다는 생산량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경작이 쉬운 로부스터나 저급 아라비카가 대부분이다. 때문에 많은 브라질 커피가 블랜딩으로 사용되는데, 브라질에도 고급 커피가 존재한다. 브라질의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커피는 다른 유명 산지의 커피 못지않은 훌륭한 맛과 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넓은 브라질의 미세한 기후 변화는 다양한 특색 있는 커피들을 만들어 낸다. 카페베네의 브라질 커피는 비교적 적은 신맛과 달콤 쌉쌀한 느낌, 견과류 향과 초콜릿 향 블루베리 향 등을 가지고 있어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커피다.
② 케냐 커피
케냐는 커피 생산국들 중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나라이다. 케냐의 고산지대와 풍부한 수자원은 커피 재배에 이상적인 조건이다. 무엇보다 국가가 직접 관리하여 커피의 품질을 보증하는 것이 케냐 커피의 가장 큰 경쟁력이다. 케냐의 노력으로 AA는 커피의 품질을 보증하는 신뢰할 수 있는 상징이 되었고 케냐는 자체 경매 시스템으로 다른 나라보다 월등히 높은 가격으로 커피를 판매한다. 이러한 케냐 커피는 상큼한 신맛과 단맛을 가지고 있다.
③ 콜롬비아 수프리모
콜롬비아라는 이름보다 수프리모로 더 잘 알려진 커피 생산국이다. 브라질에 이어 전 세계 아라비카 생산량 2위를 자랑하는 나라로 콜롬비아 수프리모는 오래 전부터 마일드 아라비카로 명성이 높았다. 그 명성에 걸맞는 콜롬비아는 100% 수세식 처리, 균일한 크기, 핸드픽으로 우수하고 균일한 품질의 커피를 생산한다. 콜롬비아 커피는 풍부한 바디 감과 복숭아 같은 단맛, 바닐라 향이 특징이며, 최상의 밸런스를 갖춘 커피이다.
④ 공정무역 유기농 에디오피아 싱글오리진
커피 농가에 정당한 생산대가를 주기 위한 공정무역의 기본 취지와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2.12.31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77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