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감상문] 마이 페어 레이디 (My Fair Lady)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감상문] 마이 페어 레이디 (My Fair La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영화 My fair lady 감상평

* My fair lady 소개 (1964)

1. 기본정보
2. 감독
3. 주연배우
' My fair lady '는 브로드웨이에서 7년동안 롱런한 뮤지컬을 영화화한 것으로
* My fair lady 내용에 대하여 정리 ...
* My fair lady 감상평 (어떻게 배워가는지, 언어학적 접근, 영어공부방법 제시)
전체적인 감상평

본문내용

영국은 지역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제 각각 영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제대로 단일어로서의 영어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현실을 좋지 않게 보며, 이 모든것은 결국엔 영어를 모욕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라이자에게 올바른 영어를 구사한다면 지금과 같이 길거리에서 남에게
천대 받으며 꽃을 팔지 않아도 되고 오히려 꽃 매장 점원으로서 일할 수 있는 등, 신분상승까지 할 수 있다고 영어의 역할을 일깨우고 있습니다.
저는 이점에 대해 올바른 영어를 구사하는 것이 무엇이고 영어의 역할이 과연
신분상승의 효과를 이루는지 의문점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먼저 앞서 영국에서의 영어의 현실에 대한 기본적인 배경을 조사하였습니다.
영국의 표준말로 되어 있는 남부 영국말은 본래 영국의 남부에서 쓰이는 지역
방언에 지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하지만 정치 ,경제, 문화 등 다방의 측면에서 수도인 런던의 상류 지방 계층에서
쓰이는 말로 발전함에 따라, 이제는 런던뿐만이 아니라 영국 안의 어느 곳에서
든지 상류층이나 또는 일반적으로 지배 계급의 말씨로 두루 쓰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비록 런던에 사는 사람일지라도 지식층이나 상류층이나 지배 계급에
속하지 않는 사람의 말은 너저분한 지방 사투리이기가 일쑤인데 그 가운데에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런던 본토박이의 하류층 사투리인 코크니입니다.
극중 일라이저가 바로 이 코크니 출신입니다.
따라서 히긴스 교수는 하류계층의 출신인 일라이저를 상류 귀족 사교계에 진출
시키기 위해서는 하류계층의 언어적 습관을 상류계층이 두루쓰는 표준어로
고쳐 쓸 수 있게 하는것이 선행조건 이였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것은 ‘발음’의 교정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처럼 영국에서는 우리의 방언 ‘사투리’를 대하는 것과 다르게 올바른 영어를
구사하는 것이 출세의 길의 기본 조건이자, 상류의 동질감, 사람의 품위/품격을
느끼게 해주는 하나의 과정이 아닌가 싶습니다.
실제 현대가 되고 많이 없어지긴 하였지만, 영국에는 아직도 지방 사투리를
쓰는것이 출세의 걸림돌이 되기 때문에 런던 시내 중심에는 영국인이 올바른
영어를 배우기 위해 많은 돈을 지불하는 것도 마다하지 않게 지방의 사투리를
교정하기 위해 몰려드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다시 돌아와서 얘기하면,
저도 잘 모르던 사실이였는데, 영화를 떠나 현실에서도 자국어인 영어를 올바르게
구사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고, 그것이 아주 중요한 일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올바른 영어의 역할은 이처럼 사람의 성격/품위 혹은 살아온 배경까지 가늠할 수
있을 정도로 중요하고 그 사람의 미래를 바꿀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걸 보면
그 중요성에 대해 좀더 느끼게 되었습니다.
하물며 영화속에 등장한 히긴스 교수의 옛 제자의 모습만 보더라도 히긴스의
도움을 받아 올바른 영어를 구사할 수 있게 되어 단순히 외국 학생에서
지금은 외교 통역을 담당하는 것을 보면 그 역할의 중요성은 충분히 엿볼 수
있었고 영어를 배울 때 올바른 방법으로 배우는것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비록 영화가 고전작품이고 지금 시대와는 많이 달라 이질감이 느껴질 수도 있지만, 이러한 영국 사회의 배경 때문에 영화가 시작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영화속에서 일라이저는 히긴스 교수과의 첫만남에서 구사하는 언어로서 천대받아 스스로 비참하였을 것이고 자존심 또한 뭉개졌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자신도 분명히 꿈이 있고 상류계층의 사람들처럼 우아한 말투로
귀족적인 숙녀가 되고 싶어 했지만 그럴 수 없었기 더욱 침울했을 것입니다.
영화 속 일라이저의 억양이나 발음은 평소에 듣던 영어와는 상당히 다릅니다.
예를들어 ‘스페인’을 ‘스파인’, ‘레인’을 ‘라인’으로 발음하는 등의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우리말의 사투리를 교정하듯 발음의 교정이 단연 선행조건 일 것입니다.
일라이저를 가르치기 결심하고 히긴스는 전체적으로 그녀를 대상으로 일명
‘스파르타식 교육’ 을 감행하게 됩니다.
말 그대로 매우 혹독하게 될 때까지 해보는 조금은 잔인하기까지 한 방법입니다.
작은 방에 갇혀 (A E I O U) 영어의 모음 발음을 시켜 원통형 녹음기에 녹음시켜가며 고쳐질 때 까지 반복적으로 교정을 시작하게 됩니다.
일라이저는 모음을 구어체적인 성격이 강하게 발음하는 면도 있지만, 모음을 아예
다르게 발음하는 경우가 종종 보이고 있습니다.
이를테면 일라이저는 A를 ‘에이’라고 발음하지 못하고 ‘아이’라고 발음하고 있는데
그것은 영어에서 기본이 되는 모음을 제대로 하지 않고서는 그 이상의 진도를
나갈 수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래서, 히긴스교수는 “The rain in Spain stays mainly in the plane”
(스페인의 비는 주로 평원에서 내린다.)
이 문장으로 “A”의 발음을 연습시킨 것일 것입니다.
그것을 잘 알지 못하는 일라이저는 불만이였고 꼭 성공해서 복수하겠다고 마음먹게
되는데 그의 진심을 알고부터 더욱 연습에 매진해 교정하는데 성공하게 됩니다.
사실 무자비하고 혹독하기만 하다 생각한 히긴스 교육에는 구체적인 교육의 방법 예시들이 있다고 합니다.
예를테면, 실로폰으로 강세를 가르치는 점, 촛불을 켜놓고 /h/ 발음을 교육하는 것등,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학생을 빠른 시간에 발음을 습득할 수도 있고, 몸에 벨 수 있게 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 My fair lady \'에서는 이러한 교육을 통해 언어를 교정하는데 성공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하지만 지방 사투리를 교정하는 같은 영국인이 아닌 한국인으로서 저 또한 저런식으로 공부하는것이 옳은건지 의문이 나기 시작했습니다.
현대사회에서 영어공부는 분명 필수입니다.
물론 기본적으로 전제되는 이유중 하나가 선진화된 국가에서 영어를 쓰고 있고
그 추세에 맞춰 글로벌 언어로서 영어를 써야하는 것에는 틀림없는 사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영어공부는 필수라고 생각하고 스스로도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깊이 있지 못하고 비록 성적이라는 그 조건을 충족시킬 목적으로 공부해왔습니다.
하지만 영어공부는 어려운것 같습니다.
흔히 우리말과 어순이 발성법이 달라, 혹은 한국인의 선천적으로 영어발음을
잘 할수 없는 구강구조를 지
  • 가격2,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1.01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77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