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수정기법 유형과 적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행동수정기법 유형과 적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소거(Extinction) : 행동 감소시키기
★ 문제행동 소거 시 유의점
★ 소거의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자발적 회복=

2. 벌(Punishment)
★ 형태
★ 벌의 부작용
★ 벌의 올바른 적용
★ 벌에 대한 생각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 요소를 미리 제거한다. 예를 들면, 주의산만한 아이를 지도할 경우에는 주위의 지저분한 물건이나 그림을 모두 치운 후 칸막이가 있는 책상을 사용하여 주의 집중을 돕는다.
④ 벌을 줄 때는 벌의 강도를 강한 것으로 시작한다. 벌을 받아도 그만 안 받아도 그만인 정도의 벌은 벌로서의 가치를 잃어버리기 때문에 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⑤ 일단 처벌의 대상이 되는 행동을 벌할 때는 그 행동이 일어난 직후, 그리고 일어날 때마다 벌한다. 이것을 지킬 자신이 없을 때는 차라리 처벌을 시작하지 말아야 한다. 즉 일관성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⑥ 처벌하는 사람의 개인적인 감정이 들어가서는 안 된다. 그렇게 되면 잘못된 행동으로 인해 처벌을 받는다는 생각보다는 처벌하는 사람에 대한 적대적 감정이 생기게 된다.
⑦ 처벌받는 행동 이외의 다른 좋은 행동에 대해서는 집중적으로 보상을 준다. 예를 들면, 동생과 싸우는 것을 벌 할 때는 싸우는 행동 이외에 동생과 얘기하는 것, 텔레비전 보는 것, 동생을 도와주는 것, 심부름하는 것, 얌전히 같이 밥 먹는 것 등에 대해서 칭찬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 벌에 대한 생각
교사는 학생들의 바람직한 행동을 유지시키고 그렇지 않은 행동을 교정하기 위해 매일 강화와 벌을 사용하는데 과연 이런 강화와 벌이 얼마나 효과적일까? 벌은 실제로 그 행동을 잠시 억압만 하고, 지속적인 효과를 갖고 있지 않으며, 벌보다는 정적강화가 주어졌을 때 잘못된 행동이 더 많이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효과가 기대만큼 크지 않은 벌을 고집하지 말고 벌 대신 경고를 하며, 불가피 하게 벌을 사용해야 한다면 교사는 개인감정을 버리고, 충분한 설명과 함께 벌을 적용해야 한다. 이외에 잘못된 행동을 완전히 소거하는 방법은 앞에서 말한 것처럼 ‘무시하기’이다. 즉,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는 무시하고 바른 행동을 했을 때만 관심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정적강화는 항상 효과적일까? 앞에서 말한 Premack의 원리처럼 모든 학생에게 다 효과적인 강화물이란 없다. 교사는 학생에 대해 지속적 관심과 관찰을 하여 그들이 좋아하는 것도 알고 있어야 하고, 또 이것을 효과적으로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전문 지식과 기술을 익혀야 한다.
벌을 좋게 생각하든 나쁘게 생각하든 아동 주변에 산재한 모든 벌을 제거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아동 주변에서 벌을 없앨 것이냐 보다는 어떻게 벌을 통해 올바르게 생활하는 법을 배우게 하느냐 하는 것이 관심사가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생들과 친밀한 유대를 맺기 위해 벌보다는 정적강화를 더 잘 활용하는 교사가 되려는 노력이 있어야겠다.
참고문헌
심리학개론 정미경, 문은식 외 3명 저 양서원
심리학개론 (마음을 이해하는 원리) 임창재 저 동문사
심리학개론 (신용일 외4인) 신용일 저 동문사
교육심리학개론 김상인 저 한국전인교육개발원
사회심리학 개론 고영복 저 사회문화연구소
기독교 상담심리학 개론 폴 마이어 저 한재희 외 5명 역 | 기독교문서선교회 |
심리학개론 학습지침서 홍대식 저 양영각
  • 가격2,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1.09
  • 저작시기201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83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