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생물학실험] (결과) 혈구 관찰과 혈액형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주대-생물학실험] (결과) 혈구 관찰과 혈액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이론
 혈액
 혈액의 구성성분 및 기능
3. 실험준비물
 1)소모성 재료
 2)기기
4. 실험방법
 1)혈구관찰
 2)적혈구의 계수
 3)혈액형 조사
5. 실험결과
 1)혈구 관찰
 2)적혈구의 계수
 3)혈액형 조사
6. 고찰

본문내용

방치해뒀다. 메탄올의 역할은 백혈구가 살아있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백혈구를 잘 관찰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과정이라 볼 수 있다. 메탄올로 고정을 끝내면 또 건조시킨후 Giemsa solution을 한 방울 떨어뜨리는데 이것 역시 백혈구를 위한 과정으로 백혈구를 염색시켜 좀 더 선명한 관찰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과정이다. 그 다음 증류수로 세척한 후 관찰을 시작하면 된다. 여기서 증류수로 세척하는 것에 큰 의미를 두지 않았는데 조사를 해본 결과 증류수로 세척을 하게 되면 세포의 삼투압이 외부보다 높아져 물이 세포내로 들어가 용혈현상이 일어나고 결국 세포가 파괴돼 관찰이 힘들다고 한다. 생리식염수로 세척한 경우엔 삼투압을 맞춰준 등장액이기 때문에 상관이 없지만 증류수로 세척했을 경우엔 빠르게 관찰을 해주어야 한다. 현미경을 통해 혈구를 관찰해보면 사슬처럼 이어진 적혈구를 볼 수 있고(배율이 낮아서인지 적혈구 특유의 모양은 관찰할 수 없었다.) 파란 빛을 띠는 백혈구가 군데군데 있는 것 또한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백혈구는 핵이 있어 염색이 된 것이고 적혈구는 핵이 없어 염색이 되지 않았다고 결론이 내려질 수 있다. 두 번째 실험은 첫 번째 실험과 마찬가지로 혈액을 채취하고 PBS 45
와 피 5 총 50를 첫 번째 시험관에 담그고 섞은 후 다시 5를 채취하는 방식으로 총 3번을 거쳐 희석을 했다. 아마도 적혈구의 수가 많으면 세는 것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취한 방식이 아닐까 싶다. 그렇게 한 후 혈액을 혈구계수기에 투여 후 적혈구의 수를 센 뒤
실험결과에 나온 방식으로 적혈구의 밀도를 계산할 수 있다. 마지막 실험은 자신의 혈액형을 알아보는 실험이었는데 슬라이드글라스에 항혈청 A, B, D를 떨어뜨리고 그 위로 자신의 혈액형을 한방울 떨어뜨린 뒤 3개의 이쑤시개로 각각 잘 혼합해주는 것이다. 이 혈액형 판정의 원리는 적혈구에 있는 응집원과 혈청에 있는 응집소가 만나서 응집반응이 일어나는가 일어나지 않는가로 혈액형을 구별하는 것이다. 즉, 항혈청 A와 응집이 일어난다면 그 혈액은 응집원 A를 갖고 있다는 이야기가 되며, 표현형으로 AA나 AB, AO의 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 항혈청 B의 경우도 마찬가지고, 항혈청 D의 경우 응집이 일어날 경우 Rh+ 일어나지 않을 경우 Rh-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이미지
「일반 생물학 실험」「남석현, 민철기」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1.13
  • 저작시기201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86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