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근골격계
1. 뼈
1) 구조
2) 기능
2. 골격근
1) 구조
2) 기능
3. 관절
(1) 구조
(2) 기능
4. 지지구조
1) 연골
2) 건
3) 인대
4) 근막
5) 활액낭
(5) 노화로 인한 변화
1. 뼈
1) 구조
2) 기능
2. 골격근
1) 구조
2) 기능
3. 관절
(1) 구조
(2) 기능
4. 지지구조
1) 연골
2) 건
3) 인대
4) 근막
5) 활액낭
(5) 노화로 인한 변화
본문내용
골반)
- 가동관절 :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관절 (팔꿈치와 무릎), 질병이나 손상에 영향을 제일 많은 받음
(2) 기능
- 뼈와 연결되어 다양하게 움직임
- 근육, 인대, 건과 관절의 움직임은 신체 부위를 안정시키고 활동시킴
- 관절의 움직임은 민첩하고 숙련된 활동을 가능하게 함
* 가동 또는 활액 관절 : 관절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
* 활액 관절 : 마찰을 감소시키고 충격을 흡수하는 활액을 분비하는 활막
* 가동 관절 : 활액강이 있어 활액관절이라고도 함
* 활액강 : 강한 탄력섬유조직인 관절낭으로 둘러싸여 있고, 관절뼈의 골막에 단단히 부착되어 탈구를 방지함
* 관절강의 내면 : 활액을 분비하는 활액막과 연결
* 활막 : 관절낭 안쪽 부분에 위치
/ 정상적으로 연골이 해면골 말단부위에 퍼져 있지 않음
* 관절 연골 : 복잡한 물질을 함유한 콜라겐 기질로 구성
* 관절염 : 혈액의 염증과 연골이 파손되는 형태
* 활액낭 : 작은 주머니, 관절과 뼈의 돌기 등에 위치, 뼈와 인접한 구조사이의 마찰을 예방
4. 지지구조
1) 연골
- 늑연골은 흉골에서 늑골로 연결
- 초자연골은 코의 중격, 인두와 기관에 있는 연골
- 외이와 후두개는 노랑연골
2) 건
- 결합조직으로 골막에 근육을 부착
- 근육이 수축하면서 건을 잡아당기고, 건은 부착된 뼈를 잡아당겨서 움직임
- 섬유성 초의 연장으로 각 근육을 싸고 골막에 연속
- 건초는 특히 손목과 발목의 건을 둘러싼 관 모양의 결체조직 구조
- 건초에는 건의 운동을 용이하게 해주는 활액과 활액막이 있음
3) 인대
- 섬유성 결합조직
- 뼈를 서로 연결
ex) 슬관절은 관절낭 내에서 전,후 십자인대에 의해 경골과 대퇴골을 연결하여 고정, 관절낭 바깥에서는 중간과 외측의 측부인대에 의해 고정
- 인대는 안정을 취할 때 신장되는 능력을 지님
4) 근막
- 피부의 바로 아래에 있는 느슨한 결체 조직의 표재근막과 근육신경 및 혈관의 초를 형성하는 치밀한 심부근막으로 구성
5) 활액낭
- 서로 스치며 움직이는 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액체가 가득찬 낭
- 피부와 뼈, 근육과 뼈, 건과 뼈, 인대와 뼈, 그리고 근육사이에 있음
- 움직일 때 생기는 마찰을 감소시키는 완충작용을 함
- 결체조직을 광범위하게 보면, 뼈, 연골, 혈액과 림프처럼 기질 내의 세포로 만들어진 모든 조직을 포함
- 질병에서 언급할 때는 보다 제한된 의미로 사용하며 건, 인대, 근막, 피부의 심층을 포함해 신체를 연결하고 덮는 조직을 의미
- 근육과 골격구조를 서로 연결하는데 필수적
(5) 노화로 인한 변화
- 노화가 될수록 뼈의 밀도 감소 ⇒ 자세의 변형이 오며 골절되기 쉬움
- 골 형성과 골 파괴율 간의 균형 방해 ⇒ 골 실질의 감소
- 40세 이후 골 형성률은 일정하나 파괴율 증가
- 골 손실의 진행은 하버시안관의 수를 측정함으로 알수 있음
- 노화에 의해 조골세포의 수명은 저하되고 파골세포의 수명은 길어짐으로써 골다공증이 급속히 진행
◈ 대체 요법
- estrogen, SERMS, 선택적 estrogen수용체 조절기(예:Roloxifen) 사용
⇒ 변화가 느려지고 골다공증과 그 결과인 골절이나 낙상 줄음
- 관절 질환 : 노인에게서 가장 흔하며 불능에 이르기까지 함
- 기능저하와 함께 통증으로 활동 제한 ⇒ 그로 인해 자신을 돌보는 능력이 저하 ⇒ 독립성 상실 ⇒ 순환계 같은 다른 부분의 능력도 함께 저하시킴
- 노화에 따라 연골의 강도가 가장 빨리 저하되고, 근육, 뼈 그리고 최종적으로 건의 순서로 강도가 저하
- 전반적으로 근골격계의 변화는 신경계 기능의 저하와 함께 노인의 조정능력을 떨어뜨리고 걸음의 변화를 초래 ⇒ 낙상 등 외상 위험 증가시킴
- 가동관절 :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관절 (팔꿈치와 무릎), 질병이나 손상에 영향을 제일 많은 받음
(2) 기능
- 뼈와 연결되어 다양하게 움직임
- 근육, 인대, 건과 관절의 움직임은 신체 부위를 안정시키고 활동시킴
- 관절의 움직임은 민첩하고 숙련된 활동을 가능하게 함
* 가동 또는 활액 관절 : 관절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
* 활액 관절 : 마찰을 감소시키고 충격을 흡수하는 활액을 분비하는 활막
* 가동 관절 : 활액강이 있어 활액관절이라고도 함
* 활액강 : 강한 탄력섬유조직인 관절낭으로 둘러싸여 있고, 관절뼈의 골막에 단단히 부착되어 탈구를 방지함
* 관절강의 내면 : 활액을 분비하는 활액막과 연결
* 활막 : 관절낭 안쪽 부분에 위치
/ 정상적으로 연골이 해면골 말단부위에 퍼져 있지 않음
* 관절 연골 : 복잡한 물질을 함유한 콜라겐 기질로 구성
* 관절염 : 혈액의 염증과 연골이 파손되는 형태
* 활액낭 : 작은 주머니, 관절과 뼈의 돌기 등에 위치, 뼈와 인접한 구조사이의 마찰을 예방
4. 지지구조
1) 연골
- 늑연골은 흉골에서 늑골로 연결
- 초자연골은 코의 중격, 인두와 기관에 있는 연골
- 외이와 후두개는 노랑연골
2) 건
- 결합조직으로 골막에 근육을 부착
- 근육이 수축하면서 건을 잡아당기고, 건은 부착된 뼈를 잡아당겨서 움직임
- 섬유성 초의 연장으로 각 근육을 싸고 골막에 연속
- 건초는 특히 손목과 발목의 건을 둘러싼 관 모양의 결체조직 구조
- 건초에는 건의 운동을 용이하게 해주는 활액과 활액막이 있음
3) 인대
- 섬유성 결합조직
- 뼈를 서로 연결
ex) 슬관절은 관절낭 내에서 전,후 십자인대에 의해 경골과 대퇴골을 연결하여 고정, 관절낭 바깥에서는 중간과 외측의 측부인대에 의해 고정
- 인대는 안정을 취할 때 신장되는 능력을 지님
4) 근막
- 피부의 바로 아래에 있는 느슨한 결체 조직의 표재근막과 근육신경 및 혈관의 초를 형성하는 치밀한 심부근막으로 구성
5) 활액낭
- 서로 스치며 움직이는 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액체가 가득찬 낭
- 피부와 뼈, 근육과 뼈, 건과 뼈, 인대와 뼈, 그리고 근육사이에 있음
- 움직일 때 생기는 마찰을 감소시키는 완충작용을 함
- 결체조직을 광범위하게 보면, 뼈, 연골, 혈액과 림프처럼 기질 내의 세포로 만들어진 모든 조직을 포함
- 질병에서 언급할 때는 보다 제한된 의미로 사용하며 건, 인대, 근막, 피부의 심층을 포함해 신체를 연결하고 덮는 조직을 의미
- 근육과 골격구조를 서로 연결하는데 필수적
(5) 노화로 인한 변화
- 노화가 될수록 뼈의 밀도 감소 ⇒ 자세의 변형이 오며 골절되기 쉬움
- 골 형성과 골 파괴율 간의 균형 방해 ⇒ 골 실질의 감소
- 40세 이후 골 형성률은 일정하나 파괴율 증가
- 골 손실의 진행은 하버시안관의 수를 측정함으로 알수 있음
- 노화에 의해 조골세포의 수명은 저하되고 파골세포의 수명은 길어짐으로써 골다공증이 급속히 진행
◈ 대체 요법
- estrogen, SERMS, 선택적 estrogen수용체 조절기(예:Roloxifen) 사용
⇒ 변화가 느려지고 골다공증과 그 결과인 골절이나 낙상 줄음
- 관절 질환 : 노인에게서 가장 흔하며 불능에 이르기까지 함
- 기능저하와 함께 통증으로 활동 제한 ⇒ 그로 인해 자신을 돌보는 능력이 저하 ⇒ 독립성 상실 ⇒ 순환계 같은 다른 부분의 능력도 함께 저하시킴
- 노화에 따라 연골의 강도가 가장 빨리 저하되고, 근육, 뼈 그리고 최종적으로 건의 순서로 강도가 저하
- 전반적으로 근골격계의 변화는 신경계 기능의 저하와 함께 노인의 조정능력을 떨어뜨리고 걸음의 변화를 초래 ⇒ 낙상 등 외상 위험 증가시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