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소개
1. 연원, 법적 근거
2. 운영 법인체 및 법인 종류
3. 기관의 사업
4. 조직
Ⅲ. 마케팅 현황
1. 기관 홍보 활동
2. 기관 모금활동
Ⅳ. 문제점과 개선방안
1. 기관 홍보 활동 측면
2. 기관 모금 활동 측면
3. 자원 활용 측면
Ⅴ. 맺음말
Ⅱ.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소개
1. 연원, 법적 근거
2. 운영 법인체 및 법인 종류
3. 기관의 사업
4. 조직
Ⅲ. 마케팅 현황
1. 기관 홍보 활동
2. 기관 모금활동
Ⅳ. 문제점과 개선방안
1. 기관 홍보 활동 측면
2. 기관 모금 활동 측면
3. 자원 활용 측면
Ⅴ. 맺음말
본문내용
데도 이러한 사항에 대해서 알고 있는 국민들은 많지 않다. 다소 무거울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이러한 조직의 특수성에 대한 홍보도 많이 이루어져야 좀 더 확고한 정당성 위에서 공동 모금 사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2. 기관 모금 활동 측면
한 설문 조사에 의하면 개인 기부의 경우 기부 경험은 80%에 육박하는 수준이나 대부분이 소액, 비정기 기부자에 그치고 있고, 비슷한 비율의 사람들이 향후에 기부할 목적이 있다고 답하였으나, 경제적 여유부족, 기부금사용의 불투명성, 정확한 지원여부에 대한 신뢰부족 등으로 나눔을 실천하지 못하고 있다고 하였다고 한다. 전흥윤, 전게서
즉, 백방으로 노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액, 정기 기부가 부족하다는 점, 기관에 대한 신뢰 부족 등이 문제임을 알 수 있다. 전자에 대해서는 다양한 모금 캠페인과 마케팅이 일시적으로는 많은 기부자를 참여시킬 수 있으나, 산발적이고 즉흥적인 감정에 호소하는 면이 많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겠다. 따라서 현재도 도입하고 있는 ‘착한 가게 캠페인’, ‘한사랑 나눔 캠페인’ 등의 정기적 기부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아너 소사이어티’와 같은 고액기부 촉진 수단을 집중화,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 후자에 관해서는 기관 홍보 활동 측면에서 논한 것과 비슷한 논의가 가능하다. 또한 최근의 문근영씨 사건과 같은 앞뒤가 맞지 않는 홍보는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녀의 배경이나 출신 등은 부차적인 문제이다. 과거에 이미 당사자가 많은 기부를 했다가 기사를 수차례 났음에도 불구하고 최근에 다시 익명의 기부자가 그녀였다고 밝히는 등의 부주의함은 신뢰를 잃게 할 수 있다. 기업 기부의 경우, 그 금액이 개인의 그것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정도가 많다는 것이 약점이 될 수가 있는데, 지정기탁제도와 사후용도지정 등이 악용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물론 그 비율의 상한이 50%로 정해져 있다고 하지만 고액의 기부를 하는 기업들의 요구에서 자유롭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고액 기부 대기업을 과도하게 미화시키는 등의 태도를 보인다면 오히려 중소기업의 기부는 묻힐 수 있고, 잠재적인 기업 기부를 놓칠 수 있다. 물론 기업의 장기적인 이윤 극대화의 목적을 부정할 수는 없겠지만, 경쟁적인 임원 중심의 고액 기업 기부가 기업 전체의 이미지 광고 전쟁의 장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은 상기해야 할 것이다.
3. 자원 활용 측면
무릇 홍보/마케팅에는 인적, 물적 자원이 필요한 법이다. 홍보/마케팅을 포함하여 전체 모금액 중에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사용 가능한 지출은 법률에 의해 10%로 한정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모금액이 확실히 어느 정도 될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과감한 마케팅 전략을 수행하기에는 위험 부담이 크기 때문에 인적, 물적 투자는 위축될 수밖에 없다. 다행히 모금액의 상승을 보이고는 있지만 이에 안주해서는 안될 것이다. 모금, 배분 및 홍보 관련 인터넷 프로그램 및 인프라 기반 구축을 통해 중앙 및 지회 간, 공동모금회와 각종 기관 간의 효과적인 정보 공유 및 활용이 필수적이다. 또한 홍보/마케팅 뿐만 아니라 제 분야에서 좀 더 능력 있고, 많은 인원이 필요하다. 자원봉사자나 아르바이트가 있다고 해도 정직원이 60여명에 지나지 않는 상황에서는 직원들의 사기나 건강 측면에서 문제가 있고, 결국 조직의 목표 달성 정도에도 영향을 끼치게 된다. 즉, 비용을 억제하려는 생각을 탈피해야 한다. 비용은 억제하면서 목표 달성 정도는 매년 높게 잡는 것은 바람직한 생각이라고 할 수 없다. 이러한 퇴행적 효율성보다는, 비용을 더 들이더라도 그 이상 가는 성과를 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홍보/마케팅 전문가를 적극 채용하고 직원들의 복리·후생에도 신경을 쓰는 한편, 각종 시스템과 인프라 구축에도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한다. 물론 이를 힘들게 하는 경직적인 법률 규정, 그리고 자신의 기부가 전액 배분되기를 원하는 국민들의 감정은 극복해야할 문제이다. 장기적인 시각에서 지속적인 사회적인 합의를 통해 해결해 나갈 수 있기를 바라본다.
Ⅴ. 맺음말
지금까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대한 소개와, 마케팅 현황, 그리고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았다. 본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학창 시절 적은 돈이나마 내고 교복 깃에 자랑스럽게 달았던 사랑의 열매가 어떤 것인지 아직도 잘 모르고 있었던 자신에 대해서 우습기도 하고 부끄럽기도 했다. 이제라도 어느 정도 알게 되었다는 사실에 감사하고, 얼마 전까지의 나처럼 사랑의 열매가 뭐하는 건지도, 어디에 쓰이는 지도 모르면서 이웃과 나눈다는 마음으로 아끼지 않고 기부하는 많은 사람들을 생각하면 가슴이 따뜻해지는 것을 느낀다. 어쩌면 사랑의 열매가 그래도 가장 믿음직스럽고, 기대가 크기 때문에 걱정도 많고 질책도 많은지도 모르겠다. 그만큼 공동모금회 스스로 10년간의 민간 기부 문화를 어느 정도 정착 시켰다는 점에 안주하지 말고 국민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 냉철한 두뇌, 뜨거운 가슴(cood head, warm heart)이라는 말은 진정한 나눔의 실천을 위해서 때로는 냉철하게 잘잘못을 따져봐야 한다는 말이기도 하다. 공동모금회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내부적인 운영·관리와 투명하고 공정한 공동모금으로 국민의 신뢰를 얻어야 함은 물론, 이를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것도 그들 자신의 몫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변화하지 않는 조직은 살아남지 못한다. 법률로 설립된 공익 목적의 사회복지법인이라고 해서 예외일 수 없다. 빠르게 변화하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환경에 발빠르게 대처하여 이에 맞는 전략적 마케팅으로 나날이 늘어나는 모금액, 그리고 공정하고 투명한 배분을 자신있게 보여주는 것이야말로 온 국민의 나눔으로 모아진 정성을 결실로 맺어낼 만한 자격을 부여 받은 있는 기관이 보여줘야 할 모습이 아닐까.
참고문헌
2007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연간보고서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현황과 과제(홍보팀 배부 자료)
전흥윤, ‘한국의 나눔문화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부정보가이드, 2004
최성재 외, 사회복지행정론, 나남출판, 2008
희망 2008 나눔캠페인 브로슈어
2. 기관 모금 활동 측면
한 설문 조사에 의하면 개인 기부의 경우 기부 경험은 80%에 육박하는 수준이나 대부분이 소액, 비정기 기부자에 그치고 있고, 비슷한 비율의 사람들이 향후에 기부할 목적이 있다고 답하였으나, 경제적 여유부족, 기부금사용의 불투명성, 정확한 지원여부에 대한 신뢰부족 등으로 나눔을 실천하지 못하고 있다고 하였다고 한다. 전흥윤, 전게서
즉, 백방으로 노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액, 정기 기부가 부족하다는 점, 기관에 대한 신뢰 부족 등이 문제임을 알 수 있다. 전자에 대해서는 다양한 모금 캠페인과 마케팅이 일시적으로는 많은 기부자를 참여시킬 수 있으나, 산발적이고 즉흥적인 감정에 호소하는 면이 많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겠다. 따라서 현재도 도입하고 있는 ‘착한 가게 캠페인’, ‘한사랑 나눔 캠페인’ 등의 정기적 기부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아너 소사이어티’와 같은 고액기부 촉진 수단을 집중화,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 후자에 관해서는 기관 홍보 활동 측면에서 논한 것과 비슷한 논의가 가능하다. 또한 최근의 문근영씨 사건과 같은 앞뒤가 맞지 않는 홍보는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녀의 배경이나 출신 등은 부차적인 문제이다. 과거에 이미 당사자가 많은 기부를 했다가 기사를 수차례 났음에도 불구하고 최근에 다시 익명의 기부자가 그녀였다고 밝히는 등의 부주의함은 신뢰를 잃게 할 수 있다. 기업 기부의 경우, 그 금액이 개인의 그것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정도가 많다는 것이 약점이 될 수가 있는데, 지정기탁제도와 사후용도지정 등이 악용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물론 그 비율의 상한이 50%로 정해져 있다고 하지만 고액의 기부를 하는 기업들의 요구에서 자유롭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고액 기부 대기업을 과도하게 미화시키는 등의 태도를 보인다면 오히려 중소기업의 기부는 묻힐 수 있고, 잠재적인 기업 기부를 놓칠 수 있다. 물론 기업의 장기적인 이윤 극대화의 목적을 부정할 수는 없겠지만, 경쟁적인 임원 중심의 고액 기업 기부가 기업 전체의 이미지 광고 전쟁의 장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은 상기해야 할 것이다.
3. 자원 활용 측면
무릇 홍보/마케팅에는 인적, 물적 자원이 필요한 법이다. 홍보/마케팅을 포함하여 전체 모금액 중에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사용 가능한 지출은 법률에 의해 10%로 한정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모금액이 확실히 어느 정도 될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과감한 마케팅 전략을 수행하기에는 위험 부담이 크기 때문에 인적, 물적 투자는 위축될 수밖에 없다. 다행히 모금액의 상승을 보이고는 있지만 이에 안주해서는 안될 것이다. 모금, 배분 및 홍보 관련 인터넷 프로그램 및 인프라 기반 구축을 통해 중앙 및 지회 간, 공동모금회와 각종 기관 간의 효과적인 정보 공유 및 활용이 필수적이다. 또한 홍보/마케팅 뿐만 아니라 제 분야에서 좀 더 능력 있고, 많은 인원이 필요하다. 자원봉사자나 아르바이트가 있다고 해도 정직원이 60여명에 지나지 않는 상황에서는 직원들의 사기나 건강 측면에서 문제가 있고, 결국 조직의 목표 달성 정도에도 영향을 끼치게 된다. 즉, 비용을 억제하려는 생각을 탈피해야 한다. 비용은 억제하면서 목표 달성 정도는 매년 높게 잡는 것은 바람직한 생각이라고 할 수 없다. 이러한 퇴행적 효율성보다는, 비용을 더 들이더라도 그 이상 가는 성과를 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홍보/마케팅 전문가를 적극 채용하고 직원들의 복리·후생에도 신경을 쓰는 한편, 각종 시스템과 인프라 구축에도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한다. 물론 이를 힘들게 하는 경직적인 법률 규정, 그리고 자신의 기부가 전액 배분되기를 원하는 국민들의 감정은 극복해야할 문제이다. 장기적인 시각에서 지속적인 사회적인 합의를 통해 해결해 나갈 수 있기를 바라본다.
Ⅴ. 맺음말
지금까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대한 소개와, 마케팅 현황, 그리고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았다. 본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학창 시절 적은 돈이나마 내고 교복 깃에 자랑스럽게 달았던 사랑의 열매가 어떤 것인지 아직도 잘 모르고 있었던 자신에 대해서 우습기도 하고 부끄럽기도 했다. 이제라도 어느 정도 알게 되었다는 사실에 감사하고, 얼마 전까지의 나처럼 사랑의 열매가 뭐하는 건지도, 어디에 쓰이는 지도 모르면서 이웃과 나눈다는 마음으로 아끼지 않고 기부하는 많은 사람들을 생각하면 가슴이 따뜻해지는 것을 느낀다. 어쩌면 사랑의 열매가 그래도 가장 믿음직스럽고, 기대가 크기 때문에 걱정도 많고 질책도 많은지도 모르겠다. 그만큼 공동모금회 스스로 10년간의 민간 기부 문화를 어느 정도 정착 시켰다는 점에 안주하지 말고 국민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 냉철한 두뇌, 뜨거운 가슴(cood head, warm heart)이라는 말은 진정한 나눔의 실천을 위해서 때로는 냉철하게 잘잘못을 따져봐야 한다는 말이기도 하다. 공동모금회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내부적인 운영·관리와 투명하고 공정한 공동모금으로 국민의 신뢰를 얻어야 함은 물론, 이를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것도 그들 자신의 몫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변화하지 않는 조직은 살아남지 못한다. 법률로 설립된 공익 목적의 사회복지법인이라고 해서 예외일 수 없다. 빠르게 변화하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환경에 발빠르게 대처하여 이에 맞는 전략적 마케팅으로 나날이 늘어나는 모금액, 그리고 공정하고 투명한 배분을 자신있게 보여주는 것이야말로 온 국민의 나눔으로 모아진 정성을 결실로 맺어낼 만한 자격을 부여 받은 있는 기관이 보여줘야 할 모습이 아닐까.
참고문헌
2007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연간보고서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현황과 과제(홍보팀 배부 자료)
전흥윤, ‘한국의 나눔문화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부정보가이드, 2004
최성재 외, 사회복지행정론, 나남출판, 2008
희망 2008 나눔캠페인 브로슈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