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음운론 교육 방법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음운론 교육 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차 례>
 1. 들머리 - 음운론 교육의 목표

 2. 기존 교과서의 체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2. 1. 중학교 교육과정・교과서의 문제
  2. 2. 고등학교 교육과정・교과서의 문제

 3. 음운론 교육 방법의 문제점과 그 대안
  3. 1. 국어에 대한 흥미 유발 부족 (문제점)
  3. 1. (1) 과학적인 매체 자료의 예 (대안)
  3. 1. (2) 자음 발음 학습 도구를 이용한 자음 교육 (대안)
  3. 1. (3) 광고 언어를 활용한 강의식 교수․학습 방법 (대안)
  3. 2. 탐구 학습 실현의 비효율성 (문제점)
  3. 2. (1) 탐구 학습의 단계 (대안)
  3. 2. (2) 절충식 탐구 학습 모형 (대안)
  3. 3. 실제 언어 사용 상황과의 괴리(문제점)
  3. 3. (1) TV 드라마․예능 프로그램 대사 및 자막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 (대안)
  3. 3. (2) 역할극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

 4. 마무리

본문내용

있다. 특히 음운론은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개념을 다루고 있기에 자칫 학습자가 가장 재미없어하는 내용이 되기 쉽다. 재미가 없다면 사고력창의력을 신장하고 언어사용기능을 향상한다는 음운론 교육의 또 다른 목표 역시 이룰 수 없다. 따라서 흥미를 불러일으키지 못하는 교수학습 방법은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흥미 유발을 위해서는 교수학습 매체를 교과서에만 의존해서는 안 될 것이다. 앞서 언급했듯 교과서에는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가 극히 드물다. 학습자의 흥미를 끄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이 다양한 매체이지만, 교과서에는 그림이나 흑백 사진이 전부이다. 이에 흥미 유발의 사례로 다양한 매체를 찾고 이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3. 1. (1) 과학적인 매체 자료의 예 (대안)
가. 영어 음운 학습 프로그램 http://www.uiowa.edu/%7Eacadtech/phonetics
국어 음운의 실제 발음 음성을 들을 수 있고 조음기관의 단면도도 확인할 수 있는 매체 자료가 있다면 좋겠지만 찾을 수 없어, 영어 음운 체계와 비교 학습이 가능한 자료를 찾아 보았다.
아래의 영어 음운 학습 프로그램은 영어 음운의 실제발음 소리를 들을 수 있고 조음기관의 단면도도 제공되며 조음 시 입모양까지 확인할 수 있다. 영어의 음운체계와 국어의 음운체계를 비교해서 교수학습하면 학생들이 흥미를 갖는데, 이때 이 프로그램을 활용하면 유용할 것이다.
나. IPA 기호의 음성을 청취할 수 있는 홈페이지 http://web.uvic.ca/ling/resources/ipa/charts/IPAlab/IPAlab.htm
국제음성기호인 IPA 기호의 소리를 청취할 수 있는 홈페이지가 있는데, 교수학습 시 이 홈페이지를 활용하여 국어 음운에 대응하거나 변이음으로 존재하는 음성들을 학생들에게 직접 들려주고 비교하게 할 수 있다. 특히 국어의 모음사각도에 있는 음운들에 대응하는 IPA기호를 찾아보고, 직접 소리를 들어본다면 학생들은 말소리가 이렇게 과학적으로 체계화될 수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3. 1. (2) 자음 발음 학습 도구를 이용한 자음 교육 (대안)
‘자음 발음 학습 도구’는 학습자 개인 또는 모둠별로 자음 조음 기관(움직이는 구강 구조도)을 직접 제작하면서 조음 위치를 확인하고 조음 위치에 따른 자음을 분류해 볼 수 있는 도구이다. 그리고 제작된 도구를 활용하여 탐구학습을 통해 자음의 체계를 학습할 수 있는 활동 자료이다. 개인별 모둠별로 만드는 과정에서 학습자는 구강 구조에 대하여 일정 수준 학습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조음 위치에 대해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자음 발음 학습 도구를 이용하여 ‘모음의 체계(모음 삼각도)’와 음운의 변동에서 ‘구개음화’도 학습자 스스로 학습할 수 있게 된다.
<그림 1> <자음 발음 학습 도구 앞면, 뒷면 모습>
위 그림에서 아래 턱은 입술소리와 연관이 있고 성대는 울림/안울림의 기준이 되며 연구개는 그 움직임에 따라 콧소리와 연관이 있다. 그리고 혀의 모양에 따라 설단음, 경구개음, 연구개음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색테이프는 조음 기관의 움직임으로는 표시할 수 없는 된소리와 거센소리, 울림소리 등을 나타낼 수 있다.
학습자는 이 자료를 모둠별로 만들고 자음을 소리나는 위치에 따라 구분하는 활동과 이를 설명하는 과정을 통해 음운 지식에 대한 이해는 물론 사고력 신장의 효과까지 거둘 수 있다. 다음은 자음 발음 학습 도구의 활용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활용 방법
① 발음 학습 도구 사용 방법 설명
-턱의 움직임
-혀의 움직임
-연구개의 움직임
-성대의 울림 설명
② 조음 위치에 따라 자음의 발음이 달라짐을 설명
③ 모둠별로 토의하며 교과서 탐구 활동
<그림 2> <자음 발음 학습 도구 활용 장면>
자음 발음 학습 도구는 학습자의 수준과 수업 상황을 고려하여 교사가 선택 또는 보완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해도가 높은 학습자의 경우 이와 같은 조작 도구가 도리어 음운 학습에 흥미를 떨어뜨리는 요소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해도가 다소 낮은 학습자에게는 이러한 구체적 실물 조작 자료 활용이 내용 이해는 물론 수업에 흥미를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3. 1. (3) 광고 언어를 활용한 강의식 교수학습 방법 (대안)
국어 교육에 많이 활용하는 매체 중 하나가 광고일 것이다. 광고에 사용되는 언어를 강의식 교수학습 방법에 활용한다면, 다소 지루해지기 쉬운 강의식 교수학습 방법에 흥미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가. 학습목표 설정
ㄱ. 광고문구를 통해 국어 음운의 특성을 알 수 있다.
ㄴ. 국어 음운이 실제 언어생활에서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지 알 수 있다.
ㄷ. 학습자 스스로 국어 음운의 특성을 활용해 광고 문구를 작성할 수 있다.
나. 설명하기
교사는 먼저 국어 음운의 특성에 대해 교과서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광고에 사용되는 언어는 다른 광고들과 차별성을 갖기 위해 음운 하나에도 많은 노력을 들이거나 의도를 가하여 변형한다. 교사는 이러한 광고 언어의 특성을 학습자에게 설명한다.
다. 시범보이기
ㄱ. 교사가 학습자에게 국어 음운의 특성이 잘 드러난 광고를 제시한다.
ㄴ. 교사는 광고에 사용된 국어 음운의 특성에 대해 언급하기 이전에 학습자에게 몇 가지 질문을 함으로써 광고에 사용된 언어 특성에 대해 생각할 시간을 준다.
광고 언어를 통해 느껴지는 제품의 이미지는 무엇인가?
왜 그런 느낌이 드는가?
광고 언어에 사용된 국어 음운의 특성과 제품의 특성은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가?
ㄷ. 학습자의 의견을 듣고, 교사가 해당 광고에 사용된 국어 음운의 특성을 밝혀 본다.
<광고 1>
빛나는 사인이 있는가 하면
빚내는 사인이 있습니다.
<광고 1>은 시선을 끌기 위해 ‘빛’과 ‘빚’의 동음성을 이용해 광고 문구를 작성했다. 같은 사인이더라도 ‘빛’이 나는 경우가 있고, ‘빚’을 내는 경우가 있다는 말을 통해 무분별한 신용카드사용에 대한 경고를 하고 있다. ‘빛’과 ‘빚’은 형태도 다르고 뜻도 다른 단어이지만 국어의 음절의 끝소리 규칙을 적용하면 둘 다 [

추천자료

  • 가격2,8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3.02.16
  • 저작시기2013.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11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