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정부 시대의 한국 언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대중 정부 시대의 한국 언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김대중 정부 시대의 한국 언론


서론

본론Ⅰ- 대중 차원에서의 언론개혁 시도
1. 언론개혁시민연대
2. 안티조선운동

본론 Ⅱ - 김대중 정부의 언론개혁 시도

[신문]
1. 언론사 세무조사 - 언론개혁이라는 이상론이 실정법의 적용을 통해 현실화
2. 신문고시
3. 언론사 및 언론단체 구조 조정
4. 정부의 대언론 법적 대응 확산
5. 기밀보호와 언론취재 제한
6. 사이비언론정비
7. 남북언론교류사업

[방송]
1. 통합 방송법 제정
2. 디지털 위성방송(Skylife) 시작

본론 Ⅲ - 시대의 흐름과 기술의 발달에 의한 언론시장 변화
1. 뉴미디어의 등장
2. 미디어 개방화 및 세계화

결론

본문내용

로서 기존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고화질, 고음질이며 기존 아날로그 TV로도 고품질서비스를 시청 가능.
2. 다양한 채널 수 - KBS등 기존 공중파 방송은 물론 다양한 영화 채널과 뉴스, 음악, 스포츠, 오디오, 외국채널 등 140여개의 채널 보유
3. 전국어디서나 수신 가능 - 수신기만 갖추면 전국 어디서나 시청할 수 있으며 산간오지나 도서벽지에서도 똑같은 품질의 방송 가능
3. 한국교육방송공사(EBS) 설립
1999년 12월 한국 교육 방송 공사법 제정 → 교육방송을 독립적인 공사로 전환시킴
∵ 1990년 한국방송공사에서 분리된 EBS는 10여 년 동안 교육부 산하 교육 개발원의 부설 기관으로 존재해오면서 재정난으로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었음.
본론 Ⅲ - 시대의 흐름과 기술의 발달에 의한 언론시장 변화
1. 뉴미디어의 등장
배경 : 1980년대 이후 다양한 미디어 기술이 개발되고 미디어 간 융합이 활발히 전개되면서 국내신문사들도 뉴미디어에 눈을 뜨기 시작했다. 그러나 본격적인 국내 신문 기사의 온라인화는 1990년대 중반 월드 와이드 웹(www)서비스의 전 세계적 확대와 함께 본격화되었다.
1) 조인스닷컴
- 1995년 3월 국내 최초 전자 신문 ‘인터넷 중앙일보’ 등장
- 1998년 3월 1일 중앙일보 뉴미디어(=‘조인스닷컴’) 설립
‘인터넷 중앙일보’를 담당했던 중앙일보사의 한 부서가 뉴미디어 전문 자회사로 독립, 명칭 변경.
- 2003년 9월 조인스닷컴은 미디어 포털 사이트로 개편, 뉴스 부문 특화해 중앙일보 인터넷 뉴스 전문사이트(news.joins.com)로 독립시킴.
- 2003년 8월 기준 하루 접속량 2000만 페이지뷰 기록
2) 오마이뉴스 창간
오마이뉴스 : 새천년을 맞아 20세기 한국적 신문문화와 결별하고, 새로운 신문문화를 만든다는 기치 아래 2000년 2월 22일 오마이뉴스(주)에서 창간한 인터넷신문. 종합 일간지이며 열린 진보를 지향. 사시는 '뉴스 게릴라들의 뉴스연대-오마이뉴스', 슬로건은 '모든 시민은 기자'
오프라인 신문과의 차이점 :
① 하루에 4번 이상 톱기사 업데이트 (신속성)
② 직업 기자에 의한 심층취재 뉴스와 일반 시민 기자에 의한 생활체험 뉴스를 5:5 비율로 편집③ 기사의 형식과 내용 파괴 (←지면제한 X)
발전상황 :
- 2002년 12월 하루 방문자 수 국내 신기록(623만 명) 갱신
- 2003년 12월 첫 흑자 달성
- 2004년 1월 제3세대 인터넷신문 선언
- 2월부터 오마이TV 시민앵커뉴스 방송 시작
- 2004년 9월 현재 광주·전라, 대구·경북, 부산·경남, 대전·충남 등 4개의 국내 지사와 미주·중국·일본 등 3개의 해외지사가 있음.
2. 미디어 개방화 및 세계화
1) 아리랑 TV - 1999년 해외를 대상으로 한 아리랑 국제방송의 국가 홍보 방송 시작
2) 언론 시장 개방
- OECD 가입을 계기로 정부는 신문잡지에 대한 외국인 투자를 부분적으로 허용하다가 1999년 1월 1일부터 서적 출판업과 주간월간지 등 잡지는 전면 개방.
- 세 차례에 걸친 일본 대중문화 개방
1차 : 1998년 10월 순수 예술 분야, 어린이용 만화, 비디오 등으로 한정
2차 : 1999년 6월 공연, 영화, 음반, 비디오 방송 분야로 확대
3차 : 2000년 6월 게임, 애니메이션, 방송, 대중가요 등 대중문화 전반에 걸쳐 개방
=> 한류의 출발점
결론
김대중 정부의 언론개혁 시도를 언론탄압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김대중 정부의 세무조사 및 신문고시 부활은 시대적 필요에 따른 것이었으며, 특히 ‘국민의 정부’라는 이름에 걸맞게 언론개혁을 외치는 대중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집권 초기에는 자율개혁을 강조하다가 집권 후기에 들어 서투르게 개혁을 함으로써 외려 언론과 불편한 관계를 만들어 임기가 끝날 때까지 언론의 공격을 벗어날 수 없게 되었다는 한계를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압적 조치를 취하지 않고 언론의 자유를 보장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남북 언론 교류의 지평을 넓혔다는 점, 정부 소유의 매체를 민영화시켰다는 점, 세무와 관련한 언론의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았다는 점은 바람직한 것이었다.
방송 분야에서는 위성방송 시대의 개막을 이끌었다는 점은 높이 평가할 만 하지만, 충분한 준비를 바탕으로 하지 않은 탓에 혼란이 있었던 것이 아쉬울 따름이다. 또한 미디어 시장 개방으로 인해 한류의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도 눈여겨 볼 만한 공로일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2.16
  • 저작시기201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11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