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원문과 배경설화
1.1원문
1.2 배경설화
2. 기존 해독 연구사
3. “봉소사은변야수야”에 대한 연구사
3.1 기존의 해독
3.2 기존 해독에 대한 비판
3.3 해독에 대한 대안제시
1.1원문
1.2 배경설화
2. 기존 해독 연구사
3. “봉소사은변야수야”에 대한 연구사
3.1 기존의 해독
3.2 기존 해독에 대한 비판
3.3 해독에 대한 대안제시
본문내용
유사의 원전의 분구표기 그대로 倭理叱軍置來叱多烽燒邪隱邊也藪耶’를 한구로 처리했고, 양주동은 倭理叱軍置來叱多와 烽燒邪隱邊也藪耶로 나누어 두 구로 처리하면서 乾達婆矣를 앞의 구에 올려 붙여서 舊理東尸汀叱乾達婆矣로 하고 있다. 많은 경우 대체적으로 앞에 제시한 것처럼 十句로 나누고,①②③④를 첫째단락으로, ⑤⑥⑦⑧을 둘째단락으로하고, ⑨⑩을 셋째단락으로 하여, 노래 전체를 세 단락으로 나누고 있다. 신라가요의 기반과 작품의 이해
1.2 배경설화
融天師彗星歌 眞平王代
第五居烈郞, 第六實處郞, 第七寶同郞等三花之徒欲遊楓岳,
有彗星犯心大星, 郞徒疑之, 欲罷其行, 時, 天師作歌歌之,
星 卽滅, 日本兵還國, 反成福慶. 大王歡喜遣郞遊岳焉. 歌曰(歌別載於下)
『다섯째의 거열랑, 여섯째의 실처랑(‘돌처랑‘이라고도 한다), 일곱째의 보동랑 등 세 화랑의 무리가 풍악(금강산의 별명) 유람을 떠나고자 하던 차에 심숙(心宿)의 큰 별이 있는 근처에 혜성이 나타나 화랑의 무리들은 겁이 나서 유람을 중지하려고 했다. 그때 융천사가 노래를 지어 불렀더니 괴성(怪星)도 당장에 없어지고 일본군사도 저의 나라로 돌아가서 도리어 경사를 이루게 되었다. 임금이 기뻐하시고 화랑들을 보내어 금강산을 유람케 하였다.』 향가의 문학적 연구
사서의 기록에 의하면, 혜성은 요성(妖星)으로 혜성이 나타나면 천재나 병화가 있으며, 나라가 망할 조짐이라는 것이다. 또 심대성은 28수(二十八宿) 중 심수(大星)의 대성(大星)으로 신라의 중심지인 경주를 상징한다. 그러므로 \'혜성범심대성(彗星犯心大星)\'은 왜구가 신라의 동해안에 침입하였다는 것을 비유한다.
이 연기설화의 주제는 혜성의 변괴를 없애고 왜병의 침략을 막은 것으로 풀이되며 이와 같은 연기설화의 내용에 따라 작품 해석이 되어야 할 것이다. 신라 향가는 일연(一然)에 의하여 노래가 모아졌다는 사실 때문에 그의 취향과 사상이 노래 속에 어느 정도 관여되었으리라 생각된다. 일연이 신라의 후손이고 승려라는 점에서 볼 때 향가의 내용 역시 신라적이고 불교적인 면과 깊게 관련된다.
彗星犯心大星의 의미: 혜성의 출현은 왕의 죽음, 망국, 외침, 신왕조 출현의 예징 등을 나타내며 심대성은 동방에 있는 가장 중요한 위치에 놓인 별로서 중국의 동쪽에 자리한 신라를 의미한다. ‘혜성이 심대성을 범했다’의 의미는 왕권 혹은 국권에 대한 심각한 침해를 암시하는 전조로 이해할 수 있다.
2. 기존 해독 연구사
양주동해독
현대어
녜 ㅅ
1.2 배경설화
融天師彗星歌 眞平王代
第五居烈郞, 第六實處郞, 第七寶同郞等三花之徒欲遊楓岳,
有彗星犯心大星, 郞徒疑之, 欲罷其行, 時, 天師作歌歌之,
星 卽滅, 日本兵還國, 反成福慶. 大王歡喜遣郞遊岳焉. 歌曰(歌別載於下)
『다섯째의 거열랑, 여섯째의 실처랑(‘돌처랑‘이라고도 한다), 일곱째의 보동랑 등 세 화랑의 무리가 풍악(금강산의 별명) 유람을 떠나고자 하던 차에 심숙(心宿)의 큰 별이 있는 근처에 혜성이 나타나 화랑의 무리들은 겁이 나서 유람을 중지하려고 했다. 그때 융천사가 노래를 지어 불렀더니 괴성(怪星)도 당장에 없어지고 일본군사도 저의 나라로 돌아가서 도리어 경사를 이루게 되었다. 임금이 기뻐하시고 화랑들을 보내어 금강산을 유람케 하였다.』 향가의 문학적 연구
사서의 기록에 의하면, 혜성은 요성(妖星)으로 혜성이 나타나면 천재나 병화가 있으며, 나라가 망할 조짐이라는 것이다. 또 심대성은 28수(二十八宿) 중 심수(大星)의 대성(大星)으로 신라의 중심지인 경주를 상징한다. 그러므로 \'혜성범심대성(彗星犯心大星)\'은 왜구가 신라의 동해안에 침입하였다는 것을 비유한다.
이 연기설화의 주제는 혜성의 변괴를 없애고 왜병의 침략을 막은 것으로 풀이되며 이와 같은 연기설화의 내용에 따라 작품 해석이 되어야 할 것이다. 신라 향가는 일연(一然)에 의하여 노래가 모아졌다는 사실 때문에 그의 취향과 사상이 노래 속에 어느 정도 관여되었으리라 생각된다. 일연이 신라의 후손이고 승려라는 점에서 볼 때 향가의 내용 역시 신라적이고 불교적인 면과 깊게 관련된다.
彗星犯心大星의 의미: 혜성의 출현은 왕의 죽음, 망국, 외침, 신왕조 출현의 예징 등을 나타내며 심대성은 동방에 있는 가장 중요한 위치에 놓인 별로서 중국의 동쪽에 자리한 신라를 의미한다. ‘혜성이 심대성을 범했다’의 의미는 왕권 혹은 국권에 대한 심각한 침해를 암시하는 전조로 이해할 수 있다.
2. 기존 해독 연구사
양주동해독
현대어
녜 ㅅ
키워드
추천자료
고전 문화유산으로서의 판소리에 대한 북한의 인식태도에 대해 분석해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
한국 고전 문학사의 쟁점 요약 및 분석
(동서고전의 이해) 이이의 사상과 주요저서분석
(동서고전의 이해) 프로이드의 '꿈의 분석' 주요내용정리
[고전문학]기재기이 - 안빙몽유록 연구 - 작품분석, 연구사
(아동발달B형)학습이론 중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에 대하여 비교분석
교육심리- 고전검사이론을 이용한 검사 및 문항 분석
[고전문학] 위경천전 - 연구사, 작품분석, 문학사적 위상
스키너의 행동주의 분석, 고전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화, 이론의 적용, 치료법 장단점과 시사...
[고전소설의 이해] 판소리<춘향가>와 오페라<피가로의 결혼>의 비교 분석 및 특징과 유사성
[기독교와 심리치료] 고전적 정신분석학에 대한 기독교적 평가 - 철학적 전제, 성격모델, 건...
[심리학과 심리치료] 고전적 정신분석학 - 철학적 전제, 성격모델, 건강모델, 이상모델, 심리...
고전소설강독 경판본 고소설 [홍길동전]과 박태원의 [홍길동전]을 비교, 분석해 보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