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웹툰에 대한 정의
2. 설문조사의 목적과 결과
3. 포털사이트 웹툰에 나타난 표준어 오용 사례와 분석
4. 개선방안 논의와 결론
2. 설문조사의 목적과 결과
3. 포털사이트 웹툰에 나타난 표준어 오용 사례와 분석
4. 개선방안 논의와 결론
본문내용
음의 소리>(NAVER 연재만화)는 260화, 261화에서 각각 4,023개와 4,378개라는 누리꾼들의 댓글을 받을 수 있었다. 그리고 위의 댓글들은 회원 인증을 한 사람들에 제한된 것으로, 실제로는 더 많은 사람들이 인증을 거치지 않고 만화를 본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것은 김정혁의 <버스정류장>(PARAN 연재만화)의 댓글이 100개를 넘지 않지만 조회 수가 무려 20만 이상인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네이버(NAVER)는 담아가기 메뉴가 있어서 굳이 위의 홈페이지를 들르지 않더라도 다른 사이트에서 동일한 내용을 감상할 수 있기 때문에 댓글의 수치로 측정하기 어려운 누리꾼들이 많이 있을 것이다.
이런 웹툰의 인기를 고려했을 때, 각 작품은 그것을 읽는 이의 언어생활에 영향을 줄 여지가 충분하다. 앞서 언급한 조석의 만화에서 나온 ‘하지만 내 여자에겐 따뜻하겠지?’와 같은 구절이나 워니의 <골방환상곡>이라는 작품에서 유래된 ‘엄친아’(‘엄마친구아들’의 준말) 네이버 완결 웹툰.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5441&no=9&menuType=&weekday
와 같은 신조어는 인터넷을 향유하는 계층에게 급속도로 전파되어 배타적인 소통을 이루기도 한다. 위의 예시는 맞춤법 규정을 어기진 않는다는 점에서 다행이다. 하지만 이들 만화에서 발견할 수 있는 여러 맞춤법 오류는 위에서 살펴본 인터넷의 전파가능성에 비춰 봤을 때 우려할 수 있다.
그런 의도에서 인터넷을 많이 이용하는 고등학생, 대학생에게 설문을 실시하고, 대표적인 웹툰에서 발견된 표준어 오용 사례를 항목을 나눠 다뤄보고자 한다.
2. 설문조사의 목적과 결과
이 조사와 연구의 목적은 포털사이트 웹툰에 나타난 표기 오류와 이것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청소년의 정의는 청소년 기본법에 따라 ‘9세 이상 24세 이하의 사람’ 청소년 기본법 제3조 1항에 ‘\"청소년\"이라 함은 9세 이상 24세 이하의 자를 말한다. 다만, 다른 법률에서 청소년에 대한 적용을 달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따로 정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법률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law/jsp/Law.jsp?WORK_TYPE=LAW_BON&LAW_ID=A0728&PROM_NO=08852&PROM_DT=20080229&HanChk=Y 참고.
으로 내릴 수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그 중 인터넷 사용이 가장 활발할 고등학생, 대학생을 조사대상으로 설정했다. 구체적인 항목은 다음과 같다.
1. 한 주에 웹툰을 몇 화를 보십니까?
① 14화 이상 ② 7화 이상 ③ 3화 이하 ④ 거의 보지 않는다. ⑤ 웹툰이 뭔지 모른다.
2. 정기적으로 보는 웹툰이 있다면 간략한 이유와 함께 적어주십시오.(복수응답 가능)
3. 다음은 웹툰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표준어라고 생각하는 것에 표기해 주십시오.
새벽에 소용돌이 의상을 입은 한 남자가, 별사탕을 든, 오리 사나이를 어부바하고 뛰어 나가다가 진열장에 [부
이런 웹툰의 인기를 고려했을 때, 각 작품은 그것을 읽는 이의 언어생활에 영향을 줄 여지가 충분하다. 앞서 언급한 조석의 만화에서 나온 ‘하지만 내 여자에겐 따뜻하겠지?’와 같은 구절이나 워니의 <골방환상곡>이라는 작품에서 유래된 ‘엄친아’(‘엄마친구아들’의 준말) 네이버 완결 웹툰.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5441&no=9&menuType=&weekday
와 같은 신조어는 인터넷을 향유하는 계층에게 급속도로 전파되어 배타적인 소통을 이루기도 한다. 위의 예시는 맞춤법 규정을 어기진 않는다는 점에서 다행이다. 하지만 이들 만화에서 발견할 수 있는 여러 맞춤법 오류는 위에서 살펴본 인터넷의 전파가능성에 비춰 봤을 때 우려할 수 있다.
그런 의도에서 인터넷을 많이 이용하는 고등학생, 대학생에게 설문을 실시하고, 대표적인 웹툰에서 발견된 표준어 오용 사례를 항목을 나눠 다뤄보고자 한다.
2. 설문조사의 목적과 결과
이 조사와 연구의 목적은 포털사이트 웹툰에 나타난 표기 오류와 이것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청소년의 정의는 청소년 기본법에 따라 ‘9세 이상 24세 이하의 사람’ 청소년 기본법 제3조 1항에 ‘\"청소년\"이라 함은 9세 이상 24세 이하의 자를 말한다. 다만, 다른 법률에서 청소년에 대한 적용을 달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따로 정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법률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go.kr/law/jsp/Law.jsp?WORK_TYPE=LAW_BON&LAW_ID=A0728&PROM_NO=08852&PROM_DT=20080229&HanChk=Y 참고.
으로 내릴 수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그 중 인터넷 사용이 가장 활발할 고등학생, 대학생을 조사대상으로 설정했다. 구체적인 항목은 다음과 같다.
1. 한 주에 웹툰을 몇 화를 보십니까?
① 14화 이상 ② 7화 이상 ③ 3화 이하 ④ 거의 보지 않는다. ⑤ 웹툰이 뭔지 모른다.
2. 정기적으로 보는 웹툰이 있다면 간략한 이유와 함께 적어주십시오.(복수응답 가능)
3. 다음은 웹툰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표준어라고 생각하는 것에 표기해 주십시오.
새벽에 소용돌이 의상을 입은 한 남자가, 별사탕을 든, 오리 사나이를 어부바하고 뛰어 나가다가 진열장에 [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