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로마신화에 대해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그리스 로마신화에 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그리스 로마 신화 소개
 1. 고대 그리스 이야기
 2. 신화
 3. 그리스인들과 신

2. 세계의 시작과 계승신화, 신들의 전쟁
 1. 세계의 시작
 2. 올륌포스 신들의 탄생과 신들의 전쟁
 3. 판도라, 인간의 다섯 시대

3. 올륌포스의 신들1
 1. 제우스
 2. 헤라
 3. 데메테르
 4. 포세이돈
 5. 하데스: 광물이 상징
 6. 페르세포네
 7. 데메테르

4. 올륌포스의 신들2
 1. 아폴론
 2. 아르테미스
 3. 아테네 (Minerva)
 4. 헤파이스토스
 5. 아프로디테
 6. 아레스
 7. 헤르메스

5. 일리아스
 1. 파리스의 판정
 2. 전쟁의 시작
 3. 일리아스의 내용
 4. 펜테실레이아
 5. 멤논
 6. 아이아스의 자결
 7. 필록테테스 (제우스: 전쟁을 종결하고자 하는 의지)
 8. 목마
 9. 트로이아 전쟁 후

5. 오디세이아
 1. 이스마로스에서의 해적질
 2. 로토스를 먹는 사람들
 3. 폴뤼페모스
 4. 아이올로스의 섬
 5. 라이스트뤼고네스인들
 6. 키르케
 7. 저승 여행 (katabasis)
 8. 세이렌들
 9. 카륍디스와 스퀼라
 10. 태양신의 섬
 11. 칼륍소의 섬
 12. 스케리아
 13. 오디세우스의 복수

본문내용

1. 그리스 로마 신화 소개
1. 고대 그리스 이야기
(1) 그리스 인의 일상
① BC 9C 말 폴리스(소규모 도시국가)가 형성되면서 그리스의 암흑기(BC 12C 초반 도리아인의 남하로 인한 미케네 문명 파괴)가 종료
② 암흑기를 거치면서 미케네 문명의 Linear B 문자가 사라지고, BC 8C가 되면서 그리스 르네상스가 시작
③ 폴리스: 아크로폴리스를 중심으로 하는 종교 공동체
a. 아테네, 테베, 스파르타, 코린토스
b. 맹수의 공격을 집단적으로 힘을 합쳐 막아보자는 취지에서 시작, 종교 형태로 발전하여 신전이 만들어짐
④ 페르시아 전쟁(BC5C~4C) 이후 아테네가 지중해 주변의 중심지가 됨
a. 1차 페르시아 전쟁(BC490): 마라톤 평원에서 페르시아를 이기고, 승전보를 전달하기 위해 끊임없이 달림 → 마라톤의 시초
b. 2차 페르시아 전쟁(BC48): 해군력을 증가시킨 그리스와 바다전투를 치룸
(2) 그리스 문명과 신화
① 미노아 문명
a. 크레타섬을 중심으로 발전, 크노소스 궁전, 개방적이고 평화적인 문화
b. 청동기가 아닌 마지막 문명 (1900년 A. Evans가 발굴)
② 뮈케네 문명
a. 청동기, 뮈케네 성채(사자문: 성채 입구), 방어적/호전적
b. 선형 B문자: 최초의 음절 문자, 재산을 관리하기 위한 문자
c. 미노아 문명을 흡수
d. 트로이 전쟁의 주역
e. 1871년 Hschliemann에 의해 발굴: 뮈케네 문명 뿐만 아니라 트로이아 성채를 발견하여 트로이아 전쟁이 허구가 아님을 밝혀냄
- 아가멤논의 마스크: 서양인의 낭만 주의를 자극함
③ 도리아족의 남하 (BC 1200년)
a. 파괴적 민족 대이동, 트로이 전쟁 직후
b. BC1200~800: 그리스의 암흑기, 기록과 유물이 없음
c. 그리스 방언 발달: 아티카, 이오니아, 도리아, 아이올니아, 아르카디아
④ 상고시대(BC800~500): 기하학 문양의 도자기 발견
⑤ 고전기(BC500~323): 기원전 323년에 알렉산더 대왕이 죽음
⑥ 헬레니즘 시대(BC323~30(27)): 알렉산더 대왕의 죽음 이후 유지의 시대
a. 그리스 문화의 세계로의 전파: 희랍어, 코스모 폴리탄
b. BC30년: 클레오파트라의 죽음
c. BC27년: 로마재정시대의 시작
⑦ 로마재정시대(BC27년~)
고대 그리스 문화: 동방의 여러 문화의 영향을 받음: 스핑크스 모양의 향료병
(3) 호메로스
① 호메로스 문제
a. <일리아스>와 <오뒤세이아>는 모두 호메로스가 쓴 것인지? 일리아스는 이상적 영웅을, 오뒤세이아는 현실적 영웅을 그리기 때문에 성격이 매우 다르고 시차가 존재함: 일리아스는 호메로스가 썼고, 오뒤세이아는 이 일리아스의 영향을 받은 것은 틀림 없음
b. <일리아스>와 <오뒤세이아>는 혼자 쓴 것인지 아니면 집단이 기록한 것인지? 단일론과 분리론, 재구성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무리가 없음
c. 실존하는 이야기인지 허구인지?
② <일리아스>와 <오뒤세이아>
a. BC 750년 경 호메로스가 지음
b. 고차원적 문법: 서사시의 운율을 완벽하게 따름 (6각운)
c. 8C 이전에 문자는 없었지만 고도의 지식이 형성되기 시작함
③ 호메로스의 세계관
a. 세계는 Europa와 Asia로 나뉨
b. Oceaneus: 나일강의 기원
c. \"태초에 오케아노스가 있었고 만물의 테튀스가 있었으며 이들로부터 모든 신들이 비롯된 것으로 보임“: 가이아가 나오지 않음, 이것은 이오니아 지방에 물이 많은 것이 영향을 미침
(4) 헤시오도스: 서사시 <신통기>와 <일과 날들>의 작가
① 보이오티아 지방 농경 사회를 배경으로 태어나서 호메로스와는 다른 서사시 전통을 만듦
② “태초에 카우스가 있었고, 거기서 가이아, 타르타라, 에로스가 나왔다. 가이아가 혼자서 우라노스, 우레아, 폰토스를 낳았으며 다시 우라노스와 결합하여 자식을 낳았다.”
2. 신화
(1) 신화란 무엇인가?
① 신화: 인간 사유의 원형, 한 사회가 공유하는 세계관믿음가치공포 등을 담고 있는 전통적인 이야기로서, myth, legend, folk-tale을 포함
② 신화는 무엇보다도 문자 이전 사회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짐: 문맹사회는 아니기 때문에 집단적 가치지식윤리를 엿볼 수 있음
(2) 뮈토스&로고스
① 뮈토스: 이야기, 들어서 아는 것, 증멸할 의무가 없음
② 로고스: 이성, 합리적인 근거가 필요함
(3) 그리스 신화
① 그리스 신화는 고대 그리스 문명의 집단적무의식적 산물
② 그리스 신화는 범신론적이며 생태학적
- 범신론: 모든 신을 다룸
- 생태학적: 자연 그 자체로 가치가 있다는 관점
3. 그리스인들과 신
(1) 고대 그리스인들
① 신: 영원히 살고 행복을 느끼지만 늘 정직하고 윤리적인 것은 아니며, 그들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음
→ 신들 = markaros = mala(아주) + chairein(잘 지냄)
② 그리스인: “하루살이”인생이며
  • 가격3,3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3.03.10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30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