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영화기행정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영화기행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상 과거의 아내와 재결합할 수 없다는 씁쓸한 깨달음의 상징. 두 번째는 바이살과 권투를 하다가 흘린 피, 이것은 코믹하고 유머 스럽게 묘사되며 아들과의 동반자적 삶을 예고하는 것. 이것은 이들이 지속적으로 요리를 한다는 점에서 분명해짐. 요리를 한다는 것은 엄마의 부재를 극복한다는 의미이며 새로운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이웃과 사회에서 적응해나가겠다는 의지의 표명. 카메라는 이들의 의지를 유쾌하게 묘사. 바이살과 카심을 위에서 비추다가 옆건물의 노래를 부르는 소녀들의 모습을 비춤으로써 이들의 미래에 낙관적 전망을 제시. 두 부자가 노래를 부르는 것으로 영화는 끝남. 이들의 노래는 영화의 사운드 트랙이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영화 속에서 이들이 직접 노래를 부르는 것이기도 하다. 엔딩크레딧 이외에 아무것도 보이지 않고 이들의 노래만이 들려오는데 이 노래의 이러한 두 가지 기능은 화면의 안과 밖을 연결하면서 이들의 모습이 동시대 카자흐스탄 사회의 일부분임을 말하고 있다.
기존 가족관계의 해체와 새로운 가족의 형성이라는 주제는 세계 영화사에서 보편성을 획들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1990년대 카자흐스탄 영화의 부흥기를 일컫는 용어는? 1.카자흐스탄 뉴웨이브
1.카자흐스탄 뉴웨이브 2.루마니아 뉴웨이브 3.누벨바그 4.필름 누아르
카자흐스탄과 더불어 중앙아시아에서 영화 산업이 가장 활발한 나라는? 3.우즈베키스탄
1.키르기즈스탄 2.투르크메니스탄 3.우즈베키스탄 4.타지키스탄
가장 중요한 주제는? 1.새로운 가족 형태
1.새로운 가족 형태 2.신세대 3.전쟁 4.국제분쟁
<천사에게 보내는 편지>
천사에게 보내는편지의 구조
영화에 등장하는 작가는 이야기 속에 자신의 분신에 해당하는 또 다른 작가를 등장시켜 이야기를 펼쳐가기 시작한다. 또 다른 형식으로 등장하는 이야기는 굴나라가 혼자 하는 이야기, 그녀가 스스로를 천사라고 여기는 남자에게 보내는 영상편지. 따라서 이 영화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두가지. 1.주인공 굴나라와 작가가 내뱉는 말 2.굴나라가 디브이디로 촬영한 영상편지. 영화에서는 7개의 영상편지가 등장하는데 제목은 춤, 친구, 그와 다투는 법, 시간, 돈, 가족, 사랑, 남과 여 등이다.
이 작품은 서사에 집착하지 않고 영화만의 고유한 언어, 시각적 언어로써 화면을 채우려는 욕망을 실현시키고 있으며 나아가 그러한 영화의 한게를 넘어 예술 텍스트로서 영화가 도달할 수 있는 정점을 보여주는 수작.
예르멕 쉬나르바예프 감독은 “이 영화를 만든 이유는 여 주인공을 보고, 느끼고, 그녀가 존재한다고 믿기 위해서이다. 그녀는 처음엔 허구이지만, 나중엔 현실이 되었고 나 자신은 그녀의 존재를 느낀다.”고 말했다.
영화에서 제시되는 세 가지 이야기 - 작가가 하는 이야기, 여주인공 굴나라가 하는 이야기, 굴나라가 천사에게 보내는 영상편지.
이 세 이야기는 상호 관계를 맺는다.
남자의 이야기는 허구이지만 그것을 뒤이어 이야기하는 여주인공의 이야기는 자신의 연예에 관한 실화로 옭겨가고 다시 여인의 이야기를 이어서 이야기하는 작가의 말을 허구가 된다. 그러나 작가가 하는 말의 사실 여부에 대해 여주인공이 응답하면서부터 작가의 말도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넘나들게 되고 여주인공이 마지막에 스스로 고백하는 영상편지의 내용이 사실로 밝혀짐에 따라 허구의 이야기와 현실의 이야기가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작가가 “우리는 누군가에게 허구이다.”라고 말하는 것은 감독의 말이기도 하며, 예술 텍스트의 본질을 담아내는 것이기도 하다.
굴나라가 자신이 사랑하는 천사 남자에게 보내는 여러 편지의 내용은 천사에게 보내는 일종의 자기 고백이다. 마지막 편지는 극적으로 두 사람이 주고 받은 이야기 속으로 들어옴 (현실>허구>현실)
굴나라의 편지는 그녀가 고백하는 연애담에 대한 것인데 이러한 현실이 허구의 이야기와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관객은 처음엔 이 영상 편지를 촬영하는 사람이 누구인지 알지 못하지만 영화 말미에 촬영자가 다름 아닌 천사라는 것을 알게 됨. 즉, 이 영상 편지는 굴나라가 천사를 마주하고 고백하는 것을 기록한 편지. 기록되는 순간 바로 천사에게 전달된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허구와 현실의 결합은 영화를 보는 관객인 우리와 영화 속 현실과으 l관계를 성찰하도록 만든다. 영화속 영화화 영화 속 현실이 결합하는 순간 우리는 우리가 보고 있는 영화가 우리가 존재하고 있는 스크린 밖으로 언제든지 나올 수 있다는 느낌을 받는 것이다.
이 영화는 무엇보다도 에술 텍스트의 본질, 예술 텍스트와 현실의 관계를 본질적으로 성찰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마땅하다.
여주인공과 대화하는 남자 주인공의 직업은? 2.작가
1.화가 2.작가 3.의사 4.배우
제시되는 세가지 이야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4.작가의 소설
1.작가가 하는 이야기 2.여주인공 굴나라가 하는 이야기 3.굴나라가 천사에게 보내는 영상편지 4.작가의 소설
여주인공이 하는 이야기의 분위기는 어떠한가? 3.서정적
1.낭만적 2.공식적 3.서정적 4.탐미적
이 영화의 배경이 되는 카자흐스탄의 도시는 어디인가? 알마아타
<300>
스파르타군과 페르시아의 대규모 병력이 치열하게 싸웠던 테르모필라이 전투에서 모티프. 프랭크 밀러의 동명 그래픽 노블을 영화화한 것. 치밀한 서사를 추구하기 보단 스파르타 전사들의 장열하고도 영웅적인 싸움에 대해 그려내고 있다. 영화를 통해 편안하게 쉬고 시청각적 즐거움을 향유하는데 알맞은 작품. 이 영화의 의식 수준은 ‘유아적‘이다. 다른 말로 성인의 의식인 ’개별적’ 의식이 아닌 ’복합적’ 의식이다. 어른에게 유아적 의식을 요구하는 작품.
영화의 형식
시각적인 장대함을 추구하면서도 시종 일관 화면 밖 또는 화면 안의 화자에 의한 나레이션을 사용하고 있다. 2000여 년 전 역사의 일에 대해서 관객들에게 말을 걸고 있지만 관객들은 그 말을 듣기 보다는, 보고 듣는다. 여기서 후자의 듣기는 전자의 화자의 이야기 듣기가 아니라 영화의 시각적 효과를 증폭시키기 위한 음향효과 듣기를 의미한다. 영화의 DTS사운드는 스파르타와 페르시아 병사들의 역동적인 움직임을 관객에게 더욱 입체적으로 전달한다. 영화 300 역시 문학에 많은
  • 가격3,300
  • 페이지수37페이지
  • 등록일2013.03.12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35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