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침착성을 되찾는 사이코패스의 성격과는 다른 듯이 보인다. 단지 광기에 사로잡힌 정신병자로 보일 뿐이었다.
영화를 보면서 사이코패시와 정신이상에 대한 특징을 구별해 내기가 힘들었다. 사이코패스의 판단을 환자를 오래 지켜보고 신중히 판단해야한다는 말을 이해할 수 있을 듯 하다. 처음 사이코패스는 치밀하고 살인을 계획하는 면을 가진 냉혈한 살인마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들은 충동에 약하고 행동제어능력이 떨어지며 조직생활에 어려움을 느끼는 인물이었다. 이사람이 사이코패스구나 하는 생각을 하다가도 그런 특징이 반사회적 성격이상에도 나타나는 특징이라는 점에서 더더욱 혼란을 느끼곤 했다. 어떠한 병이든 이상이든 전형적인 특징이 없다는 것도 혼란을 가중시켰다.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다라는 점도 어려서 옳고 그름을 학습할 때 그 학습이 잘못되어서 죄책감을 느끼지 않을 수도 있고 아니면 학습을 하였어도 이해, 공감할 수 없기 때문에 느끼지 않을 수도 있다. 현상만으로는 판단할 수 없는 것이다. 그 현상이 어디서 나타났는지 그 사람의 성장과정과 모든 행동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했을 때에만 정확한 판단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화 말미에 병원 아동그림전시에서 전준오는 그네 그림을 발견한다. 이 그림은 바탕에 빨강색이 어지럽게 색칠되어 있어 더더욱 위협적으로 다가온다. 그 아이는 어머니의 물음에도 무감한 표정을 짓는다. 어머니가 뭘 갖고 싶냐고 하자 강아지를 갖고 싶다고 한다. 어머니가 지난번에 잃어버리고 또냐고 묻자 소녀는 이렇어버린 것이 아니라고 한다. “아무한테도 말하지마 내가 그 강아지를 어떻게 했냐면...”
이로서 영화는 끝나는데 아마도 영화는 우리 주변에 사이코패스가 숨어있다 라는, 제일 무서운 것은 인간이라는 메시지를 주려고 한 것이라 여겨진다. 수많은 사이코패시 환자들이 모두에게 위협만 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연쇄살인범이 사이코패시 환자는 아니고 모든 사이코패시 환자가 연쇄살인마가 되는 것은 아니다. 처음에 대화에 대해 얘기했던 것처럼 대화란, 서로의 감정을 교류하는 따뜻한 대화가 사이코패시 환자들이 정상적인 생활을 하게 할 수 있지 않을까?
사이코패스들은 자신만의 규칙을 가진다. 그 규칙이 사회의 규범과 부합하지 않는다고 해도 그들은 그 규칙에 따라 행동한다. 죄의식은 자름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이며 사회적 통제수단이라고 여긴다. 그들이 법을 어기는 동기는 기묘한 권력욕과 성적 굶주림이 아니라 자기중심적 사고 방식 죽
영화를 보면서 사이코패시와 정신이상에 대한 특징을 구별해 내기가 힘들었다. 사이코패스의 판단을 환자를 오래 지켜보고 신중히 판단해야한다는 말을 이해할 수 있을 듯 하다. 처음 사이코패스는 치밀하고 살인을 계획하는 면을 가진 냉혈한 살인마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들은 충동에 약하고 행동제어능력이 떨어지며 조직생활에 어려움을 느끼는 인물이었다. 이사람이 사이코패스구나 하는 생각을 하다가도 그런 특징이 반사회적 성격이상에도 나타나는 특징이라는 점에서 더더욱 혼란을 느끼곤 했다. 어떠한 병이든 이상이든 전형적인 특징이 없다는 것도 혼란을 가중시켰다.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다라는 점도 어려서 옳고 그름을 학습할 때 그 학습이 잘못되어서 죄책감을 느끼지 않을 수도 있고 아니면 학습을 하였어도 이해, 공감할 수 없기 때문에 느끼지 않을 수도 있다. 현상만으로는 판단할 수 없는 것이다. 그 현상이 어디서 나타났는지 그 사람의 성장과정과 모든 행동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했을 때에만 정확한 판단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화 말미에 병원 아동그림전시에서 전준오는 그네 그림을 발견한다. 이 그림은 바탕에 빨강색이 어지럽게 색칠되어 있어 더더욱 위협적으로 다가온다. 그 아이는 어머니의 물음에도 무감한 표정을 짓는다. 어머니가 뭘 갖고 싶냐고 하자 강아지를 갖고 싶다고 한다. 어머니가 지난번에 잃어버리고 또냐고 묻자 소녀는 이렇어버린 것이 아니라고 한다. “아무한테도 말하지마 내가 그 강아지를 어떻게 했냐면...”
이로서 영화는 끝나는데 아마도 영화는 우리 주변에 사이코패스가 숨어있다 라는, 제일 무서운 것은 인간이라는 메시지를 주려고 한 것이라 여겨진다. 수많은 사이코패시 환자들이 모두에게 위협만 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연쇄살인범이 사이코패시 환자는 아니고 모든 사이코패시 환자가 연쇄살인마가 되는 것은 아니다. 처음에 대화에 대해 얘기했던 것처럼 대화란, 서로의 감정을 교류하는 따뜻한 대화가 사이코패시 환자들이 정상적인 생활을 하게 할 수 있지 않을까?
사이코패스들은 자신만의 규칙을 가진다. 그 규칙이 사회의 규범과 부합하지 않는다고 해도 그들은 그 규칙에 따라 행동한다. 죄의식은 자름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이며 사회적 통제수단이라고 여긴다. 그들이 법을 어기는 동기는 기묘한 권력욕과 성적 굶주림이 아니라 자기중심적 사고 방식 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