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전략적 제휴란?
1. 전략적 제휴의 개념 및 특징
2. 전략적 제휴의 목적 및 동기
3. 전략적 제휴의 유형
Ⅱ. 항공사들의 전략적 제휴
1. 세계 항공사 전략적 제휴 현황
1) 스타 얼라이언스 (Star Alliance)
2) 원월드 (One world)
3) 스카이팀 (Sky Team)
1. 전략적 제휴의 개념 및 특징
2. 전략적 제휴의 목적 및 동기
3. 전략적 제휴의 유형
Ⅱ. 항공사들의 전략적 제휴
1. 세계 항공사 전략적 제휴 현황
1) 스타 얼라이언스 (Star Alliance)
2) 원월드 (One world)
3) 스카이팀 (Sky Team)
본문내용
어난다.
③ 스카이팀 회원
178 개 국 983 여개 도시로 일일 약 14,816 편의 항공편을 운항하는 스카이팀은 17 개의 회원사 를 통해 더욱더 편리하게 세계를 여행하실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
★는 창설 회사에 해당된다.
2-7
④ 스카이팀 카고
스카이팀은 Global Alliance의 후발주자로서 강력한 기존 제휴와의 경쟁에서의 차별화를 꾀하기 위해, 2000년 9월 Global Alliance로서는 최초로 Cargo분야에서도 제휴를 시작했다.아에로멕시코, 에어프랑스, 델타, 대한항공 등 4개 항공사는 글로벌 노선망 이용, 공동 상품 및 서비스 제공, 주요 시장에서 예약 및 판매 서비스의 일원화, 공동 지상 조업을 통한 효율적인 화물 처리 등 완벽한 항공화물 수송 솔루션 제공이라는 기치를 내걸고 글로벌 얼라이언스 ‘스카이팀 카고 (SkyTeam Cargo)’를 공식 출범시켰다.
스타, 원월드, 스카이팀 등 세계 3대 글로벌 얼라이언스 중 화물부문의 글로벌 얼라이언스가 탄생하기는 스카이팀이 처음으로, 보유 항공기 1천70대, 전 세계 100개국에 411개 도시를 일일 6천8백10편씩 운항하는 매머드 급 항공화물 동맹체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제휴사들은 대 고객 서비스 전략, 판매조직, 판매활동 등의 제휴로 고객에게 표준화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각 사의 정보시스템의 연계로 고객이 일원화된 창구를 통해 최적 스케줄 조회, 항공화물 예약, 화물 추적 등을 하게 되었다. 또한 스카이팀 항공사를 이용하는 고객들에게는 북미, 남미, 유럽, 아시아에 걸친 SkyTeam Cargo의 세계적 노선망을 통해 원하는 목적지, 날짜, 출발시간에 가장 적합한 비행편에 대한 선택의 범위가 더욱 넓어졌다. 이제까지 글로벌 얼라이언스는 주로 여객 중심의 협력체였으나, 스카이팀이 처음으로 화물 분야의 연합체를 결성함으로써 전 세계적 화물노선망 제공, 판매 및 서비스 표준화, 공통 서비스 가능 부분 및 정보기술 시스템 협력 등으로 신속하고 편리한 화물수송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됐다.
SkyTeam Cargo 회원사의 연간 국제선 화물수송량은 1999년 실적기준 120억 톤-킬로미터(각 편당 수송톤수에 비행거리를 곱한 값의 합계)로, 세계 항공화물 수송량 928억 톤-킬로미터의 약13%를 점유하였다. 특히 1999년 국제선 항공화물 수송실적에서 대한항공은 1996년 이래 4년 연속 세계 2위를, 에어 프랑스는 4위를 기록하여 이들 항공사의 연합은 세계 항공화물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시키게 되었다. 스카이팀 카고는 세계 주요 거점도시를 연결하는 광범위한 노선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일일 총 8,217회의 항공 편수로 일관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01년 스카이팀 카고 회원 항공사들의 수송 실적은
2-8
151억 톤 킬로미터에 달한다. 멕시코시티, 밀라노 말펜사 공항, 서울 인천공항, 아틀란타, 프라하 루지네 공항, 파리 샤를 드골 공항, 암스테르담 스키폴 공항 등 주요 허브공항을 통하여 스카이팀 카고는 업계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세계 무역의 중심 도시들을 대부분 운항하고 있다. 지난 2000년 설립된 이후, 현재 스카이팀 카고의 취항도시는 411개에서 545개로, 취항국가는 100개에서 127개로, 항공화물 수송량은 연간 140억 톤 킬로미터에서 210억 톤 킬로미터로 성장하였다.
⑤ 스카이팀 특별 도장
2009년 10주년을 맞이하여 새롭게 선보인 특별도장
2) 스타 얼라이언스
① 스타얼라이언스란?
스타얼라이언스는 1997년 5월 Lufthansa, United Airline, SAS, Thai Int’l, Air Canada 및 Varig Brazilian Airline이 사실상 최초의 Global Alliance의 형태로 출범한 것이다. 미국과 유럽의 거대 항공사이면서 미국의 반독점 면제를 받은 Lufthansa와 United Airline을 주축으로 현재 총 15개 항공사를 회원으로 둔 거대한 그룹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스타얼라이언스는 양자간 협정을 모태로 확장된 의미의 코드쉐어링을 맺고 있다. 또한 “Round the world”라는 할인요금제도를 운영하고 있고, 비즈니스 여행객에게는 500 여 개가 넘는 제휴사들의 라운지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상용고객우대프로그램을 공유하고 있으며, 전 세계 주요 허브공항에서 동일터미널/동일카운터 사용 등 Seamless 서비스를 위한
2-9
적극적인 제휴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그리고 화물운송 협동조업, 공동구매, 공동광고 및 판촉행위 등 다방면에서 협조체제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미 거대한 항공사 그룹으로서의 규모를 구축한 스타얼라이언스는 당분간 신규 회원사 확대는 지양하면서, 제휴사 상호간의 유대 관계를 더욱 밀접하게 발전시키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Seamless Travel”은 여행의 출발에서부터 도착까지의 여행과정에서 다른 여행으로 전환하는 연결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간의 낭비 등을 제거하여 연속적인 여행이 되게 하는 것이다. 바로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 동일 항공사 연결여행은 물론 타 항공사, 호텔, 렌터카 회사 등과의 제휴를 통해 최소연결소요시간만 허용하고 바로 연결항공편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총 회원사
27사
무의결권 회원사
0사
가입예정 항공사
4사
취항 공항 수
1290개소
취항 국가 수
189 개국
연간 여객 수
65,362만명
보유 기재 수
4,386기
대표자
Mark Schwab (CEO)
웹 사이트
http://www.staralliance.com
② 스타얼라이언스의 혜택
상용고객은 스타얼라이언스 실버, 골드로 나뉘어서 차등하여 대우하는데 실버의 경우, 예약대기우선순위 스탠바이 우선순위, 수하물우선처리, 체크인우선처리, 수하물무게 및 개수 추가허용 등이 있습니다. 골드의 경우 큰 차이는 없지만 골드라운지 이용 수하물무게 및 개수의 추가허용 범위가 더 크다. 마일리지 적립은 스타얼라이언스 간 탑승마일리지는 동맹체내의 항공사에 적립가능 하다.
이 뿐 아니라 스타얼라이언스의 항공사끼리 같은 터미널을 이용하거나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여 효율적인 혜택을 보장하기도 한다.
③ 스카이팀 회원
178 개 국 983 여개 도시로 일일 약 14,816 편의 항공편을 운항하는 스카이팀은 17 개의 회원사 를 통해 더욱더 편리하게 세계를 여행하실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
★는 창설 회사에 해당된다.
2-7
④ 스카이팀 카고
스카이팀은 Global Alliance의 후발주자로서 강력한 기존 제휴와의 경쟁에서의 차별화를 꾀하기 위해, 2000년 9월 Global Alliance로서는 최초로 Cargo분야에서도 제휴를 시작했다.아에로멕시코, 에어프랑스, 델타, 대한항공 등 4개 항공사는 글로벌 노선망 이용, 공동 상품 및 서비스 제공, 주요 시장에서 예약 및 판매 서비스의 일원화, 공동 지상 조업을 통한 효율적인 화물 처리 등 완벽한 항공화물 수송 솔루션 제공이라는 기치를 내걸고 글로벌 얼라이언스 ‘스카이팀 카고 (SkyTeam Cargo)’를 공식 출범시켰다.
스타, 원월드, 스카이팀 등 세계 3대 글로벌 얼라이언스 중 화물부문의 글로벌 얼라이언스가 탄생하기는 스카이팀이 처음으로, 보유 항공기 1천70대, 전 세계 100개국에 411개 도시를 일일 6천8백10편씩 운항하는 매머드 급 항공화물 동맹체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제휴사들은 대 고객 서비스 전략, 판매조직, 판매활동 등의 제휴로 고객에게 표준화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각 사의 정보시스템의 연계로 고객이 일원화된 창구를 통해 최적 스케줄 조회, 항공화물 예약, 화물 추적 등을 하게 되었다. 또한 스카이팀 항공사를 이용하는 고객들에게는 북미, 남미, 유럽, 아시아에 걸친 SkyTeam Cargo의 세계적 노선망을 통해 원하는 목적지, 날짜, 출발시간에 가장 적합한 비행편에 대한 선택의 범위가 더욱 넓어졌다. 이제까지 글로벌 얼라이언스는 주로 여객 중심의 협력체였으나, 스카이팀이 처음으로 화물 분야의 연합체를 결성함으로써 전 세계적 화물노선망 제공, 판매 및 서비스 표준화, 공통 서비스 가능 부분 및 정보기술 시스템 협력 등으로 신속하고 편리한 화물수송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됐다.
SkyTeam Cargo 회원사의 연간 국제선 화물수송량은 1999년 실적기준 120억 톤-킬로미터(각 편당 수송톤수에 비행거리를 곱한 값의 합계)로, 세계 항공화물 수송량 928억 톤-킬로미터의 약13%를 점유하였다. 특히 1999년 국제선 항공화물 수송실적에서 대한항공은 1996년 이래 4년 연속 세계 2위를, 에어 프랑스는 4위를 기록하여 이들 항공사의 연합은 세계 항공화물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시키게 되었다. 스카이팀 카고는 세계 주요 거점도시를 연결하는 광범위한 노선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일일 총 8,217회의 항공 편수로 일관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01년 스카이팀 카고 회원 항공사들의 수송 실적은
2-8
151억 톤 킬로미터에 달한다. 멕시코시티, 밀라노 말펜사 공항, 서울 인천공항, 아틀란타, 프라하 루지네 공항, 파리 샤를 드골 공항, 암스테르담 스키폴 공항 등 주요 허브공항을 통하여 스카이팀 카고는 업계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세계 무역의 중심 도시들을 대부분 운항하고 있다. 지난 2000년 설립된 이후, 현재 스카이팀 카고의 취항도시는 411개에서 545개로, 취항국가는 100개에서 127개로, 항공화물 수송량은 연간 140억 톤 킬로미터에서 210억 톤 킬로미터로 성장하였다.
⑤ 스카이팀 특별 도장
2009년 10주년을 맞이하여 새롭게 선보인 특별도장
2) 스타 얼라이언스
① 스타얼라이언스란?
스타얼라이언스는 1997년 5월 Lufthansa, United Airline, SAS, Thai Int’l, Air Canada 및 Varig Brazilian Airline이 사실상 최초의 Global Alliance의 형태로 출범한 것이다. 미국과 유럽의 거대 항공사이면서 미국의 반독점 면제를 받은 Lufthansa와 United Airline을 주축으로 현재 총 15개 항공사를 회원으로 둔 거대한 그룹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스타얼라이언스는 양자간 협정을 모태로 확장된 의미의 코드쉐어링을 맺고 있다. 또한 “Round the world”라는 할인요금제도를 운영하고 있고, 비즈니스 여행객에게는 500 여 개가 넘는 제휴사들의 라운지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상용고객우대프로그램을 공유하고 있으며, 전 세계 주요 허브공항에서 동일터미널/동일카운터 사용 등 Seamless 서비스를 위한
2-9
적극적인 제휴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그리고 화물운송 협동조업, 공동구매, 공동광고 및 판촉행위 등 다방면에서 협조체제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미 거대한 항공사 그룹으로서의 규모를 구축한 스타얼라이언스는 당분간 신규 회원사 확대는 지양하면서, 제휴사 상호간의 유대 관계를 더욱 밀접하게 발전시키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Seamless Travel”은 여행의 출발에서부터 도착까지의 여행과정에서 다른 여행으로 전환하는 연결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간의 낭비 등을 제거하여 연속적인 여행이 되게 하는 것이다. 바로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 동일 항공사 연결여행은 물론 타 항공사, 호텔, 렌터카 회사 등과의 제휴를 통해 최소연결소요시간만 허용하고 바로 연결항공편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총 회원사
27사
무의결권 회원사
0사
가입예정 항공사
4사
취항 공항 수
1290개소
취항 국가 수
189 개국
연간 여객 수
65,362만명
보유 기재 수
4,386기
대표자
Mark Schwab (CEO)
웹 사이트
http://www.staralliance.com
② 스타얼라이언스의 혜택
상용고객은 스타얼라이언스 실버, 골드로 나뉘어서 차등하여 대우하는데 실버의 경우, 예약대기우선순위 스탠바이 우선순위, 수하물우선처리, 체크인우선처리, 수하물무게 및 개수 추가허용 등이 있습니다. 골드의 경우 큰 차이는 없지만 골드라운지 이용 수하물무게 및 개수의 추가허용 범위가 더 크다. 마일리지 적립은 스타얼라이언스 간 탑승마일리지는 동맹체내의 항공사에 적립가능 하다.
이 뿐 아니라 스타얼라이언스의 항공사끼리 같은 터미널을 이용하거나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여 효율적인 혜택을 보장하기도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