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보행의 운동학
들어가기전에(서론)
1.보행분석의 역사적 관점
2.시간적서술과 공간적 서술
①보행주기
②입각기와 유각기
3.신체 질량중심의 이동과 조절
①질량중심의 이동
②운동역학적 에너지와 위치에너지에 대한 고려
4.관절 운동 형상학
①시상면에서의 운동형상학
1.골반
2.고관절
3.슬관절
4.족관절
5.제1족근중족관절
6.제1중족지절관절
②전두면에서의 운동형상학
1.골반
2.고관절
3.슬관절
4.족관절
5.발/거골하관절
③수평면에서의 운동 형상학
1.골반
2.대퇴골
3.경골
4.고관절
5.슬관절
6.족관절과 발
④체간과 상지의 운동형상학
1.체간
2.견관절
3.주관절
⑤에너지 소비를 최소화 하기 위한 운동형상학적 전략들
⑥질량중심의 수직이동을 최소화하기
들어가기전에(서론)
1.보행분석의 역사적 관점
2.시간적서술과 공간적 서술
①보행주기
②입각기와 유각기
3.신체 질량중심의 이동과 조절
①질량중심의 이동
②운동역학적 에너지와 위치에너지에 대한 고려
4.관절 운동 형상학
①시상면에서의 운동형상학
1.골반
2.고관절
3.슬관절
4.족관절
5.제1족근중족관절
6.제1중족지절관절
②전두면에서의 운동형상학
1.골반
2.고관절
3.슬관절
4.족관절
5.발/거골하관절
③수평면에서의 운동 형상학
1.골반
2.대퇴골
3.경골
4.고관절
5.슬관절
6.족관절과 발
④체간과 상지의 운동형상학
1.체간
2.견관절
3.주관절
⑤에너지 소비를 최소화 하기 위한 운동형상학적 전략들
⑥질량중심의 수직이동을 최소화하기
본문내용
족관절 배측굴곡이 10도까지 일어나게 된다. 발뒤꿈치떼기가 일어나려는 시점에서 족관절은 저측 굴곡되기 시작하여 발가락 떼기가 일어나려는 시점까지 최대 15-20도의 저측굴곡이 일어난다. 유각기 동안, 족관절은 지면에 발가락이 걸리지 않게 하기 위해 중립위치로 배측굴곡된다.
슬관절및 고관절과 유사하게 족관절에서의 운동제한은 비정상적인 보행 패턴을 유발한다. 예를 들어, 제한되 족관절 저측굴곡은 밀기를 감소하게 되고 이것은 걸음길이를 더 짧게 만든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아킬레스건의 단단함 때문에 입각기 동안 적절하게 일어나야 될 배측굴고이 결여 된다면, 발뒤꿈치 떼기가 일찍 나타나게 되는 튀어 오르는 유형의 보행을 초래 하게 된다.
첨족 변형이 있는 사람들은 과신전된 발으로 걷게 되어 발 뒤꿈치가 결코 지면과 접촉하지 못하게 된다.
이런한 상황은 뇌성마비가 있는 사람들에게서 흔히 관찰된다.
또한, 제한된 족관절 배측굴곡은 유각기 동안 발가락이 지면과 떨어져 있는것이 방해받게 된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슬관절 그리고 고관절의 증가된 굴곡이 요구 된다. 유각기에서의 제한된 배측굴곡은 저측굴곡근의 단단함, 하퇴의 강직, 또는 족관절 배측굴곡근의 약화를 유발하게 된다.
5.제1족근중족관절
족관절은 보행동안 발의 내측 종아치에 대한 전반적인 가동성에 기여 하는 적은 양의 배측굴고과 저측 굴곡을 갖고 있다.
6.제1중족지절관절
엄지발가락의 제1중족지절관절은 정상 보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발뒤꿈치 닿기에 있어 MTP(중족지절)관절은 약간 과신전 된다. 발뒤꿈치 닿기 직후에서부터 발뒤꿈치 떼기까지,MTP관절은 비교적 중립위치에 있게 된다. MTP 관절의 염좌와 같은 연부조직의 손상이나 퇴행에 의해 MTP관절의 과신전이 제한되면, 과도하게 발가락이 외측을 향하고 있는 보행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보행 패턴의 결과로 효율적인 밀기가 감고되게 된다. 또한 발가락이 외측을 향아고 있는 보행패턴은 슬관절과 발의 내측 구조물 및 무지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증가 시킨다.
②전두면에서의 운동형상학
전두면내에서의 관절 회전운동들은 시상면에서의 것과 비교하면 그 운동의 폭은적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전두면에서의 회전운동은 중요하며 특히 고관절과 거골하관절에서 그러하다.
1.골반
보행동안 골반에서 일어나는 전두면에서의 운동은 사람의 앞이나 뒤에서 장골능의 상승과 하강을 관찰 하는것이 제일 좋다. 입각기 하지이에서 일어나는 대퇴골에 대한골반의내전과 외전의결과로서 일어나게 되는 골반운동은 총10-15도의 최전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우측하지에 의한 체중수용기 동안, 우측 입각기 고관절에서 일어나는 대퇴골에 대한 골반의 내전에 의해 골반은 유각기 쪽으로 하강한다.(그림1-17A) 보행주기의 20%와60사이에서 우측 입각기 고관절은 점진적으로 외전하여, 좌측장골능을 상승기킨다. 대부분의 우측 유각기 동안, 좌측 입각기 고관절에서 일어나는 대퇴골에 대한 골반의 내전에 의해 우측 장골능은 점진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2.고관절
장졸능의 상승과 하갈 패턴은 전두면에서의 관전절 운동을 반영하는것이다(15-17B). 입각기 동안, 고관절의 전두면 운동은 거의 전적으로 대퇴골에 대한 골반의 움직임으로 초래된다. 유각기 동안, 자유롭게 움직이는 대퇴골 및 골반 또한 고관절이 중립의 전두면 위치로 되돌아 가도록 기여한다.
3.슬관절
관절의 구조와 측부인대들 때문에, 전두면에서의 슬관절은 안정되어 있다. 작은 양의 각 움직임이 일어나나, 그 양은 사람들마다 매우 차이가있다. 슬관절은 대개 초기유각기 동안 5도의 외전이 추가적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최대외전은 슬관절이 시상면에서 최대의 굴곡각도로 있을 때 나타 난다. 슬관절은 다음에 이러날 발뒤꿈치 닿기 이전에 약간 외전된 위치로 다시 돌아온다.
4.족관절
거퇴관절의 일차적인 운동동 배측굴곡과 저측굴곡이다. 족관절은 배측굴고과 함께 약간 외전되면서 외번되고 저측굴고과 함께 내전되면서 내번된다.
5.발/거골하관절
회내와 회외는 거골하관절과 횡족근 관절의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난다. 회내는 외번,외전, 그리고 배측굴곡이 결합되어 일어난 것이며, 회외는 내번, 내전, 그리고 저측굴곡이 결합되어 일어난 것이며, 회외는 내번, 내전, 그리고 저측굴곡이 결합되어 일어난 것이다.
발뒤꿈치 닿기에서, 거골하관절은 약2-3도 정도 내번된다.(그림(15-21). 발뒤꿈치 닿기 직후에, 종골의 빠른 외번이 시작되어 중간입각기 까지 계속되는데, 이때 약2도의 최대 외번
슬관절및 고관절과 유사하게 족관절에서의 운동제한은 비정상적인 보행 패턴을 유발한다. 예를 들어, 제한되 족관절 저측굴곡은 밀기를 감소하게 되고 이것은 걸음길이를 더 짧게 만든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아킬레스건의 단단함 때문에 입각기 동안 적절하게 일어나야 될 배측굴고이 결여 된다면, 발뒤꿈치 떼기가 일찍 나타나게 되는 튀어 오르는 유형의 보행을 초래 하게 된다.
첨족 변형이 있는 사람들은 과신전된 발으로 걷게 되어 발 뒤꿈치가 결코 지면과 접촉하지 못하게 된다.
이런한 상황은 뇌성마비가 있는 사람들에게서 흔히 관찰된다.
또한, 제한된 족관절 배측굴곡은 유각기 동안 발가락이 지면과 떨어져 있는것이 방해받게 된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슬관절 그리고 고관절의 증가된 굴곡이 요구 된다. 유각기에서의 제한된 배측굴곡은 저측굴곡근의 단단함, 하퇴의 강직, 또는 족관절 배측굴곡근의 약화를 유발하게 된다.
5.제1족근중족관절
족관절은 보행동안 발의 내측 종아치에 대한 전반적인 가동성에 기여 하는 적은 양의 배측굴고과 저측 굴곡을 갖고 있다.
6.제1중족지절관절
엄지발가락의 제1중족지절관절은 정상 보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발뒤꿈치 닿기에 있어 MTP(중족지절)관절은 약간 과신전 된다. 발뒤꿈치 닿기 직후에서부터 발뒤꿈치 떼기까지,MTP관절은 비교적 중립위치에 있게 된다. MTP 관절의 염좌와 같은 연부조직의 손상이나 퇴행에 의해 MTP관절의 과신전이 제한되면, 과도하게 발가락이 외측을 향하고 있는 보행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보행 패턴의 결과로 효율적인 밀기가 감고되게 된다. 또한 발가락이 외측을 향아고 있는 보행패턴은 슬관절과 발의 내측 구조물 및 무지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증가 시킨다.
②전두면에서의 운동형상학
전두면내에서의 관절 회전운동들은 시상면에서의 것과 비교하면 그 운동의 폭은적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전두면에서의 회전운동은 중요하며 특히 고관절과 거골하관절에서 그러하다.
1.골반
보행동안 골반에서 일어나는 전두면에서의 운동은 사람의 앞이나 뒤에서 장골능의 상승과 하강을 관찰 하는것이 제일 좋다. 입각기 하지이에서 일어나는 대퇴골에 대한골반의내전과 외전의결과로서 일어나게 되는 골반운동은 총10-15도의 최전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우측하지에 의한 체중수용기 동안, 우측 입각기 고관절에서 일어나는 대퇴골에 대한 골반의 내전에 의해 골반은 유각기 쪽으로 하강한다.(그림1-17A) 보행주기의 20%와60사이에서 우측 입각기 고관절은 점진적으로 외전하여, 좌측장골능을 상승기킨다. 대부분의 우측 유각기 동안, 좌측 입각기 고관절에서 일어나는 대퇴골에 대한 골반의 내전에 의해 우측 장골능은 점진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2.고관절
장졸능의 상승과 하갈 패턴은 전두면에서의 관전절 운동을 반영하는것이다(15-17B). 입각기 동안, 고관절의 전두면 운동은 거의 전적으로 대퇴골에 대한 골반의 움직임으로 초래된다. 유각기 동안, 자유롭게 움직이는 대퇴골 및 골반 또한 고관절이 중립의 전두면 위치로 되돌아 가도록 기여한다.
3.슬관절
관절의 구조와 측부인대들 때문에, 전두면에서의 슬관절은 안정되어 있다. 작은 양의 각 움직임이 일어나나, 그 양은 사람들마다 매우 차이가있다. 슬관절은 대개 초기유각기 동안 5도의 외전이 추가적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최대외전은 슬관절이 시상면에서 최대의 굴곡각도로 있을 때 나타 난다. 슬관절은 다음에 이러날 발뒤꿈치 닿기 이전에 약간 외전된 위치로 다시 돌아온다.
4.족관절
거퇴관절의 일차적인 운동동 배측굴곡과 저측굴곡이다. 족관절은 배측굴고과 함께 약간 외전되면서 외번되고 저측굴고과 함께 내전되면서 내번된다.
5.발/거골하관절
회내와 회외는 거골하관절과 횡족근 관절의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난다. 회내는 외번,외전, 그리고 배측굴곡이 결합되어 일어난 것이며, 회외는 내번, 내전, 그리고 저측굴곡이 결합되어 일어난 것이며, 회외는 내번, 내전, 그리고 저측굴곡이 결합되어 일어난 것이다.
발뒤꿈치 닿기에서, 거골하관절은 약2-3도 정도 내번된다.(그림(15-21). 발뒤꿈치 닿기 직후에, 종골의 빠른 외번이 시작되어 중간입각기 까지 계속되는데, 이때 약2도의 최대 외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