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 닌하이드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단백질 닌하이드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실기(carboxy1, -COOH)기를 가지고 있는 화합물로서 단백질의 기본 단위 화합물로 단백질을 가수분해하여 얻는다. 측쇄구조가 수소인 아미노산인 proline과 hydroxyproline을 제외한 단백질을 구성하는 모든 아미노산은 α- 탄소 위치에 아미노기를 갖는 카르복실산인 α-아미노산이다. α-탄소가 비대칭 탄소원자이므로 L-형과 D-형의 두 입체 이성체가 생긴다 그리고 이를 구분하는 방법은 아미노산이 입체적인 사면체로 생각하면 강단에 카복실기를 배치하고 하단에 측쇄를 배치한 구조에서, 아미노기가 오른쪽에 있는 것을 D-형, 외쪽에 있는 것을 L-형이라고 한다.
그리고 단백질이 생체 내에서 기능을 유기하기 위해서는 온전한 구조를 유지해야 한다. 단백질의 구조가 열이나 pH, 기타 화학반응에 의해 비가역적으로 변하여 단백질의 기능을 잃는 현상을 변성(denaturation)이라 한다.
COOH
|
H2N- C - H
|
R
L-α-amino acid
COOH
|
H - C - NH2
|
R
D-α-amino acid
단백질 구조
1차 구조 : 단백질을 구성하고 있는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의 아미노산 배열순서로 disulfide 결합 등의 공유결합 위치를 나타낸 구조로 이것이 모여 단백질 분자를 형성한다
2차 구조 : 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된 아미노산 분자들이 사이에 2차 결합인 수소결합에 의해 안정화된 구조이다
3차 구조 : 단백질간의 소수성 결합, 수소결합 등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적 이체형태이다.
4차 구조 : 몇 개의 단백질 분자가 모여서 한 개의 기능을 갖는 단백질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3.26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61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