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문제 제기
2. 연구 방향
Ⅱ. 본 론
1. <흥부전>에 대한 기존의 관점
2. <흥부전>의 비판적 계승
2.1 오찬식, <흥부傳>
2.2 최인훈, <놀부뎐>
3. 흥부와 놀부의 현대적 재해석
3.1 흥부, 게으르고 무능한 낙오자
3.2 놀부, 자립심과 자기계발로 무장한 선두주자
4. <흥부전>의 현대적 변용 사례
Ⅲ. 결 론: 놀부, 현대시민의 한 원형(原型)
1. 문제 제기
2. 연구 방향
Ⅱ. 본 론
1. <흥부전>에 대한 기존의 관점
2. <흥부전>의 비판적 계승
2.1 오찬식, <흥부傳>
2.2 최인훈, <놀부뎐>
3. 흥부와 놀부의 현대적 재해석
3.1 흥부, 게으르고 무능한 낙오자
3.2 놀부, 자립심과 자기계발로 무장한 선두주자
4. <흥부전>의 현대적 변용 사례
Ⅲ. 결 론: 놀부, 현대시민의 한 원형(原型)
본문내용
는데 맡은 역할은 주연배우가 옷 벗는 장면의 대역이라고 말한다.
(7) 흥부는 딸의 영화 출연을 반대하나 셋째 딸은 부정과 퇴폐로 얼룩진 세상에서 혼자 고고하게 살 수 없다며 아버지를 설득하려 한다.
(8) 흥부는 놀부의 사무실로 가 도움을 구하나 거절당한다.
(9) 말다툼 도중 놀부의 부인이 끼어들게 되고 흥부는 놀부의 부인과 한바탕 다투다 놀부 부인의 핸드백에서 쏟아진 돈을 줍는다.
(10) 흥부가 돈을 가져오자 식구들은 그 돈을 어떻게 쓸지 가족회의를 한다.
(11) 결국 식구들이 각각 복권을 사서 추첨결과를 기다리나 액수가 적은 복권 몇 장만 당첨되고 나머지는 허탕을 쳤다.
오찬식의 <흥부전>에서 흥부는 현실감각이 떨어지며 부족한 자립심이 강조되고 있다. 현실감각이 떨어지는 흥부는 부모로부터 받은 유산이 적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다 날리고 가난하게 산다. 또한 박 대신에 등장한 놀부의 부인으로부터 얻은 돈을 가지고 복권을 사는데, 이러한 행위 역시 한순간의 대박을 노리는 비현실적인 사고에서 나왔다고 볼 수 있다. 고전소설 <흥부전>에서의 흥부는 박을 타기 전에 사행심(射倖心)을 갖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오찬식의 <흥부전>에서 흥부는 대박을 노려, 가게를 열자는 아내와 큰아들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이수진, ‘<흥부전>의 현대적 수용 양상’, 2008
결국 다수결로 정하기로 하여 복권을 사자는 쪽이 우세하는데 이는 흥부 식구들 또한 요행을 바라며 현실적으로 판단하는 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찬식의 <흥부전>에서는 흥부가 심술을 부리는 인물로 등장하는데 이에 대한 단서는 다음에서 드러난다.
하긴 세상만사가 돈만 있으면 힘들 게 없지만, 그것을 소유하기까지가 보통의 노력을 가지고는 아니되니 이 어찌 힘드는 일이 아니랴.
하기야 운좋은 녀석들은 땡전 한푼 없이도 적당한 계수조작으로 요령껏 (눈가리고 야옹식으로) 돈도 잘 벌어들이던데.
따라서 다른 한편으로는 복권을 사는 심리 역시 가난하고 무능한 흥부가 유일하게 기대할 수 있는 선택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요행은 역시나 가난에서 벗어나게 하는 현실적 대안이 되지는 못했지만 흥부의 비뚤어진 심성과 사행심은 자본주의 사회와 부정부패 속에서 낙오자가 된 서민들의 심정을 대변하는 사회 풍자적인 요소이기도 하다.
2.2 최인훈, <놀부뎐>
최인훈의 <놀부뎐>(1976)은 놀부를 주인공으로 등장시켜 놀부의 넋두리 형식으로 사건을 서술하고 있다. 놀부의 부정적인 이미지는 그동안 독자들의 의식 속에 각인되어온 고정관념으로, 놀부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작가의 의도가 담겨있다고 볼 수 있다. <놀부뎐>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1) 흥부와 놀부 형제가 살았는데, 형 놀부는 부지런하고 이해타산에 밝은 반면, 흥부는 세상 물정 모르고 무능하다.
(2) 흥부와 놀부는 가산을 갈라 가졌는데 흥부는 사기를 당해 재산을 날리고 빈털터리가 되었다.
(3) 식구가 많은 흥부는 생활고에 시달려 매품을 팔기도 했다.
(4) 흥부는 놀부에게 도움을 구하러 갔다가 도리어 매만 맞고
(7) 흥부는 딸의 영화 출연을 반대하나 셋째 딸은 부정과 퇴폐로 얼룩진 세상에서 혼자 고고하게 살 수 없다며 아버지를 설득하려 한다.
(8) 흥부는 놀부의 사무실로 가 도움을 구하나 거절당한다.
(9) 말다툼 도중 놀부의 부인이 끼어들게 되고 흥부는 놀부의 부인과 한바탕 다투다 놀부 부인의 핸드백에서 쏟아진 돈을 줍는다.
(10) 흥부가 돈을 가져오자 식구들은 그 돈을 어떻게 쓸지 가족회의를 한다.
(11) 결국 식구들이 각각 복권을 사서 추첨결과를 기다리나 액수가 적은 복권 몇 장만 당첨되고 나머지는 허탕을 쳤다.
오찬식의 <흥부전>에서 흥부는 현실감각이 떨어지며 부족한 자립심이 강조되고 있다. 현실감각이 떨어지는 흥부는 부모로부터 받은 유산이 적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다 날리고 가난하게 산다. 또한 박 대신에 등장한 놀부의 부인으로부터 얻은 돈을 가지고 복권을 사는데, 이러한 행위 역시 한순간의 대박을 노리는 비현실적인 사고에서 나왔다고 볼 수 있다. 고전소설 <흥부전>에서의 흥부는 박을 타기 전에 사행심(射倖心)을 갖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오찬식의 <흥부전>에서 흥부는 대박을 노려, 가게를 열자는 아내와 큰아들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이수진, ‘<흥부전>의 현대적 수용 양상’, 2008
결국 다수결로 정하기로 하여 복권을 사자는 쪽이 우세하는데 이는 흥부 식구들 또한 요행을 바라며 현실적으로 판단하는 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찬식의 <흥부전>에서는 흥부가 심술을 부리는 인물로 등장하는데 이에 대한 단서는 다음에서 드러난다.
하긴 세상만사가 돈만 있으면 힘들 게 없지만, 그것을 소유하기까지가 보통의 노력을 가지고는 아니되니 이 어찌 힘드는 일이 아니랴.
하기야 운좋은 녀석들은 땡전 한푼 없이도 적당한 계수조작으로 요령껏 (눈가리고 야옹식으로) 돈도 잘 벌어들이던데.
따라서 다른 한편으로는 복권을 사는 심리 역시 가난하고 무능한 흥부가 유일하게 기대할 수 있는 선택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요행은 역시나 가난에서 벗어나게 하는 현실적 대안이 되지는 못했지만 흥부의 비뚤어진 심성과 사행심은 자본주의 사회와 부정부패 속에서 낙오자가 된 서민들의 심정을 대변하는 사회 풍자적인 요소이기도 하다.
2.2 최인훈, <놀부뎐>
최인훈의 <놀부뎐>(1976)은 놀부를 주인공으로 등장시켜 놀부의 넋두리 형식으로 사건을 서술하고 있다. 놀부의 부정적인 이미지는 그동안 독자들의 의식 속에 각인되어온 고정관념으로, 놀부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작가의 의도가 담겨있다고 볼 수 있다. <놀부뎐>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1) 흥부와 놀부 형제가 살았는데, 형 놀부는 부지런하고 이해타산에 밝은 반면, 흥부는 세상 물정 모르고 무능하다.
(2) 흥부와 놀부는 가산을 갈라 가졌는데 흥부는 사기를 당해 재산을 날리고 빈털터리가 되었다.
(3) 식구가 많은 흥부는 생활고에 시달려 매품을 팔기도 했다.
(4) 흥부는 놀부에게 도움을 구하러 갔다가 도리어 매만 맞고
추천자료
고전소설의 이해 (인하대) 시험 족보
한국고전소설에 나타난 환상성에 대한 이해
고전소설의 총체적 이해
[고전소설][운영전][고전문학][고전][소설]고전소설 운영전의 특징, 고전소설 운영전의 소개,...
[고전소설의 이해] 박지원의 민옹전, 김신선전 분석과 문학테라피(Therapy)
[고전소설의 이해] 판소리<춘향가>와 오페라<피가로의 결혼>의 비교 분석 및 특징과 유사성
[고전소설의 이해] 고전소설 창선감의록을 통해 바라본 여성의 주체성과 여성상 분석 및 의의
[고전소설의 이해] 고전소설 바리공주를 통해 살펴본 우리 민족의 민속종교문화 - 무와 바리공주
[고전소설의 이해] 고전소설 속 유토피아, 이상적인 사회였을까? - 소설 「허생전, 홍길동전,...
[고전소설 분석] 고전소설 임경업전의 이해와 작품분석, 작가분석 및 역사적 가치 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