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시대 구분에 따른 한국 조선 산업
1) 1970년대 한국의 조선 산업
2) 1980년대 한국의 조선 산업
3) 1990년대 이후 한국의 조선 산업
2. 한국 조선 산업의 발전 과정
3. 조선 산업의 특징
4. 한국 조선 산업의 성장 및 구조변화
5. 한국 조선 산업의 위상
6. 한국 조선 산업의 경쟁력
1) 물류 비용 절감
2) 자재 국산화
3) 신공법 개발
4) 고객의 신뢰 확보
5) 경쟁사와 차별화
6) 고객 맞춤화
7) 기술 경쟁력 확보
8) 리스크 분산
7. 한국 조선 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
1) 고부가가치선으로 선종 전문화
2) 조선사별 선종 및 선형 특화
3) 수리조선업 전환 검토
4) 설계기관 설립
5) 심해저(Subsea) 시스템
8. 한국 조선 산업 전망
9. 한국 조선 산업에 대한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시대 구분에 따른 한국 조선 산업
1) 1970년대 한국의 조선 산업
2) 1980년대 한국의 조선 산업
3) 1990년대 이후 한국의 조선 산업
2. 한국 조선 산업의 발전 과정
3. 조선 산업의 특징
4. 한국 조선 산업의 성장 및 구조변화
5. 한국 조선 산업의 위상
6. 한국 조선 산업의 경쟁력
1) 물류 비용 절감
2) 자재 국산화
3) 신공법 개발
4) 고객의 신뢰 확보
5) 경쟁사와 차별화
6) 고객 맞춤화
7) 기술 경쟁력 확보
8) 리스크 분산
7. 한국 조선 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
1) 고부가가치선으로 선종 전문화
2) 조선사별 선종 및 선형 특화
3) 수리조선업 전환 검토
4) 설계기관 설립
5) 심해저(Subsea) 시스템
8. 한국 조선 산업 전망
9. 한국 조선 산업에 대한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0년까지 심해저 기자재는 연평균 10%, 생산된 원유와 가스를 해상플랫폼에 이송하는 장비인 URF(Umbilical, Riser, Flowline)는 연평균 8%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심해저 시스템 공급능력을 갖춘 업체들은 유럽과 미국의 몇 개사에 불과하고 기술상의 진입장벽 또한 높은 블루오션으로, 진입장벽을 고려한 순차적 사업 확장이 필요하다.
8. 한국 조선 산업 전망
2013년도 전 세계 신조선 시장은 여전히 상선부문의 부진과 해양부문의 비교적 활발한 움직임이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 될 전망된다. 상선부문에서 벌크선, 유조선 등 범용선박은 중국의 자국선박 발주가 중심이 된 시황 예상된다. 다만, 상선부문에서는 최신 고연비 선박투자에 의한 움직임이 그나마 신조선 시장을 다소 촉진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컨테이너선은 연비에 가장 민감한 시장으로 고연비 그린쉽투자로 금년보다는 호전된 시황이 될 것으로 예상되나 선주들과 금융의 자금 상황을 고려할 때 대규모의 수주가 이루어지는 정도는 아닐 것으로 예상된다. LNG선은 2016년 미국 셰일가스 수출에 대한 선박수요 발주물량들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어 금년대비 호전된 시황이 될 전망된다. 상선 중에서는 LPG선과 제품운반선이 금년의 흐름을 이어가며 어려운 가운데에서도 타 선종에 비하여 비교적 활발한 시황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해양부문에서는 drill-ship의 발주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FPSO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FSRU는 셰일가스의 개발에 따른 중소규모 수입국가의 수요증가로 발주가 점차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2013년 한국 조선산업의 수주량은 금년대비 약 9% 증가한 730만CGT에 불과하여 여전히 수주 침체를 벗어나지는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선종별로는 벌크선과 유조선의 수주가 큰 폭의 감소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컨테이너선과 LNG선은 금년대비 약 50%와 40%씩 각각 증가 전망된다. 그 외에 상선으로는 제품운반선과 LPG선이 20% 내외의 수주증가 전망된다. 해양부문에서는 drill-ship의 수주가 약 3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나 FPSO의 수주가 100%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주액은 금년대비 약 1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수출액이 해운시황 부진 등의 원인으로 약 3% 감소할 전망된다. 수주액은 FPSO 등 대형 해양플랜트 수주에 힘입어 약 11% 증가한 311억달러 내외 전망된다. 수출액은 금융위기 이후 지속적으로 선가하락 시기 물량이 출회되고 계약차질에 의한 물량도 예상되어 금년대비 약 3% 감소한 390억 달러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9. 한국 조선 산업에 대한 시사점
1) 글로벌 경기침체로 중국 조선산업 구조조정 가속화 전망
글로벌 과잉설비 해소 압박은 중국 조선산업에 큰 부담이다. 한국의 대형조선사는 해상플랫폼 분야에 적극 진출하여 일반상선 수주침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있으며, 중소형 조선사는 시장 중심의 설비조정을 상당부분 진행 중이다.
2) 일반상선 시장 침체로 신수종 사업인 해양플랜트 경쟁 심화
중국 정부의 해양플랜트 육성 정책으로 2015년 이후 경쟁이 본격화 될 전망이다. 국내 대형조선사는 선박을 기본으로 하는 해상플랫폼의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건조경험을 쌓아가며 해양플랜트 시장에서 선두 지위를 유지해야 한다. 또한 중국의 해양플랜트 산업은 국내 보유자원 활용, 자국 발주 등으로 수주가 증가 추세에 있다.
3) 해양플랜트 시장의 블루오션인 심해저 시스템 진출 필요
성장성 큰 심해저 시스템 시장 진출을 위한 정책적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연근해 설치사업 중심으로 건조경험을 쌓아 사업영역을 확대해나갈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육성 전략이 필요하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한국의 조선 산업에 관해 논해보았다. 산업 및 수급 구조가 유사한 한국 조선산업이 세계 최강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은, 한국 건설산업도 세계 최강으로 갈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국내 산업은 현시점에서 내실을 다져 해외 시장에 도전하기보다는 조선산업처럼 달성할 목표를 수립한 후 과감하게 실행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글로벌 인력 양성 및 선진 기술력을 완벽하게 확보한 후 진출하기보다는 해외시장 진출과 동시에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병행하는 전략이 바람직하다. 한국 산업을 세계 1위의 자리에 오르게 하기 위해서는 국가 신성장 동력으로 지정,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재인식해야 한다. 조선산업 벤치마킹 결과, 글로벌 리더의 위치에 이르는 것이 산업 차원의 노력으로만 실현되는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수 시장에 맞춰져 있는 각종 관련 제도를 글로벌 시장에 맞춰 개정하고, 해외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기업 및 기술자를 양산하기 위한 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해외 시장에서의 경쟁을 위해서는 조선산업과 마찬가지로 경쟁 대상에 따른 차별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즉, 선진 기업과의 경쟁에서는 ‘대등한 기술력과 생산성 차별화’로, 신흥국의 기업들과의 경쟁에서는 ‘앞선 기술력과 품질’로 승부를 거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한국 산업도 도급 시장 중심에서 신규 시장과 사업을 개발하는, 즉 타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전략과 생산성 혁신 전략을 통한 사업 영역 확대 등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조선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전략을 벤치마킹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영역의 발굴 혹은 사업 다각화 측면에서 조선산업의 융합을 통한 신상품 개발에 적극적이고도 긍정적인 시도가 필요한 시기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전은경 외, 조선산업의 현황과 정책과제, 국회입법조사처, 2009
정영근 외, 한국 조선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 2011
홍성인, 중국 조선산업의 부상과 대응전략, 대한조선학회, 2004
홍성인, 한국 조선산업의 글로벌 경쟁과 차별화 전략, 산업연구원, 2008
유병세, 조선산업 선진화를 위한 전략, 대한조선학회, 2004
김영훈, 국내조선산업의 현황과 과제, 한국경제학회, 2008
정은혜, 우리나라 조선산업의 구제경쟁력 제고방안에 과한 연구, 동아대학교, 2005
8. 한국 조선 산업 전망
2013년도 전 세계 신조선 시장은 여전히 상선부문의 부진과 해양부문의 비교적 활발한 움직임이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 될 전망된다. 상선부문에서 벌크선, 유조선 등 범용선박은 중국의 자국선박 발주가 중심이 된 시황 예상된다. 다만, 상선부문에서는 최신 고연비 선박투자에 의한 움직임이 그나마 신조선 시장을 다소 촉진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컨테이너선은 연비에 가장 민감한 시장으로 고연비 그린쉽투자로 금년보다는 호전된 시황이 될 것으로 예상되나 선주들과 금융의 자금 상황을 고려할 때 대규모의 수주가 이루어지는 정도는 아닐 것으로 예상된다. LNG선은 2016년 미국 셰일가스 수출에 대한 선박수요 발주물량들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어 금년대비 호전된 시황이 될 전망된다. 상선 중에서는 LPG선과 제품운반선이 금년의 흐름을 이어가며 어려운 가운데에서도 타 선종에 비하여 비교적 활발한 시황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해양부문에서는 drill-ship의 발주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FPSO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FSRU는 셰일가스의 개발에 따른 중소규모 수입국가의 수요증가로 발주가 점차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2013년 한국 조선산업의 수주량은 금년대비 약 9% 증가한 730만CGT에 불과하여 여전히 수주 침체를 벗어나지는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선종별로는 벌크선과 유조선의 수주가 큰 폭의 감소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컨테이너선과 LNG선은 금년대비 약 50%와 40%씩 각각 증가 전망된다. 그 외에 상선으로는 제품운반선과 LPG선이 20% 내외의 수주증가 전망된다. 해양부문에서는 drill-ship의 수주가 약 3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나 FPSO의 수주가 100%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주액은 금년대비 약 1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수출액이 해운시황 부진 등의 원인으로 약 3% 감소할 전망된다. 수주액은 FPSO 등 대형 해양플랜트 수주에 힘입어 약 11% 증가한 311억달러 내외 전망된다. 수출액은 금융위기 이후 지속적으로 선가하락 시기 물량이 출회되고 계약차질에 의한 물량도 예상되어 금년대비 약 3% 감소한 390억 달러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9. 한국 조선 산업에 대한 시사점
1) 글로벌 경기침체로 중국 조선산업 구조조정 가속화 전망
글로벌 과잉설비 해소 압박은 중국 조선산업에 큰 부담이다. 한국의 대형조선사는 해상플랫폼 분야에 적극 진출하여 일반상선 수주침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있으며, 중소형 조선사는 시장 중심의 설비조정을 상당부분 진행 중이다.
2) 일반상선 시장 침체로 신수종 사업인 해양플랜트 경쟁 심화
중국 정부의 해양플랜트 육성 정책으로 2015년 이후 경쟁이 본격화 될 전망이다. 국내 대형조선사는 선박을 기본으로 하는 해상플랫폼의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건조경험을 쌓아가며 해양플랜트 시장에서 선두 지위를 유지해야 한다. 또한 중국의 해양플랜트 산업은 국내 보유자원 활용, 자국 발주 등으로 수주가 증가 추세에 있다.
3) 해양플랜트 시장의 블루오션인 심해저 시스템 진출 필요
성장성 큰 심해저 시스템 시장 진출을 위한 정책적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연근해 설치사업 중심으로 건조경험을 쌓아 사업영역을 확대해나갈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육성 전략이 필요하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한국의 조선 산업에 관해 논해보았다. 산업 및 수급 구조가 유사한 한국 조선산업이 세계 최강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은, 한국 건설산업도 세계 최강으로 갈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국내 산업은 현시점에서 내실을 다져 해외 시장에 도전하기보다는 조선산업처럼 달성할 목표를 수립한 후 과감하게 실행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글로벌 인력 양성 및 선진 기술력을 완벽하게 확보한 후 진출하기보다는 해외시장 진출과 동시에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병행하는 전략이 바람직하다. 한국 산업을 세계 1위의 자리에 오르게 하기 위해서는 국가 신성장 동력으로 지정,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재인식해야 한다. 조선산업 벤치마킹 결과, 글로벌 리더의 위치에 이르는 것이 산업 차원의 노력으로만 실현되는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수 시장에 맞춰져 있는 각종 관련 제도를 글로벌 시장에 맞춰 개정하고, 해외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기업 및 기술자를 양산하기 위한 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해외 시장에서의 경쟁을 위해서는 조선산업과 마찬가지로 경쟁 대상에 따른 차별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즉, 선진 기업과의 경쟁에서는 ‘대등한 기술력과 생산성 차별화’로, 신흥국의 기업들과의 경쟁에서는 ‘앞선 기술력과 품질’로 승부를 거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한국 산업도 도급 시장 중심에서 신규 시장과 사업을 개발하는, 즉 타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전략과 생산성 혁신 전략을 통한 사업 영역 확대 등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조선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전략을 벤치마킹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영역의 발굴 혹은 사업 다각화 측면에서 조선산업의 융합을 통한 신상품 개발에 적극적이고도 긍정적인 시도가 필요한 시기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전은경 외, 조선산업의 현황과 정책과제, 국회입법조사처, 2009
정영근 외, 한국 조선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 2011
홍성인, 중국 조선산업의 부상과 대응전략, 대한조선학회, 2004
홍성인, 한국 조선산업의 글로벌 경쟁과 차별화 전략, 산업연구원, 2008
유병세, 조선산업 선진화를 위한 전략, 대한조선학회, 2004
김영훈, 국내조선산업의 현황과 과제, 한국경제학회, 2008
정은혜, 우리나라 조선산업의 구제경쟁력 제고방안에 과한 연구, 동아대학교, 2005
추천자료
- 삼성중공업의 기업문화와 한국 조선업계 발표 PPT
- 한국건축사 조선시대 건축역사
- 한국사 조선후기 민란
- 1810년대 조선사회, 1840년대 보수당, 1860년대 농민항쟁과 거창민란, 1880년대 리스트작품과...
- [일제시대]일제시대(식민지시대, 일제강점기, 일제시기)의 조선시가지계획령, 도시발달, 일제...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제4판) 3권 9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 : 제1기 조선후기)
- 한국 조선시대 조경 - 별서정원
- 한국 조선시대 조경 - 주택정원
- [한국민족운동사] 1930년대 노동운동(노동운동의 배경과 조선 노동자들의 노동조건과 생활상...
- [한국민족운동사] 조선공산당 - 1920년대 사회주의 운동, 조선공산당의 조직과 활동, 조선공...
- [한국문학사] 조선 전기문학의 특징 - 『조선 전기의 특징』, 『조선 전기의 시조』, 『조선 ...
- [한국문학개론] 가사 문학(歌辭文學) - 가사의 정의, 가사의 발생, 최초의 가사, 조선 후기의...
- [한국문학개론]조선시대 전기 악장, 시조 - 조선 전기 시대의 배경과 시조 및 악장의 이해
- 한국역사에서의 교육철학 {삼국시대·고려시대·조선시대의 교육과 철학, 개화기 민족수난기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