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방언의 특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강원도 방언의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강원도 방언과 그 구획

Ⅱ. 강원도 방언의 주요 특징들
 1. 음운적 특징
 2. 문법적 특징
 3. 어휘적 특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마\'→\'가매\', \'가르마\'→\'가르매/가름배\', \'턱\'→\'택\' \'얼마\'→\'얼매\'
음절말
자음군
영동방언에서 \'-ㄺ,-ㄼ\'의 경우 후행하는 자음을 탈락시키고 \'ㄹ\'음이 보존되는 경향을 보임
\'늙+지→늘찌, 읽+다가→일따가, 흙+도→흘뚜, 밟+지→발찌\'
ㄷ변칙
활용
영동 방언에는 ㄷ변칙 활용이 없음, 경음화 현상 활발
\'묻다\'- 물:는다, 물:째, 물:뜨라
ㄹ불규칙
활용
\'ㄹ\' 탈락현상이 광범위하게 일어남
머:지두(←멀지도), 노:더(←놀다), 파면(←팔면), 맹그고(←맹글고)
모음조화
강릉과 삼척방언에서 자음으로 끝난 어간에 반말체 종결어미로 양성모음의 어미 \'-아\'가 통합됨 \'먹아, 싫아, 추와\'
활음화
삼척 방언에서는 말음이 \'우\'로 끝난 동사 어간에 어미 \'-어\'가 연결될 때 \'-와:\'로 실현 담배 하나 좌:! (담배 하나 주어!)
하우체 어미 \'-우\'에 \'-아\'가 통합된 경우에도 \'-와\'로 실현됨
어대 가시와? (어디 가시우?)
영동 방언에서는 순음을 제외한 자음들이 \'ㅜ\'에 선행하면 \'ㅗ:\' 로 실현됨 \'조:(←주어), 바꼬:(←바꾸어)\'
단모음 \'y(ㅟ)\'로 끝나는 어간 뒤에 연결어미 \'-어\' 결합시 \'외:\'로 실현됨 \'`쇠:서(쉬어서)\', \'`뙤:야(뛰어야)\'
활용시의 음운축약
선어말어미 \'-았/었-\', \'-겠-\'+ 해라체 의문형 어미 \'-나?\', 관형형 어미 \'-는\' 통합될 경우 \'ㅆ\'과 축약되어 \'-ㄴ\'으로 나타남
\'어대 있나?→어대 인:? 떨어지갰나?→떨어지갠?\'
\'먹언 사람(←먹은 사람), 완 사람(←온 사람)\'
2. 문법적 특징
문법
조어
어간의 합성이 눈에 띔 \'

추천자료

  • 가격1,1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4.08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82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