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조사목적
2. 조사내용
1) 국내 조선업계의 선박건조공법 및 종류
2) 각 건조공법의 장단점
3. 결론
2. 조사내용
1) 국내 조선업계의 선박건조공법 및 종류
2) 각 건조공법의 장단점
3. 결론
본문내용
제거하여 자연적으로 배를 뛰울 수 있는 시스템.
플로팅 도크
(floating dock) 공법
배의 건조 장소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지어진, 굉장히 넓고 평평한 box 형태의 배(플로팅도크)를 이용한 건조 방법은 floating dock위에서 배를 건조한 후 floating dock를 물속에 가라 앉히면 자연적으로 그 위에 있었던 배가 진수 됨.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육상건조공법
(Skid Launching System) 공법
SLS
육상에서 건조한 선박을 skid-rail(육상에서 해상으로 이동시키는 운송 수단)을 이용하여 반잠수식 바지선까지 이동후 반 잠수식 바지를 해상으로 이동하여 바지선을 잠수 시켜 선박을 부상하여 예인선을 통하여 선박을 진수하게 하는 공법
현대중공업 , STX
진수 통상적인 선박 건조용 도크
(Dock)를 건설할 필요없이 육상에서 선박을 건조한 후 안벽에 연결되어 있는 스키드바지(Skid Barge)를 이용하여 진수하는신개념공법SLS
Rendezvous On the Sea for Erection 공법
(rose 공법)
공법육상(skid berth)에서 7~9개의ring 블록으로 선박을 건조하여 해상을 통해 Floating Dock로 이동 및 탑재, Floating Dock sinking 후진수하는 신개념의 해상 건조 공법
댐공법
도크보다 길이가 긴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 도크에서 도크내 탑재가 가능한 길이 만큼 선박을 건조해 진수하고, 도크를 초과하는 구간은 육상에서 만든 뒤, 이어 해상에서 이 두 부분을 용접. 접합 시키는 공법.
(바다속에 물막이용 댐을 만들고 물을 빼낸 뒤 용접하는 방식)
한진중공업
메가블럭 공법
기존 블록보다 5~6배나 큰 3천t급 이상 초대형 블록을 제작한 뒤 조립
메가블록방식< 기가블록방식<
테라블록방식
삼성중공업
해상크레인 동기화 시스템
3천600t급 해상크레인 2대를 나란히 연결해 1대처럼 동시에 운전하면서 6천t급 대형블록을 들어 올려 선박에 탑재하는 기술이다.
대우조선
해양
텐덤(Tandem)
공법
도크에서 한 척의 선박을 건조하면서 도크내 여유공간에서 후속선박의 일부분을 함께 건조해 공간 활용성 및 생산량을 획기적으로 극대화하는 방법
대한조선
2) 각 건조공법의 장단점
건조공법
장점
단점
육상건조기법
도크부족문제 해결. 경제성, 생산성을 증가.
땅에서 짓기 때문에 장비 및 인력의 접근이 용이.
기존의 드라이독을 이용한것보다 블록수를 줄일수 있음.
도크 공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효율성이 떨어짐.
배가 많이 예약 되어 있지 않으면 굳이 육상 건조 기법을 불필요.
플로팅 도크
용지 부족 문제 해결
댐공법
도크보다 큰 8000TEU급 이상의 선박 건조가능.
대형화,고속화
메가블럭 공법
용접에 필요한 시간과 공간이 절약.
배 건조기간이 줄고 비용이 절감.
생산성 향상, 원감 절감.
메가블럭을 들어올린 해상크레인 필요.
해상크레인 동기화 시스템
선박 건조기단 단축
생산성 향상
대기중인 블록 적체문제 해소
텐덤(Tandem)공법
선박 생산량 증가
6.결론
과거에는 선박을 건조할
플로팅 도크
(floating dock) 공법
배의 건조 장소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지어진, 굉장히 넓고 평평한 box 형태의 배(플로팅도크)를 이용한 건조 방법은 floating dock위에서 배를 건조한 후 floating dock를 물속에 가라 앉히면 자연적으로 그 위에 있었던 배가 진수 됨.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육상건조공법
(Skid Launching System) 공법
SLS
육상에서 건조한 선박을 skid-rail(육상에서 해상으로 이동시키는 운송 수단)을 이용하여 반잠수식 바지선까지 이동후 반 잠수식 바지를 해상으로 이동하여 바지선을 잠수 시켜 선박을 부상하여 예인선을 통하여 선박을 진수하게 하는 공법
현대중공업 , STX
진수 통상적인 선박 건조용 도크
(Dock)를 건설할 필요없이 육상에서 선박을 건조한 후 안벽에 연결되어 있는 스키드바지(Skid Barge)를 이용하여 진수하는신개념공법SLS
Rendezvous On the Sea for Erection 공법
(rose 공법)
공법육상(skid berth)에서 7~9개의ring 블록으로 선박을 건조하여 해상을 통해 Floating Dock로 이동 및 탑재, Floating Dock sinking 후진수하는 신개념의 해상 건조 공법
댐공법
도크보다 길이가 긴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 도크에서 도크내 탑재가 가능한 길이 만큼 선박을 건조해 진수하고, 도크를 초과하는 구간은 육상에서 만든 뒤, 이어 해상에서 이 두 부분을 용접. 접합 시키는 공법.
(바다속에 물막이용 댐을 만들고 물을 빼낸 뒤 용접하는 방식)
한진중공업
메가블럭 공법
기존 블록보다 5~6배나 큰 3천t급 이상 초대형 블록을 제작한 뒤 조립
메가블록방식< 기가블록방식<
테라블록방식
삼성중공업
해상크레인 동기화 시스템
3천600t급 해상크레인 2대를 나란히 연결해 1대처럼 동시에 운전하면서 6천t급 대형블록을 들어 올려 선박에 탑재하는 기술이다.
대우조선
해양
텐덤(Tandem)
공법
도크에서 한 척의 선박을 건조하면서 도크내 여유공간에서 후속선박의 일부분을 함께 건조해 공간 활용성 및 생산량을 획기적으로 극대화하는 방법
대한조선
2) 각 건조공법의 장단점
건조공법
장점
단점
육상건조기법
도크부족문제 해결. 경제성, 생산성을 증가.
땅에서 짓기 때문에 장비 및 인력의 접근이 용이.
기존의 드라이독을 이용한것보다 블록수를 줄일수 있음.
도크 공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효율성이 떨어짐.
배가 많이 예약 되어 있지 않으면 굳이 육상 건조 기법을 불필요.
플로팅 도크
용지 부족 문제 해결
댐공법
도크보다 큰 8000TEU급 이상의 선박 건조가능.
대형화,고속화
메가블럭 공법
용접에 필요한 시간과 공간이 절약.
배 건조기간이 줄고 비용이 절감.
생산성 향상, 원감 절감.
메가블럭을 들어올린 해상크레인 필요.
해상크레인 동기화 시스템
선박 건조기단 단축
생산성 향상
대기중인 블록 적체문제 해소
텐덤(Tandem)공법
선박 생산량 증가
6.결론
과거에는 선박을 건조할
소개글